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필 풍악도첩

덤프버전 :

파일:정선필 풍악도첩 - 금강내산총도.png
금강내산총도(金剛內山總圖)

1. 개요
2. 내용
3. 구성
4. 외부 링크
5. 보물 제1875호


1. 개요[편집]


鄭敾筆 楓嶽圖帖. 조선 후기의 화가 겸재(謙齋) 정선이 36세가 되던 숙종 37년(1711)에 금강산을 여행하며 그린 진경산수화 13점을 모아놓은 화첩.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보물 제1875호로 지정되었다.


2. 내용[편집]


겸재 정선이 1711년 금강산을 유람하며 그 풍경을 그린 진경산수화들을 모아놓은 화첩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정선의 작품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작품들이다.

정선이 신인 화가일 때 그린 초기작들로 후기에 만들어진 금강전도, 인왕제색도 등과 비교하면 미숙한 부분도 있다.

본래 독일의 오틸리엔 수도원에서 장기간 소장하다가 2005년 10월, 약 80년만에 국내로 반환하였으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원본을 소장 중이다. 2015년 4월 보물로 지정되었다.


3. 구성[편집]


  • 1. 금강내산총도(金剛內山總圖)
  • 2. 피금정도(披襟亭圖)
  • 3. 단발령망금강산도(斷髮嶺望金剛山圖)
  • 4. 장안사도(長安寺圖)
  • 5. 보덕굴도(普德窟圖)
  • 6. 불정대도(佛頂臺圖)
  • 7. 백천교도(百川橋圖)
  • 8. 해산정도(海山亭圖)
  • 9. 사선정도(四仙亭圖)
  • 10. 문암관 일출도(門巖觀日出圖)
  • 11. 옹천도(甕遷圖)
  • 12. 총석정도(叢石亭圖)
  • 13. 시중대도(侍中臺圖)


4. 외부 링크[편집]




5. 보물 제1875호[편집]



정선필 <풍악도첩>은 현재까지 알려진 정선의 작품 중 가장 이른 1711년에 제작된 작품이다. 따라서 정선의 진경산수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훌륭한 기준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주목된다. 초기작이므로 후기의 원숙한 화풍에 비해 일면 미숙한 부분도 엿보이긴 하지만, <풍악도첩>에 수록된 그림들은 한결같이 화가 초창기의 활력과 열의로 가득 차 있다. 금강산을 처음 대하는 화가의 정서적 반응, 그리고 우리나라 산천을 앞에 두고 이에 가장 걸맞은 표현 방식을 모색해내려는 정선의 진경산수화가 형성된 과정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8:21:57에 나무위키 정선필 풍악도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