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함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합중국 해군의 3함대에 대한 내용은 제3함대(미합중국 해군) 문서
제3함대(미합중국 해군)번 문단을
제3함대(미합중국 해군)#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3함대[1]
第3艦隊
Third Fleet
파일:3함대.png
상승함대 3함대[2]
창설일
1946년 9월 24일
상징명칭
상승대
소속
대한민국 해군
상급부대
해군작전사령부
역할
대한민국 남해 방위
사령관
소장 김경률 (해사 47기)
기함
전북함 (FFG 813)
위치
전라남도 영암군





1. 개요
2. 연혁
4. 조직
4.1. 편성
5. 근무 환경
6. 사건·사고
7. 기타
8. 관련 영상



1. 개요[편집]


해군함대령

제1조(설치와 임무) ①해군에 해군함대(이하 "함대"라 한다)를 둔다.

②함대는 예속 또는 배속부대에 대한 작전·훈련과 관할구역안에서의 군 행정에 관한 사항을 관장한다.

제3조(사령관등의 임명) ①각 함대에 함대사령부(이하 “사령부”라 한다)와 필요한 부대를 둔다.

대한민국 해군제3함대해군작전사령부(작전사) 예하의 해역함대 중 하나로, 대한민국의 남방해역 방어를 책임진다.

제3함대는 1946년 9월 24일 조선해안경비대 부산기지로 창설됐고, 1986년 제2해역사령부(부산)·제3해역사령부(목포)·제6해역사령부(제주)를 통합해 제3함대(사령부: 부산 감만동)로 재편됐다.

2006년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서 용호동의 신선대 부두로 기지를 이전했고, 2007년 11월 15일에 지은 지 1년밖에 안 된 신청사에 작전사가 이전하면서 부산을 내어주고 대신 전라남도 영암군목포해역방어사령부(목방사) 자리로 이전했다.[3] 함대사령부 이전과 동시에 목방사는 해체되었다.


2. 연혁[편집]


  • 1946년
  • 1947년 6월 21일 - 목포기지 예하 제주수영(濟州水營) 설치.
  • 1949년 6월 1일 - 대한민국 해군 목포기지, 목포경비부(木浦警備部)로 승격.
  • 1950년
  • 1973년 7월 1일 - 부산경비부를 제2해역사령부(第二海域司令部)로 개편.
  • 1974년 1월 28일 - 목포경비부와 제주경비부(구 제주수영)를 각각 제3해역사령부(第三海域司令部)와 제6해역사령부(第六海域司令部)로 개편.
  • 1986년 2월 1일 - 제2해역사령부를 제3함대로, 제3·6해역사를 제3함대 예하 목포기지전대와 제주방어사령부로 재편성.
  • 1987년 7월 1일 - 목포기지전대를 제3목포기지전단으로 승격, 동년 12월 1일 제3방어전단으로 개칭.
  • 1998년
  • 2006년
    • 5월 17일 - 함대사령부 이전(부산 8부두 -> 부산작전기지).
    • 6월 1일 - 제35초계함·고속정전대 해체 및 제31구축함전대·제32초계함전대·제33고속정전대 창설.
  • 2007년 11월 15일 - 함대사령부 재이전(부산 -> 목포) 및 목포해역방어사령부 해체.
  • 2010년 7월 22일 - 신축 본관/지휘소 준공.
  • 2014년 1월 31일 - 제33·36고속정전대 해체.
  • 2015년 2월 1일 - 제3해상전투단, 지휘통신대대 창설
  • 2015년 11월 30일 - 제주방어사령부 해체, 동년 12월 1일 제주기지전대 창설.
  • 2020년 5월 1일 - 제주기지전대 예속 해제.[4]


3. 사령관[편집]



파일:3함대.png
대한민국 해군
제3함대사령부 사령관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3399><bgcolor=#003399> 파일:external/flagspot.net/kr~n2.gif ||
||<width=20%> 초대
김철우 ||<width=20%> 2대
김만청 ||<width=20%> 3대
김선익 ||<width=20%> 4대
유삼남 ||<width=20%> 5대
김철웅 ||
||<width=20%> 6대
최낙성 ||<width=20%> 7대
서영길 ||<width=20%> 8대
한상기 ||<width=20%> 9대
변무근 ||<width=20%> 10대
김성만 ||
||<width=20%> 11대
이상필 ||<width=20%> 12대
오건석 ||<width=20%> 13대
박인용 ||<width=20%> 14대
이홍희 ||<width=20%> 15대
박정화 ||
||<width=20%> 16대
원태호 ||<width=20%> 17대
구옥회 ||<width=20%> 18대
임종철 ||<width=20%> 19대
문병옥 ||<width=20%> 20대
이범림 ||
||<width=20%> 21대
박경일 ||<width=20%> 22대
이병권 ||<width=20%> 23대
박동우 ||<width=20%> 24대
김종일 ||<width=20%> 25대
이성환 ||
||<width=20%> 26대
이상훈 ||<width=20%> 27대
이성열 ||<width=20%> 28대
황선우 ||<width=20%> ||<width=20%> ||
||<-5><bgcolor=#000080> ※ 초대~현임: 소장 ||
||<-5><bgcolor=#000080>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지휘관함대사령관은 해군 소장이다. 함대사령부를 부산에서 목포로 이전하고 나서는 대장까지 진급한 사령관이 없다.
역대 제3함대 사령관[5]

이름
계급
임관
재임기간
비고
초대
김철우
예) 대장
해사 14기
1986.2.1~1988.1.14
18대 해군참모총장
2대
김만청
예) 중장
해사 16기
1988.1.14~1990.1.4
前 해군참모차장
3대
김선익
예) 중장
해사 17기
1990.1.5~1991.9.25
6대 해군작전사령관
4대
유삼남
예) 대장
해사 18기
1991.9.25~1993.1.8
21대 해군참모총장
5대
김철웅
예) 소장
해사 19기
1993.1.8~1993.10.25
-
6대
최낙성
예) 소장
해사 20기
1993.10.25~1995.4.18
-
7대
서영길
예) 중장
해사 22기
1995.4.18~1996.11.5
12대 해군작전사령관
8대
한상기
예) 소장
해사 23기
1996.11.5~1998.1.12
9대 해군교육사령관
9대
변무근
예) 소장
해사 24기
1998.1.12~1999.4.8
10대 해군교육사령관
10대
김성만
예) 중장
해사 25기
1999.4.8~2000.11.10
15대 해군작전사령관
11대
이상필
예) 소장
해사 26기
2000.11.10~2002.1.7
-
12대
오건석
예) 소장
해사 27기
2002.1.7~2003.4.25
-
13대
박인용
예) 대장
해사 28기
2003.4.25~2004.11.10
40대 합동참모차장, 초대 국민안전처 장관[6]
14대
이홍희
예) 중장
해사 29기
2004.11.10~2005.11.24
41대 해군사관학교
15대
박정화
예) 중장
해사 30기
2005.11.24~2006.12.4
20대 해군작전사령관
16대
원태호
예) 중장
해사 32기
2006.12.4~2008.4.4
44대 합동참모차장
17대
구옥회
예) 중장
해사 33기
2008.4.5~2009.11.9
22대 해군작전사령관
18대
임종철
예) 소장
해사 34기
2009.11.10~2010.8.4
20대 해군군수사령관
19대
문병옥
예) 소장
해사 35기
2010.8.5~2011.11.27
19대 해군교육사령관
20대
이범림
예) 중장
해사 36기
2011.11.28~2013.1.7
51대 합동참모차장[7]
21대
박경일
예) 중장
해사 36기
2013.1.8~2013.11.5
20대 해군교육사령관
22대
이병권
예) 소장
해사 37기
2013.11.5~2014.10.17
23대 해군군수사령관
23대
박동우
예) 소장
해사 38기
2014.10.17~2015.11.4
-
24대
김종일
예) 소장
해사 39기
2015.11.4~2016.10.25
7대 국군사이버사령관
25대
이성환
예) 중장
해사 41기
-
28대 해군작전사령관, 前 합동참모본부 군사지원본부장
26대
이상훈
예) 소장
해사 42기
2018.1.3~
27대 해군군수사령관
27대
이성열
중장
해사 44기
2018.12.3~
해군교육사령관
28대
황선우
중장
해사 45기
2020.5.14~
해군사관학교장
29대
이동길
소장
해사 46기
2021.12.16~
사이버작전사령관
30대
김경률
소장
해사 47기
2023.11.9~
사령관


4. 조직[편집]


1함대가 대잠전, 2함대가 해상공방전을 중시한다면 3함대는 대침투전을 중시하는 게 특징. 북한의 반잠수정이나 공작선을 대상으로 한 훈련을 자주한다. 기함전북함(FFG 813)이다.

후방인 남해를 담당하기에 동해제1함대, 서해제2함대에 비해 전력이 확연히 떨어지는 편이다. 후방이지만 전라도와 서부 경남의 복잡한 도서 지역을 끼고 광역/저속 초계 임무를 주로 수행하기 때문에 헬기 운용이 가능한 중대형함이 다수 필요하나 수요를 충족시키긴 힘들어 보인다. 설상가상 쫓겨나다시피 해서 들어온 구 목포해역방어사령부는 협수로, 얕은 수심, 협소한 항구 시설로 지원능력이 부산에 비해 월등히 떨어져서 광개토대왕급(DDH) 이상 함정은 운용이 힘들다.[8] 다만 3함대 권역에는 대형 군함들의 주요 모항인 진해 해군기지, 제주 해군기지가 있어 대형 군함들이 상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약점을 어느 정도 보완해준다. 지휘 계통이 달라서 함대에서 직접적으로 이 대형 군함들에 명령을 내릴 수는 없지만, 유사시 즉시 3함대 권역에 투입이 될 수 있기 때문.

천안함 피격사건으로 함대 기함이던 양만춘함을 2함대에 넘겨주면서 DDH는 한 척도 보유하지 않고 있으며[9] 북한과 거리가 있다보니 신형함이나 장비 우선 배치순위에서도 제일 뒤로 밀린다. PCCFF 중에서도 구형에 속하는 함정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1, 2함대에서 마르고 닳도록 쓰다 낡아서 퇴역 얼마 안 남으면 3함대로 내려보내는 게 일반적이다. 이 낡은 배들 중 일부가 교육사 실습전대에 실습용으로 차출되어 가기 때문에[10] 실제 경비, 작전에 동원하는 전력은 더 적다. 참수리급의 경우 2010년대까지 40mm 수동포를 달고 있는 초기형들을 여러 척 찾아볼 수 있었다. 육군과 비교하면 제2작전사령부를 생각하면 되며, 실제로 이곳과의 협력도 자주 이뤄지고 있으며, 연락장교도 두고 있다.[11]

과거에는 제주방어사령부(제방사)와 제주기지전대, 목방사 예하 제36고속정전대가 있었다.[12]

4.1. 편성[편집]


  • 함대사령부
    • 제318조기경보대대
      • 제267해상전탐감시대
      • 제269해상전탐감시대
      • 제273해상전탐감시대
      • 제275해상전탐감시대
      • 제232전진기지대
      • 제233전진기지대
      • 제236전진기지대
    • 지휘통신대대
    • 군사경찰대대
  • 제3해상전투단
    • 제31전투전대: 1함대 11전대, 2함대 21전대와 달리, 구축함은 한 척도 없다. 예전에는 그나마 있었던 호위함도 울산함과 서울함이 다 퇴역하면서 기함인 충남함 1척 남았다가, 이마저도 퇴역하면서 인천급 호위함 3번함인 전북함이 새 기함으로 배치되었다. 2018년 울산급 6번함인 전남함이 2함대에서 옮겨왔다 퇴역했고, 인천급 6번함인 광주함이 배치되었으며 대구급 2번함인 경남함이 추가 예속되었다. PCC는 대천함만 남았는데 2022년 퇴역해야 했으나 중대형함 부족으로 1년 늦춰졌다. 짬처리 당하는 일이 잦아 1, 2함대 소속 FF, PCC가 신형함에 자리 내주고 내려올 가능성이 있다.
    • 제32전투전대
  • 제3기지방호전대
    • 제3공병대대
  • 부산항만방어전대
    • 제308조기경보대대
      • 제261해상전탐감시대
      • 제266해상전탐감시대
      • 제232전진기지대
  • 제3군수전대
  • 제3훈련대대[13]
  • 제3기지지원대대
  • 제3함대항공대[14]
  • 제8구조작전중대


5. 근무 환경[편집]


  • 국내 최대 항구도시로 물동량이 어마어마한 부산항을 담당하는 부산항만방어전대는 부산해경과 연계해 부산지역 해안을 철저히 감시하기에 근무가 상당히 빡세다. 관내에 작전사령부 본청이 있기 때문에 중요성은 더욱 크다. 항만방어전대의 항만경비정이나 고속정은 침몰, 화재, 추락 같은 재난사고 발생 시 출동해 해경을 보조하기도 한다.
  • 최후방인 데다 80년대 이후 북한이 남해안까지 침투를 기도하는 사례가 뜸해졌고, 참여정부 시절 햇볕정책 차원에서 제주도 남북방으로 만경봉호 같은 북한 상선 통과 허락해준 것도 천안함 피격사건 이후 백지화된지라 1, 2함대에 비하면 신경쓸 게 확실히 적다. 거기다 남해는 제7기동전단이나 잠수함사령부 같은 해군 주력 부대들이 별도로 주둔중이라 3함대에 걸리는 부담이 적다. 현실적으로 많이 신경쓰는 건 온갖 핑계를 대며 수시로 AO(작전구역) 침범을 기도하는 북한상선과 남쪽에서 끝없이 몰려오는 중국 어선단이다. 북한 상선의 경우 아예 경비구역을 신설해 관할해역 침범을 저지하고 있고, 중국어선단은 해경의 보조역할로 R/S를 통해 중점적으로 감시하는 정도다. 중국어선들이 무장하고 어업지도선이나 해경에 저항할 경우 인근 해군 함정이 지원나가는 경우가 있지만 많진 않다. 이어도의 경우는 신경을 안 쓰는 건 아니지만 본격적인 분쟁지역이나 영토가 아닌지라 해군이 전담하지 않고 해경 경비함이 이어도 인근 해역에 상시 대기한다.
  • 중대형함은 돌아가면서 경비구역에서 경비뛰고 참수리는 주기적으로 편대교대와 기동, 사격훈련을 실시한다. 편한 건 아니지만 최소한 2함대처럼 해상전진기지에서 식사추진 받아가며 경비 뛰느라 고생하진 않는다. 가끔씩 밤중에 미확인 접촉물이 포착되면 바로 확인하러 나가야 하는 일이 생기는데 물론 막상 가서 확인해보면 백이면 백 술취해서 이리저리 비틀대던 배가 아니면 불법조업 선박이다. 그나마도 2010년 말 참수리 295호정을 야간에 무리하게 내보냈다 침몰시키고 사상자를 낸 이후론 어지간하면 밤에 참수리 내보내는 건 피하는 편이다. 또한 이 사건 여파로 참수리 편대 지휘체계와 배치방식이 바뀌었다.
  • 사실 최전방이 아니기 때문에 부대 내 분위기는 1,2함대에 비해서 조금 느긋한 편이며, 그 덕에 최전방에서 행해지는 몇몇 훈련들(해상 프로브 공수급)을 잘 하지 않는다. 다만, 2함대가 관할하는 서해 바다에 비해 남해바다는 수로도 좁고, 잔물결이 강해 PCC 이상 함정도 많이 흔들리며, 그로 인해 경험많은 부사관들, 수병들조차도 뱃멀미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15]
  • 3함대 정문을 지나면 부대가 타 함대(1함대, 2함대)사령부에 비해 또, 각 기지 사령부(진기사, 작전사)에 비해 굉장히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물론 인방사보다는 크다) 수병들이 이용할 수 있는 복지혜택도 타 함대에 비해 적은 편.


6. 사건·사고[편집]




7. 기타[편집]


  • 1998년에는 육군 제31보병사단해양경찰, 경찰과 함께 육/해군 및 경찰. 해양경찰 합동작전으로 북한 반잠수정을 격침시켰던 전과도 있다. 이는 북한의 마지막 후방 해안선 침투사례로, 제대로 박살난 북한은 이후 후방 해안 침투를 단념하고 위조여권을 대량으로 풀어서 중국에서 조선족으로 위장시킨 간첩을 보낸다. 그리고 한국 해군과 해경도 제법 전력이 강해져 뚫고 내려오는 것도 힘들어 이 사건을 마지막으로 2작사의 대간첩 작전 사례는 없고 주력은 해군/해병대/해경으로 넘어온다. 31사단은 TOD를 사용하여 해안을 감시하던 중 최초로 반잠수정을 식별하여 간첩 침투사실을 확인하고 이미 잠수정에서 이탈하여 내륙으로 침투하려던 1명을 사살한 공을 인정받아 현재까지도 사단의 가장 영광적인 전공으로 여긴다. 때문에 31사단에서는 해당 사건을 98 완전작전이라고 명명하고 숫자 98을 예하 부대의 슬로건이나 엠블럼에 애용한다. 전방의 제22보병사단이 잠수함의 침투를 파악하지 못하고 간첩의 해안 상륙을 허용하여 일어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을 치욕으로 여기는 것과 대비적이다.
  • 참수리 정장(해군)여군 해상지휘관 T/O가 후방이라는 이유로 몰려 있는데, 그나마 지휘관 TO가 적어 진급점수 균등부여를 위해 1년도 안 채우고 가는 경우가 허다해 승조원들의 불만이 많다고 한다.
  • 해군은 2040년대#에 작전사 예하에 무인함 위주로 구성될 무인전력사령부를 창설할 경우 1개 함대를 해체하겠다고 계획중인데, 실현될 경우 그 대상은 최후방인 3함대가 될 가능성이 높다. 해체시 구 목방사 규모로 축소될 것이다.


8. 관련 영상[편집]



3함대 해상전투단 기동훈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5:34:21에 나무위키 제3함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함대사령부는 해군의 부대 편성 단위인 함대를 지휘하는 조직이다. 육군 제1군단을 1군단사령부라고 부르지 않는 것과 같이, '제대(梯隊) 단위 + 사령부'는 부대명이 될 수 없다. 관계 법령도 함대사령부령이 아닌 '해군함대령'이다.[2] 항상(常) 이기는(勝) 함대라는 뜻이다.[3] 이 결정을 내린 사람이 송영무국방부장관(당시 해군참모총장)이다.[4] 제주기지전대 무단침입 사건 이후 제7기동전단 예하 부대로 편성되었다.[5] 볼드로 강조된 이름은 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6] 합참차장으로 영전 후 대장으로 진급했다. 군 역사상 5명 밖에 없는 4성 합참차장 중 한 명이다.[7] 해군교육사령관, 해군사관학교장, 해군참모차장, 합동참모차장까지 중장 보직만 4차례 역임했다. 그러나 대장 진급은 하지 못했다.[8] 한때 전남 해남군에 기지 신축을 검토한 적이 있었다.[9] 2함대 넘겨준 양만춘함 대신 받아온 게 낡아서 고장 잘 나는 걸로 악명높던 서울함이었다. PCC는 2011년도까진 최후기형이 여러 척 배치되어 있었으나 11~12년 재배치 조치로 전부 1, 2함대로 넘겨주고 구형을 받아왔다.[10] 보통은 FF, PCC가 돌아가면서 교육사에 배속되지만 울산급 네임쉽인 울산함은 너무 낡아서 거의 교육사 고정배치되어 경비고 훈련이고 거의 안 뛰었는데 그 덕에 꿀산함이란 별명을 얻었었다. 울산함이 퇴역하자 그 다음으로 낡았고 고장 잘 나는 걸로 이름 높은 서울함이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현재는 그마저 퇴역했다.[11] 한국 해군의 함대는 지휘관 계급이 소장이라 육군 사단급과 서열상 동급일 뿐, 하는 일은 육군의 군단이나 야전군에 가깝다. 1, 2함대는 인근 육군 군단에 연락장교들을 보내지만, 2작사는 예하에 군단이 없어 3함대 연락장교도 여기로 온다.[12] 전대장 보직이 요직한직 취급을 오갔는데 어떤 때는 짬중령, 한때는 대령(진)이 맡았다.[13] 2021년 초 3훈련전대 -> 3훈련대대로 변경[14] 구 3함대항공지원대[15] 이 때문에 몇몇 솔선수범하는 배들은 원사나 함장같이 연장자들이 배의 최상단에서 자고, 멀미에 익숙하지 않은 후임자들을 최후미에서 자게 하여 뱃멀미를 조금이라도 줄이게 배려해주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