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미사일방어여단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육군의 제1방공여단에 대한 내용은 제1방공여단 문서
제1방공여단번 문단을
제1방공여단#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1미사일방어여단
第一미사일防禦旅團
The 1st Air And Missile Defense Brigade
파일:제1미사일방어여단 부대마크.jpg
창설일
1955년 5월 12일 (육군 제1고사포병여단)
1966년 6월 14일 (제1방공포병여단)
1991년 7월 1일 (공군 제1방공포병여단)
2014년 1월 (제1방공유도탄여단)
2022년 4월 1일 (제1미사일방어여단)
상징명칭
수성대
소속
대한민국 공군
상급부대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규모
여단
역할
남부지방 지역 방공
여단장
대령 이종서 (공사 42기)
주임원사
원사 000 (부사후 000기)
위치
대구광역시 수성구





1. 개요
2. 상세
2.1. 역사[1]
2.2. 부대마크
2.3. 부대별칭
3. 예하 부대
4. 출신인물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근무환경
6. 기타
7. 사건사고
7.1. 대구 달성터널 폭발사고
8. 관련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공군의 미사일방어여단이다. 대한민국 남부지방 지역방공을 담당하는 부대. 본부와 예하 부대들은 전라도, 경상도, 충청남도 일부[2]에 배치되어 있다. 본부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부 별칭은 수성대.


2. 상세[편집]


2000년대 중반, 본부가 현재 위치로 이전해 오면서 원래 이 곳에 있던 교육사 예하 공군방공포병학교와 부대를 공유한다.[3]

본부와 예하 부대들은 후방 특성 등으로 인근 거주자들한테 꽤나 인기 있는 자대 선택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본부는 대구에 위치한 여타 공군 부대, 예를 들어 대구 공군기지에 있는 대규모 부대들에 비해 편한 군생활과 괜찮은 교통 입지를 보장하고 있으며 공군방공포병학교에 비해 덜 알려져 있어 메리트가 크다. 이런 사유로 집에서 멀어도 일부러 여길 오는 사람도 간혹 있다.[* 강원도 영동지방의 경우 예하 부대라고는 황병산 포대 정도밖에 없어서, 강원도 영동지방 거주자가 황병산에 가지 못하면 수도권 부대로 가거나 1여단 부대로 내려와야한다.

여단 중에서 가장 후방이라는 점 때문에 보통 준장이 보임되는 제2미사일방어여단제3미사일방어여단과 달리 지휘관으로 대개 대령이 보임된다. 다만 11대 사령관을 역임한 박성혁 장군처럼 소장으로 진급할 각이 보이는 사람의 경우 2,3여단장으로 전보시킨 뒤 준장-소장으로 진급시킨다.


2.1. 역사[4][편집]


  • 1955. 05. 12. 육군 제1고사포병여단 창설
  • 1966. 06. 14. 제1방공포병여단 개편
  • 1991. 07. 01. 공군 제1방공포병여단 창설(육군 → 공군으로 전군)
  • 2008. 10. 27. 수성 패트리어트 포대 창설
  • 2009. 02. 대구 패트리어트 포/정비대 창설
  • 2014. 01. 제1방공유도탄여단 명칭 변경
  • 2015. 09. 국산지대공미사일인 '천궁' 전력화
  • 2019. 12. 111대대/133대대 재창설
  • 2022. 04. 01. 제1미사일방어여단 명칭 개편


2.2. 부대마크[편집]


제1미사일방어여단
第一미사일防禦旅團
The 1st Air And Missile Defense Brigade
파일:제1미사일방어여단 부대마크.jpg
부대마크
별, 미사일
별은 제1미사일방어여단을 상징하며 미사일은 방공포병의 핵심 무기체계를 상징
방패
적 공격에 대한 완벽한 방어태세를 의미
독수리
대한민국 영공방위의 굳은 의지를 표현
바탕색
대한민국의 푸른 영공을 표현

2.3. 부대별칭[편집]


  • 철매
    • 쇠로 무장한 매가 적기를 신속·정확하게 격추하겠다는 '날렵한 방공무기'를 상징
    • 적기를 옭아매는 공포의 대상으로 방공 주력부대로서 긍지와 자부심을 내포
    • 예리한 매의 눈은 레이다로 영공을 침범하는 모든 적기를 포착, 추적, 격추하겠다는 필승의 신념을 의미


3. 예하 부대[편집]


  • 제000미사일방어대대
경상도 영공을 담당한다.
  • 제000미사일방어대대
전라도와 충청도 남부 영공을 담당한다.

4. 출신인물[편집]



4.1. 여단장[편집]


볼드체공군미사일방어사령관 (병과장)을 역임한 여단장.
볼드체에 + 표시가 된 여단장은 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역대 제1미사일방어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최종보직
기타
00대
권영재
대령
공사 37기
여단장

00대
손해용
대령
공사 37기
여단장

00대
김중호
소장
공사 40기
공군미사일방어사령관

00대
이영권
대령
공사 38기
여단장

00대
박성욱
대령
공사 41기
여단장

00대
박종철
대령
공사 42기
여단장

00대
이종서
대령
공사 42기
여단장



후방지역이여서 대부분 대령이 보임되고, 2여단이나 3여단에 비해 장군 진급이 잘 되지 않는다. 앞으로 L-SAM이나 천궁-2 개량형이 1여단에 집중적으로 들어오고 들어오게 되는데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지는 모르지만 꽤나 시간이 걸릴 것이다.

4.2. 장교/부사관[편집]



4.3. 병[편집]




5. 근무환경[편집]


대구 1여단 본부와 계룡대 주둔 방공포대는 교통도 편리하고 편의시설도 좋은 편이라 선호도가 높다. 그 밖의 예하 방공포대들은 대부분 교통이 그렇게까지 나쁘지 않은 산에 위치해 있거나 비행단 내에 파입부대로 주둔한 경우도 있다. 후방이라 3여단에 비해 근무강도도 낮은 편이다.


6. 기타[편집]




7. 사건사고[편집]



7.1. 대구 달성터널 폭발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구 달성터널 폭발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05년 11월 1일 오후 2시 16분에 대구 달성군 논공읍 본리 구마고속도로(현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상행선 달성 2터널에서 발생한 화재와 폭발사고. 이 차량에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존제산의 공군 방공포대에 있던 나이키 유도탄들을 대구 공군기지 1방공탄약대로 반납 후 폐기하기 위해 해당 차량들에 실어 대구로 가던 사고.


8. 관련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14:34에 나무위키 제1미사일방어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출처 월간공군 2020년 8월호[2] 2021년 2여단 예하에 있던 모 포대가 1여단으로 예속을 변경하면서 다시 충남 일부 지역까지 방공 임무를 담당하게 되었다.[3] 방포교는 육군에서 공군으로 전군해오면서 교육사와 떨어진 이 곳에 위치하고 있었고 단급이었던 방포교의 일부 편제가 여단으로 넘어오고 방포교는 전대급으로 격하되었다. 후방 부대 단급 여단장과 전대급 학교장이 주로 같은 특기의 대령이 보임되다 보니 알게 모르게 지휘관 간 신경전도 조금은 있는 편이나, 학교장이 준장진급에 실패한 장포대들만 와서 신경전이라 보다는 오히려 측은한 교장님만 보인다.[4] 출처 월간공군 2020년 8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