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근위전차군

덤프버전 :

제1근위전차군
1-я гвардейская танковая армия
1st Guards Tank Army

파일:제1근위전차군 엠블럼.svg
창설일
1942년 7월
소속
러시아 육군
상급부대
서부군관구
규모
야전군
부대번호
73621
사령관
세르게이 키젤 중장
참전
제2차 세계대전
프라하의 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위치
러시아 모스크바
1. 개요
2. 역사
2.1. 첫번째 편성
2.2. 두번째 편성
2.4. 현대
2.4.1. 궤멸과 재편성
3. 편제
3.1. 1960년
3.2. 1970년
3.3. 1980년
3.4. 1988년
3.5. 2022년



1. 개요[편집]


러시아 육군 소속의 기갑 야전군이다. 수도인 모스크바를 방위하는 임무를 부여받고 있다.


2. 역사[편집]



2.1. 첫번째 편성[편집]


독소전쟁이 한창이던 1942년 7월 스탈린그라드 전선군으로 처음으로 편성이 되었으며. 1942년 8월경에 해체되었고, 사용하던 본부는 남동부군집단의 본부로 사용되었다.


2.2. 두번째 편성[편집]


1943년 1월 30일에 다시 창설되었다. 북서부군집단 소속으로 옮겨졌다. 이후 보로네시군집단으로 옮겨져 쿠르스크 방어전에 참전하였다. 1944년 4월 근위 칭호를 부여받고 쿠르스크 전투, 프로스쿠로프-체르노푸치 작전, 르보프-산도미에츠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베를린 공방전에 참전하였고, 이 공로로 적기훈장을 수여받았다.


2.3. 독일 주둔 소련군집단[편집]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평시 체제로 전환되어 군단급으로 규모가 줄어들었다. 독일 주둔 소련군집단의 일부분으로 활동하였으며, 드레스덴에 본부가 위치했다. 1968년 프라하의 봄 당시에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하였고, 곧바로 다시 동독으로 돌아왔다. 1990년대 초반에 스몰렌스크로 본부를 이동하였고 1998년에 해체되었다.


2.4. 현대[편집]


2014년 11월 13일 서부군관구 편제로 재편성되었다. 2008년 군 개혁당시 살아남은 3개의 사단 중 제4근위전차사단과 제2근위차량화소총사단이 자연스럽게 예하소속으로 개편되었다.[1]


2.4.1. 궤멸과 재편성[편집]


파일:FcgpcfJXkAANw0s.jpg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의 선봉에 섰으며 키이우 전선과 동부 전선에서 우크라이나군의 기동 방어에 지속적으로 소모되다가 우크라이나의 가을 공세를 얻어맞고 제1근위전차군 전체가 궤멸되었다고 9월 13일 영국 국방부에서 밝혔다. 전쟁 초기 키이우 공략에 투입되었다가 보유한 T-80U 전차를 거의 다 손실하고 퇴각한 뒤 동부로 재투입된 제4근위전차사단의 잔존 T-80BV, T-80U 전차들이 이지움과 쿠판스크에서 격파, 노획된 사진과 영상이 공개되었다.[2]

러시아군 수뇌부는 제2근위차량화소총사단 1개 대대전술단은 크레민나 방어를 위해 리만에 몰아 넣고, 제27 근위차량화소총여단에 T-90, T-80, BMP-2를 장비한 제237전차연대와 함께 스바토베 방어를 위해 쿠판스크 북쪽 라피우카, 볼로디미리우카, 쿠제미우카 방면에 투입했다.

쿠퍈스크 북부에 투입된 병력은 위장, 우회, 제대로 된 포병지원 없이 무작정 밀고내려오다 포병, 지뢰, 전차, 대전차보병으로 구성된 우크라이나의 다중 방어망에 걸려 와해되었고 리만에 배치된 병력은 우크라이나의 우회 기동에 급히 탈출하려다 퇴각로를 노린 우크라이나군의 포격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고 수백명만 격전지인 크레민나로 달아났다.

이후 친러 소식통 등 일부 매체에 루한스크 인근에서 활동중이라는 정보가 올라온 것을 보면 부대를 징집병으로 충원해 재편성한것으로 보인다.


3. 편제[편집]



3.1. 1960년[편집]




3.2. 1970년[편집]


  • 제6전차사단
  • 제7근위전차사단
  • 제9전차사단
  • 제11근위전차사단
  • 제27근위차량화소총사단


3.3. 1980년[편집]


  • 제7근위전차사단
  • 제9전차사단
  • 제11근위전차사단
  • 제27근위차량화소총사단


3.4. 1988년[편집]


  • 제9전차사단
  • 제11근위전차사단
  • 제20근위차량화소총사단


3.5. 2022년[편집]




  • 제4근위전차사단 본부 직속 직할대(나로포민스크) (지휘관: 대령 올렉 투리노프)

  • 제137정찰대대(나로포민스크)

  • 제165의료대대(나로포민스크)

  • 제413통신대대(나로포민스크)

  • 제330공병대대(나로포민스크)

  • 제1088군수대대(나로포민스크)

  • 제12근위전차연대(나로포민스크)

  • 제13근위전차연대(나로포민스크)[3]

  • 제423차량화소총병연대(나로포민스크)

  • 제275자주포연대(나로포민스크)

  • 제538근위방공미사일연대(나로포민스크)

  • 제27근위독립차량화소총병여단 "세바스토폴스카야"(모스렌트겐)

  • 제47근위전차사단(물리노)

  • 제112독립미사일여단(슈야)

  • 제288포병여단

  • 제53방공미사일여단(쿠르스크)

  • 제96정찰여단

  • 제20독립NBC연대

  • 제60통제여단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13:01에 나무위키 제1근위전차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남은 1개 사단은 쿠릴 열도 이투루프 섬에 주둔하는 제18기관총 포병사단.[2] # 제4근위전차사단이 키이우 공략에 나섰다 입은 전차 손실이 확인된 것만 71대다. 러시아에서 유일하게 T-80U가 배치된 부대라서 다른 부대보다 구분이 쉬웠다. 전차외에 장갑차와 기타 차량 손실까지 감안하면 손실분이 훨씬 커진다.[3] 2022 우크라이나 전쟁중 제4근위전차사단의 제13근위전차연대 사령관이 극단적 선택을 하였다.https://m.dcinside.com/board/war/2503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