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덤프버전 :


1. 개요
2. 대의원 명단
2.1. 평양
2.2. 평안남도
2.3. 평안북도
2.4. 자강도
2.5. 량강도
2.6. 함경북도
2.7. 청진시
2.8. 함경남도
2.9. 함흥시
2.10. 강원도
2.11. 황해북도
2.12. 황해남도
2.13. 개성시
3. 결과


1. 개요[편집]


1962년 10월 8일 선거.

5만명에 1명의 대의원을 선출하기로 한 헌법을 1962년 10월 22일, 5차 개헌을 통해 3만명당 1명의 대의원을 선출하기로 개정하면서, 2기 최고인민회의 선거와 비교하여 168명의 의석이 증가, 총 383명이 선거되었다.

2. 대의원 명단[편집]



2.1. 평양[편집]



2.2. 평안남도[편집]



2.3. 평안북도[편집]



2.4. 자강도[편집]


  • 김무회, 김재운, 김천황, 유락종, 최창걸, 양택건, 남선옥, 서을현, 김석만, 강운성, 유건양, 리용선, 연복길, 조동섭, 김중린, 김원청, 김동식, 송참렴, 김병모, 김달준, 한승운, 류녕섭.

2.5. 량강도[편집]


  • 장경순, 김왈룡, 오경애, 김억준, 한상순, 김원설, 김원삼, 림진규, 백성학, 김병순, 정동철, 최성락.

2.6. 함경북도[편집]


  • 김원형, 장청택, 한수현, 박정열, 최봉순, 문창석, 백성국, 최봉산, 김진화, 주원생, 허필수, 양복원, 김세봉, 김옥순, 김학순, 량태근, 한기창, 정광록, 문성술, 김왈룡, 리량숙, 리광선, 박룡성, 최기철, 도종호, 리기철, 양충겸, 최중산.

2.7. 청진시[편집]


  • 리재근, 최중석, 김흥일, 김상국, 홍시학, 황화복, 김동혁, 리병부, 유창권.

2.8. 함경남도[편집]


  • 강초순, 리상운, 고민순, 최칠갑, 리송련, 윤기복, 리봉남, 김회일, 강영창, 리국진, 윤련환, 리연, 림춘추, 리영구, 최용진, 권윤일, 최상을, 양형섭, 리경룡, 리광실, 김기수, 리재윤, 김양춘, 한후방녀, 정종기, 박승서, 한수동, 김이순, 최학선, 김려중, 김동현, 김히준, 황원보, 유재훈, 심상의, 장병수.

2.9. 함흥시[편집]


  • 박흥순, 박홍걸, 주성일, 박봉조, 리승기, 최정, 리동성, 최민환, 전자련, 김문근, 려경구, 안승학, 리학빈, 김경회.

2.10. 강원도[편집]



2.11. 황해북도[편집]


  • 김금실, 박문규, 김재구, 한홍식, 박영수, 심형식, 박정근, 채희정, 전문섭, 박찬제, 리찬화, 안영, 윤영경, 리석남, 정정만, 최만국, 리재영, 김창덕, 박재필, 리달영, 승신범, 최순남, 임귀빈, 김대홍, 주종명, 김도만, 강욱극, 박승흡, 추상수.

2.12. 황해남도[편집]



2.13. 개성시[편집]


  • 김의환, 리영순, 윤형식, 박웅걸, 김재숙, 지병학, 김명호, 리창순.

3. 결과[편집]


조선로동당원의 비율이 2기 최고인민회의에 비해서도 압도적인 96.8%, 371명을 차지했다. 천도교청우당과 조선민주당은 더욱 감소하여 각각 4석, 노동인민당, 민주독립당, 건민회, 불교도연맹은 각각 1석이었으며 인민공화당과 기타 단체들은 아예 원외정당이 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5:04:05에 나무위키 제3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