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철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인터넷 방송인(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정대철(유튜버) 문서
정대철(유튜버)번 문단을
정대철(유튜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평화민주당 심볼.svg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정책위원회 의장
창당

초대
정대철


제2-3대
조세형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문교공보위원장
제12대 후반기
이영일

제13대 전반기
정대철


위원회 분리
이민섭[1]
김원기[2]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제1선거구)
제9대
장기영[A]
정일형[B]

제109대
오제도
정대철

제10대
정대철
민관식
제9대
오제도
정대철

제10대
정대철
민관식

제11대
이종찬
김판술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중구)
선거구 개편
이종찬[C]
이민우[C]

제13-14대
정대철


제15대
박성범
제15대
박성범

제16대
정대철


제17대
박성범






대한민국 제9·10·13·14·16대 국회의원
정대철
鄭大哲 | Chung Dae-chul


파일:정대철1.jpg

출생
1944년 1월 4일[1] (80세)
경기도 경성부 중구 명치정
(現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본관
진주 정씨

만초(萬初)
현직
대한민국헌정회 회장
상생과통일 포럼 상임고문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정일형, 어머니 이태영
형제자매
1남 3녀 중 둘째
배우자
김덕신
자녀
장남 정호준, 차남 정세준, 1녀
친인척
손윗동서 조순승
학력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속국민학교 (졸업)
경기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제법 / 석사)[1]
미주리 대학교 (정치학 / 석사·박사)
병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 전역 (군법무관)
종교
개신교 (감리회)
신체
175cm, 80kg, A형
소속 정당
[2]
의원 선수
5
의원 대수
9, 10, 13, 14, 16
경력
한양대학교 전임강사
한양대학교 조교수
제9대 국회의원 (서울 종로구·중구 / 무소속)
제10대 국회의원 (서울 종로구·중구 / 신민당)
신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신민당 외교국방특별위원회 위원장
민주화추진협의회 통일문제특별위원회 위원장
평화민주당 대변인
평화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제13대 국회의원 (서울 중구 / 평화민주당)
제13대 국회 전반기 문교공보위원회 위원장
국회 언론청문회 위원장
평화민주당 사회담당 총재특별보좌관
제14대 국회의원 (서울 중구 / 민주당)
민주당 최고위원
민주당 부총재
민주당 상임고문
민주당 조순 서울특별시장 후보 선거대책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부회장
새정치국민회의 15대 대선 경선후보[3]
새정치국민회의 15대 대선 선거대책위원장
제11대 KBO 총재
제16대 국회의원 (서울 중구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수석최고위원
진주 정씨 전국종친회 회장
새천년민주당 16대 대선 선거대책위원장
새천년민주당 대표최고위원
초대 한국장기협회 총재
사단법인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 명예이사장
열린우리당 상임고문
세계소기업소상공인 17차 대회 대회장
미래창조대통합민주신당 창준위 상임위원장
대통합민주신당 상임고문
대통합민주신당 제17대 대통령 후보 총괄선거대책위원장
민주당 상임고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민주당 상임고문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국민의당 상임고문
민주평화당 상임고문
제5대 소강민관식육영재단 이사장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4]


1. 개요
2. 생애
2.1. 정계 입문 전
2.2. 정계 활동
3. 여담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독립운동가 출신 정치인 정일형과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변호사 이태영의 아들이다.

30대부터 부친을 따라 민주당계 정당의 정치인으로 살았으며, 어린 시절부터 인연이 닿았던 DJ[2] 선배이자 정치적 스승으로 모셨다.


2. 생애[편집]



2.1. 정계 입문 전[편집]


1944년 1월 4일 경기도 경성부 중구 명치정(現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에서 태어났다. 당시 정일형은 평양부 감옥에 수감되어 있었고, 이태영은 이불가게를 하면서 살림을 꾸렸다. 정대철의 고모가 치아로 탯줄을 끊어서 배꼽이 크다고 한다.

경기고등학교(58회)[3][4],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 대학원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당시 정일형의 집을 자주 방문하던 김대중과 친해졌다.


2.2. 정계 활동[편집]


아버지 정일형이 3.1 민주구국선언 사건에 연루되어 1977년 대법원 판결로 국회의원직을 상실하면서 그해 6월 치러진 서울특별시 종로구-중구 재보궐선거무소속으로 출마, 당선되었다. 1978년 신민당에 입당하여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같은 지역구에 출마, 민주공화당 민관식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조윤형의 자주구락부 계보에 속하였으며, 1979년 5월 신민당 전당대회 2차 투표에서 김영삼을 지지하였다.

1980년 5.17 내란 후 신군부로부터 정치규제를 당하고, 1982년 미국 미주리 대학교로 유학을 떠났다. 귀국하여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이종찬, 신한민주당 이민우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평화민주당 대변인을 지냈다. 그러나 대선 직후 야권이 패배한 주요 원인이 후보 단일화 실패에 있었음을 지적하는 나의 소견이라는 글을 발표해 파란[5]을 일으켰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평화민주당 정책위의장에 임명되었다가 다시 대한민국 국회 문화공보위원장에 선출되었다. 문화공보위원장으로서 5공 청문회를 통해 1980년의 언론통폐합 및 언론인 해직에 대한 진상 규명에 노력하였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거대 여당민주자유당이 창당되자 꼬마민주당과의 합당을 주장하였다. 1991년 광역의회선거 참패 후 노승환, 조윤형 등과 함께 김대중 총재의 2선 퇴진과 야권통합을 촉구하는 정치발전연구회(약칭 정발연) 모임을 주도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같은 해 전당대회에서 민주당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95년 김대중이 정계복귀하여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하자 합류하였다. 그리고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박성범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새정치국민회의 대통령 후보 선출 전당대회(경선)에 출마하기도 했다. 당시 김상현과 연합하여 "대통령은 정대철, 총재는 김상현, 국민회의가터 김대중을 자기 부친의 후배 겸 동지이자, 자신의 대선배로 모시던 사람이다.] 했다는 후일담이 있다. 1998년 KBO 총재에 취임하였으나 경비리 사건으로 구속 기소되면서 곧 사퇴하였다.[6]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같은 해 8월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으로 다시 선출된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치러진 새천년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노무현을 지지하였고, 대선 본선에서는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다. 대선 승리 후 2003년 새천년민주당 대표최고위원에 선출되었다. 그해 말 열린우리당 분당 때 열린우리당에 합류하였다. 005년 2월 대법원에서 징역 5년형이 확정되었다. 2005년 8월 광복절 특별사면을 받았으나, 이 사건을 계기로 친노계와는 관계가 소원해지게 된다.

그 후 지역구를 장남 정호준에게 물려주고 민주당, 민주통합당,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으로 있다가 2016년 1월 탈당, 안철수가 주도하는 국민의당 지지를 선언했다. 그런데 아들은 아버지를 비난하며 더불어민주당에 잔류했다가 공천탈락되면서 결국 국민의당으로 갔다.

이후 바른정당과의 합당에 반대하여 민주평화당 창당발기인에 이름을 올렸다. 민주평화당 내에서 정동영을 위시한 당권파와 박지원 등을 중심으로 한 비당권파간의 갈등이 심해지자 고문단 중재안을 내놓는 등 당내 화합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결국 2019년 9월 20일 권노갑 등과 함께 탈당했다.

파일:정대철 민주당 복당.jpg

2020년 4월 3일, 동교동계 인사들과 함께 더불어민주당 복당선언을 했으나 복당이 불허되었고, 10월경에도 복당설이 나돌았으나 "밖에서 도와 달라"며 거절당했다.# 2021년 3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총장직에서 사퇴하기 전 옛 민주당 유력 정치인들과 만나 조언을 받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물밑에서 윤석열 전 총장의 정계 진출을 지원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돌기도 했으나# 2022년 1월 13일, 이재명 대선 후보의 요청에 따라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했다. 권노갑 전 의원 등과 함께한 복당식 자리에서 이재명 후보의 정권 재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3년 전직 국회의원들의 모임인 대한민국헌정회 회장에 당선되었다. 헌정회 사상 처음으로 민주당 성향의 인물의 당선이라 한다#. 보수측 인물들이 분열되면서 비교적 유리한 구도이긴 했지만 과반을 넘겨 당선된 것을 감안하면 마냥 구도 때문에 당선되었다고는 볼 수 없을 듯.

이후 헌정회장 취임을 이유로 헌정회 규정에 따라 헌정회장은 당적을 보유할 수 없도록 하는 원칙으로 인하여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였다.

3. 여담[편집]


  • KBO 총재를 지냈으나, 중간에 경성 비리 사건으로 중도 퇴진 했다. 후임으로 박용오 두산그룹 회장이 추대되는데 이 사람이 무려 7년 동안 KBO 총재를 지내게 된다.

  • 넓은 얼굴에 걸맞는 속 넓은 풍모가 있어, 두부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친구나 지인들이 짓궂게 놀려대도 속좋게 받아들였다고 한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77
6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서울 1[7]

[[무소속|
무소속
]]

21,265 (22.05%)
당선 (2위)
초선[8][9]
1978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05,983 (42.53%)
당선 (1위)
재선[10]
1985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70,859 (27.10%)
낙선 (3위)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38,228 (39.58%)
당선 (1위)
3선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46,810 (53.32%)
4선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27,825 (43.01%)
낙선 (2위)

2000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9,414 (49.05%)
당선 (1위)
5선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대철 1977.jpg


파일:정대철 1978.jpg

1977년 6월 재보궐 (서울 1)[1]
10대 총선 (서울 1)[2]

파일:정대철 1985.jpg


파일:정대철 1988.jpg

12대 총선 (서울 1)[3]
13대 총선 (서울 중구)

파일:정대철 1992.jpg


파일:정대철 1996.jpg

14대 총선 (서울 중구)
15대 총선 (서울 중구)

파일:정대철 2000.jpg


16대 총선 (서울 중구)



5.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무소속|
무소속
]]

1977 - 1978
정계 입문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978 - 1980
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80 - 1985
정당 해산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85
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85
탈당[11]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 - 1987
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87
탈당[12]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87
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87
탈당[13]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1987 - 1991
창당

[[신민주연합당|
파일:신민주연합당 글자.svg
]]

1991
당명 변경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991 - 1995
합당[14]

1995
탈당[15]

1995 - 2000
창당

2000 - 2003
합당[16]

2003
탈당[17]

2003 - 2007
창당
정계 은퇴

2007 - 2008
합당[18]

2008
합당[19]

2008 - 2011
당명 변경

2011 - 2013
합당[20]

2013 - 2014
당명 변경

2014 - 2015
합당[21]

2015 - 2016
당명 변경

2016
탈당[22]

2016 - 2018
창당

2018
탈당[23]

2018 - 2019
창당

2019 - 2020
탈당[24]

2020
창당

2020
합당[25]

2020 - 2022
탈당[26]

2022 - 2022
복당

2022-
탈당 [27]


6. 관련 문서[편집]




7. 둘러보기[편집]













[1] 음력 1943년 12월 9일[2] 학창시절부터 허물없이 지내다보니 가능했던 일이라고 한다. DJ가 젊은 정대철에게 인간적인 조언을 많이 해주기도 했는데, "음주는 가급적 절제하라"는 충고 외엔 다 따랐다는 소회를 밝힌 적도 있다. 정대철 본인이 워낙 술을 잘 마시기도 했지만, 술까지 마시지 않으면 뭔가 인간적인 느낌이 없지 않겠느냐는 해명했었다.[3] 동기동창으로는 민관식 전 국회부의장의 아들, 김준기 동부그룹 창업주, 임창렬 경기도지사, 신명호 아시아개발은행 부총재, 최인기 농림수산부 장관, 이헌재 재정경제부 장관, 이재정 성공회대 총장등이 있다.[4] 원래 이회창의 경제참모였던 이헌재를 대선 직후 김대중에게 추천한 사람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후 이헌재는 김대중 정부-노무현 정부에서 줄곧 중용된다.[5] 이때부터 김대중과 틀어지기 시작했다. 김영삼 진영에서 젊을때부터 따르던 김대중의 진영으로 다시 들어갔으나, 김대중-김영삼의 야권 단일화를 추진하며 이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던 동교동계 주류와 대립했었기 때문이었다.[6] 그러나 이는 훗날 대법원에서 무죄 취지 파기환송된다.[7] 종로구·중구[8] 전임자 정일형 의원직 상실 및 전임자 장기영 작고. 당시 국회는 중대선거구제였는데, 우연히도 서울 1선거구 의원 2명이 동시에 공석이 되었다. 정대철과 함께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사람은 무소속 오제도 후보이다.[9] 1978년 신민당 입당[10] 민주공화당 민관식 후보와 동반 당선[11] 신한민주당 입당을 위한 탈당[12]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3]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4] 민주당과 신설 합당[15] 새정치국민회의 창당을 위한 탈당[16]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17]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18]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19] 민주당과 신설 합당[20]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21]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22] 당내 노선차이로 인한 탈당[23]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 반대)
[24]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25]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과 신설 합당[26] 더불어민주당 복당을 위한 탈당[27] 헌정회장 취임을 이유로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