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범수용소

덤프버전 :



1. 정의[편집]


비합법이라고 규정된 목적, 수단에 의한 정치 행위로 인하여 처벌되는 범죄 또는 그 행위의 주체가 되는 범인을 가두는 수용소.

한국인들에게 북한 정치범 수용소의 이미지가 너무 강렬한 나머지 북한에만 있는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긴 하지만 북한의 수용소가 굉장히 극단적인 경우고, 당사자만 가두고 교도소처럼 형식적으로 형량까지 부과하는 식의 정치범수용소는 상당히 많은 편이다.

그리고 진정한 민주주의 국가의 기준으로는 라고 할 수 없는 행위로 붙잡혀서 들어오는 곳이 정치범 수용소이다. 정치범 수용소와 교도소의 진정한 차이점은 교도소는 국가반역[1]죄, 살인죄, 강간죄, 사기죄 등의 엄연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 잡혀오는 곳인 반면 정치범 수용소는 국가원수 혹은 통치집단의 마음에 안 드는 사람 혹은 통치집단에 정면으로 반대하는 사람이 잡혀오는 곳이다. 따라서 교도소는 정당하게 사람을 처벌하는 곳이지만 정치범수용소는 국가 통치 집단이 원하는 대로 사람을 잡아넣는 곳이다.

정치범수용소가 있는 국가 중에는 독재 국가들이 대부분이라 민주국가에는 없는 것 같지만 사실 제대로 된 민주국가 역시 이런 종류의 수용소가 존재했다. 과거의 인권 개념은 훨씬 미약했기 때문이다. 사실 서구 민주국가에서도 정치범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그런데 이 경우 정치범에 대해 일반적인 죄목을 붙여 수감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인권 개념이 발달하기 시작한 격동기에는 수많은 인권운동가들이 여러가지 죄목으로 수감되기도 했다. 따라서 서구권에서는 정치범수용소라는 말을 쓰기보단 강제노동수용소(혹은 노동교화소)라는 명칭을 주로 붙이는 편이다.


2. 각국의 정치범 수용소[편집]


  • 지금도 존재하는 정치범수용소는 볼드체 처리함.


2.1. 러시아[편집]



2.2. 독일[편집]





2.3. 중국[편집]




2.4. 북한[편집]


  • 정치범수용소/북한: 이 문서의 최종 보스인 강제수용소이다. 문서를 들어가보면 알겠지만, 홀로코스트 피해자조차도 "내가 겪었던 강제수용소보다 어쩌면 북한의 강제수용소가 더 끔찍할 것이다"라는 의견을 남길 정도로 세계 역사상 최악의 강제수용소 중 하나다. 정치범 수용소의 등장은 1956년으로 8월 종파사건으로 대규모로 숙청된 사람들을 가둬두기 위해 만들어진 것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완전통제구역의 경우 김일성의 종파분자는 3대에 걸쳐 씨를 말려야 된다는 교시에 따라 그 목적 자체가 나치 독일 수용소의 "노동을 통한 절멸"을 넘어 정치적 생명을 잃은 사람들을 가둬 노동력도 착취하고 자살 등이 금지되어 죽어도 고통스럽게 죽어야 하는 곳이다. 구글 어스의 영문판에서는 북한의 정치범수용소를 대놓고 Gulag라고 표기한다.


2.5. 대한민국[편집]


군사독재 시기(박정희, 전두환 정부)에 존속하였으며 민주화가 이루어진 현재는 사라졌다.

  • 청주보안감호소: 1975년 '사회안전법' 제정에 따라 비전향 장기수국가보안법 위반자들을 가둬 두던 특수 교정시설로, 1989년 보안감호제도의 폐지로 청주여자교도소가 되면서 일반 교정시설이 됐으며 2006년에는 청주외국인보호소가 됨.
  • 삼청교육대: 1980년 8월부터 1981년 1월까지 삼청계획 5호[2]에 의거하여 존속, 훗날 정부에서도 강제수용소라고 인정한 흑역사. 이 중 당시 군부대 내의 임시로 분산수용된 감호생들을 수감하기 위해 생긴 보호감호소는 현재의 경북북부교도소이다.

2.6. 대만[편집]


중화민국이 제2차 국공내전에서 패배하여 국부천대 한 이후 국민당 독재시기 대만독립론자들이나 민주운동가들을 상대로 정치범수용소가 운영되었다.

  • 타이둥시 뤼다오향: 뤼다오 자체가 대만 동부에 멀리 떨어진 으로 이곳에 정치범수용소를 운영하였다. 현재는 인권 박물관으로 재탄생하였다.


2.7. 일본 제국 (멸망)[편집]


일제의 통치에 반대하는 독립운동가공산주의자, 무정부주의자, 천황 부정론자, 반전론자를 체포하여 고문처형하였다.



2.8. 영국[편집]


대항해시대와 제국주의 시절 열강들이 건설한 자원 침탈 목적의 식민지가 많았다. 특히 식민지 총독부를 설치하여 주로 정치범이나 잡범들을 각 식민지에 보내 노역시켰으나 이후 대부분의 식민지가 독립했다. 아래의 식민지 목록은 극히 일부로 틀:대영제국의 식민지식민지 문서를 참고.

  • 호주: 1788년 1월 31일 죄수 736명과 하급관리들을 태운 배 13척을 시작으로 서부부터 개척을 시작하여 이후 한동안은 영국 의회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등의 법적 예속 관계가 남아있었으나 1986년에 호주 의회와 영국 의회가 오스트레일리아 법(Australia Act)를 통과시킴으로써 호주는 영국과의 법적 예속 관계를 청산하고 완전한 독립국이 되었다.
  • 13개 식민지: 미국 독립 전쟁을 일으켜 민주주의 독립 국가인 미합중국을 건국하였다.
  • 캐나다 자치령


2.9. 스페인국 (멸망)[편집]


  • 미란다 델 에브로 강제수용소, 레온주 산 마르코스, 발렌시아 산 미겔 데 로스 레예스, 톨레도 우클레스 수도원 : 프랑코 정권은 정통 가톨릭 신앙의 수호자를 자처했지만 저런 유서 깊은 사적 종교 건물들을 강제수용소로 개조했다.


2.10. 미국[편집]




2.11. 베트남[편집]




2.12.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해체)[편집]


  • 판크라츠 교도소: 정치범과 흉악범을 수감, 고문, 처형하던 곳으로 악명 높았다.


2.13. 칠레[편집]




2.14. 터키[편집]


  • 실리브리(Silivri) 교도소: 공산주의자, 테러범 등을 비롯한 정치범들을 수용한다. 터키에서 실리브리라고 하면 보통 이곳을 가리킨다. 대한민국에서 아오지 탄광이라는 말이 갖는 의미와 비슷.


2.15. 시리아[편집]


  • 세이드나야 교도소: 아랍의 북한으로 불리는 국가답게 북한의 정치범수용소와 같은 열악한 처우를 자랑하며 매주 또는 격주마다 수십 명이 처형당하는 곳이다. 수감부터 사형에 이르기 까지 바샤르 알아사드의 승인이 뒤따른다.#


2.16. 남아프리카 공화국[편집]



2.17. 민주 캄푸치아 (멸망)[편집]



3. 픽션에서의 정치범 수용소[편집]


  • 미래소년 코난 - 인더스트리아의 자하 거주민 구역
  • 북두의 권 - 카산드라 감옥[3]
  • 스타크래프트 2 - 뉴 폴섬
  • 원피스 - 임펠 다운[4]
  • 은하영웅전설 - 교정구[5]
  • 트로피코 시리즈 - 각종 교도소류 건물들[6]
  • 폴아웃: 뉴 베가스 Old World Blues - 리틀 양쯔[7]
  • 하프라이프 2 - 노바 프로스펙트
  • 1984 - 애정부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1:26:34에 나무위키 정치범수용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인터넷에서 헛소리 하는 거 말고, 내란, 외환의 죄 등이 해당된다.[2] 1호는 부정축재자 척결, 2호는 정치비리자 척결, 3호는 고급 공무원 숙청, 4호는 3급 이하 공직자 숙청.[3] 라오우에 반대하면 무조건 잡아 가뒀다. 황당한 것은 토키의 경우인데 혼자서 이곳을 궤멸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었음에도 일부러 가서 순순히 잡혀줬다.[4] 기본적으로 수감자들 대다수는 분명 '범죄자'인 해적들이지만, '혁명가'인 이나즈마나 이반 엠폴리오도 수감되어있는 등 정치범 수용소로서의 성격도 가지고 있다.[5] 교정구는 엄밀히 말하면 정치범수용소보다는 포로수용소에 가깝지만, 은하제국자유행성동맹을 대등한 상대가 아니라 반란군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포로들을 포로가 아니라 악질 사상범, 정치범으로 간주하여 정치범수용소로 분류된다.[6] 플레이어가 원하면 누구든 가둘 수 있어 사실상 반대파 수용소가 된다.[7] 중국계 미국인들만 잡아넣은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