전주여자고등학교

덤프버전 :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전주여자고등학교
全州女子高等學校
Jeonju Girl's High School

파일:전주여자고등학교 교표.png



개교
1926년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성별
여학교
운영 형태
공립
교장
이영숙
교감
이상규
교원 수
72명
(2023학년도 기준)
학생 수
703명
(2023학년도 기준)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모래내 6길 14 (인후동 2가)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연혁
3. 역사
4. 교훈
5. 교가
6. 상징
6.1. 교목
6.2. 교화
6.3. 교표
6.4. 교복
6.5. 주변 건물
7. 출신 인물
8. 기타
8.1. 학교 설립 배경
8.2. 여담




1. 개요[편집]


전주여자고등학교(全州女子高等學校)[1]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에 있는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


2. 연혁[편집]


  • 1926년 5월 25일: 전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설립 인가
  • 1951년 9월 25일: 전주여자고등학교로 개칭
  • 1974년 6월 24일: 풍남동 구교사에서 인후동 현교사로 이전
  • 2023년 2월 3일: 제 94회 졸업식
  • 2023년 3월 2일: 제 97회 입학식(신입생 276명)


3. 역사[편집]


1926년 5월 25일 '전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설립 인가를 받고 개교했다. 해방 후 1951년 '전주여자고등학교'로 교명을 바꾸었고, 1974년 풍남동 구교사에서 인후동 현교사로 이전한 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23년 2월 3일 제 94회 졸업생들이 졸업했으며 누적 졸업생은 32,462명을 배출하였다.


4. 교훈[편집]


맑고 곧게 부지런히 튼튼하게


5. 교가[편집]


파일:external/jjg.hs.kr/guga1.gif
파일:external/jjg.hs.kr/guga2.gif

맨 마지막 아-아- 부분부터 전주!여↗고↗ 부분에 도달하면 다들 목소리가 매우 커진다(...)순전히 셈여림기호 포르테 때문이다.

전여고는 찬가가 있다. 원래의 교가가 왼쪽의 것이고 현재는 찬가이다. 현재 교가는 오른쪽의 것이다.


6. 상징[편집]



6.1. 교목[편집]


은행나무


6.2. 교화[편집]


은방울꽃[2]


6.3. 교표[편집]


파일:external/jjg.hs.kr/img_schoollogo.gif
교표
  • 흰빛의 은방울 꽃은 '부덕'을 상징
  • 본바탕의 녹색은 '평화'를 상징
  • 붉은 빛은 '정열'을 상징
  • 삼각형 <윤곽>은 지덕체의 연결임
파일:external/jjg.hs.kr/img_schoollogo2.jpg
백선
  • 중앙의 흰선은 결백, 신중, 솔직, 공평, 평화를 상징
  • 상단의 검은 선은 곧음과 처음에서 끝까지 의지의 관철을 상징하는 우리의 마음자세를 상징
  • 하단의 검은선은 삼라만상의 으뜸으로 영재의 긍지를 나타냄


6.4. 교복[편집]


파일:/20151113_99/tmdgus991205_1447343653781PKKmp_PNG/%B5%BF%BA%B9_%C0%FC%BD%C5.png
동복
파일:/20151113_147/tmdgus991205_1447343653969j6HkX_PNG/%B0%A3%BA%B9_%C0%FC%BD%C5.png
간복
파일:/20151113_82/tmdgus991205_1447343654730q9oKU_PNG/%C7%CF%BA%B9_%C0%FC%BD%C5.png
하복
  • 6·25 전쟁 이후 한 번도 바뀌지 않은 교복. 신입생들은 교복 치마 길이를 보고 처음엔 멘붕이 오지만 학교를 다니다 보면 익숙해진다. 무엇보다도 움직이기에 편하다.

(총동창회에서 교복을 바꿀 시엔 장래 모든 지원을 끊겠다라고 했다는 소문..)


6.5. 주변 건물[편집]


  • CU: 몇 년 전 전교회장 후보가 편의점 주인 아저씨께 자신이 전교회장이 되면 학생들에게 아침을 제공해달라고 공약을 걸었고, 진짜 전교회장이 되어 아침에 아침을 안 먹은 아이들이 몰려 전국 판매량 1위가 되었다.
  • 준마트: CU가 생기기 전까지 전여고 학생들의 용돈을 거의 70%이상 싹쓸이하던 곳. 2023년 현재는 폐업했다. CU가 생기면서 사장님 부부분이 더 친절해졌다는 소문
이외에도 샤프심을 덤으로 주는 글로리아, 이름을 모르는 학생이 더 많은 문구점 두 개 등이 있다.
  • 더벤티: 2022년 초에 생겼다. 장사가 아주 잘 돼서 각 반 쓰레기통마다 더벤티 컵이 기본으로 열개씩은 있다


7. 출신 인물[편집]




8. 기타[편집]



8.1. 학교 설립 배경[편집]


1910년 대에는 근대 서당의 전성기로서 서당교육이 활성화 되던 때였다. 서당교육이 활성화된 이유는 일본에게 국권이 넘어가면서 자제들을 공립학교에 보내기 꺼리던 것에 기인한 것이다. 총독부는 학생들이 공립학교에 입학을 꺼리자 무료급식까지 실시하면서 학생을 모으기도 했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가면서 신식교육을 받아야 사회적으로 유용하다는게 확실해 졌고, 더불어 우리나라의 높은 교육열까지 더해져 신식교육 수효가 빠르게 늘어나게 된다. 당시 전주시에는 조선 시대에 설립되어 대한제국 시대에 정식 개교한 신흥학교[4]와 기전학교[5]가 남녀 초·중등교육을 담당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학교들은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들이 세운 학교였기 때문에 전주지역 유림들이나 기독교를 꺼리는 주민들에게는 자제들을 입학시키기에 거부감이 있었다. 이에 새로운 학교 설립이 지역 유림들 사이에서는 숙원 사업이 되었고 1919년에 '관립전주고등보통학교'[6]가 세워지면서 이 문제가 해결되게 된다. 하지만 여전히 여학교 설립은 과제로 남아 있었는데 이에 전주 유지였던 이강원, 윤상언, 김응두 등이 발기인회를 구성하여 적극적인 설립 운동에 들어갔고 총독부와 교섭을 벌여가며 각고의 노력 끝에 1926년 5월 25일 '전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가 설립되게 된다. 이 후 오랫동안 전주지역 여성 중등교육을 맡아 왔다. 2001년 솔내고등학교를 설립하기 전까지 전주시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중 유일한 공립 학교였는데 전주시 자체가 워낙 사립 일반계 고등학교가 많아서 공립학교가 별로 세워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20세기 전주시에서는 일제시대 부터 이어온 전주여고만이 여고로서[7] 는 유일한 일반계 공립학교였던 것이다.


8.2. 여담[편집]


  • 전주에 오래 산 어르신이나 전라북도에 오래 산 어르신들은 '전여고'라고 하면 대다수가 알아듣지만 '전주여고'라고 하면 못 알아듣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어떤 학생이 택시 기사에게 '전주여고'로 가달라고 말했는데 전주역으로 갔다는(...) 후일담이 꽤 있다.
  • 체육대회 때 삼겹살 파티를 한다. 전주시 일반계 고등학교 중 유일하다. (코로나 이후로 사라졌다)
  • 규정이 매우 빡세서 입학 초에 고생이 좀 심하다. 어떤 날은 정문에 선도부가 좌르르 나와서 하나하나 검사할 때도 있다. 학생들은 흡사 공항 탐지기 속의 물건이 된 듯한 느낌을 받는다(...). 하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규정에 대한 압박감이 점점 없어지고(무뎌진다 보는게 맞다...) 3학년이 되면 활동하는 선도부가 다 후배기 때문에 규정위반으로 잡혀도 없는 학번을 알려주거나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시험 2주 전부터는 선도부가 서지 않아 그걸 이용해 지각하거나 교복을 입지 않고 오는 아이들도 더러 있다.
  • 고3들은 수능 결과가 나올 때까지 학교에 나오다가(물론 면접이다 뭐다 해서 안 나오는 사람도 있다) 수능 결과 나오기 전날에 가정학습을 명목으로 한 확인서를 셀프로 부모님 사인까지 해서 제출한 뒤 그 다음날까지 나오고 졸업식할 때까지 학교에 가지 않는다. 그 기간동안 정시 상담을 하기도 한다.
  • 고교 평준화 이전에는 완주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남원시에서 전주여고로 오는 경우도 있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2:40:33에 나무위키 전주여자고등학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주 시민 사이에서는 '전여고'라고 줄여서 부른다.[2] 은방울꽃은 한자로 '영란'이라 하는데, 이 때문에 전여고 학생은 졸업생이든 재학생이든 자신을 '영란인'이라고 부르게 된다.모두가 그런 건 아닌데?[3] 드라마 대장금에서 맛있구나로 유명한 중종의 어머니[4] 전주신흥중학교·전주신흥고등학교의 전신[5] 전주기전여자중학교·전주기전여자고등학교의 전신[6] 전주고등학교의 전신[7] 남학교라고 이러한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았는데 전주고와 전라고 외에는 공립 남학교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