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포병여단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7포병단에 대한 내용은 제7포병단 문서
제7포병단번 문단을
제7포병단# 부분을
,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에 대한 내용은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7포병여단
第七砲兵旅團
7th Artillery Brigade
파일:제7포병여단 마크.png
포병의 자부심, 7포병여단
북진 선봉 충호 포병

창설일
1989년 11월 1일(제7포병여단)
상징명칭
북진포병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7기동군단
규모
여단
역할
7군단 화력지원
여단장
준장 윤현식
위치
경기도 남양주시





1. 개요
2. 상세
3. 예하부대
3.1. 여단직할대
3.2. 제661포병대대 번개
3.3. 제662포병대대 태풍
3.4. 제663포병대대 백호
3.5. 제670포병대대 천둥
3.6. 제758포병대대 비룡
4. 과거부대
5. 출신인물
5.2. 장교/부사관
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6.2. 훈련
6.3. 여단가
7. 사건사고
8. 여담



1. 개요[편집]


제7기동군단 소속 예하 포병여단이다.


2. 상세[편집]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YA_NP_20140220_00806966.jpg

대한민국 육군의 포병여단이다. 충호포병이라고 불린다. 경례구호는 '북진'이다. 이는 상위 군단제7기동군단과 같다. 군단 직할 포병여단 이기 때문이다. 여단장에는 대령이나 준장이 보임된다. 영문 정식 명칭은 Republic of Korea Army (ROKA) 7th Artillery Brigade. 평시에는 총 5개 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4개의 K-9 대대와 1개의 다연장로켓 대대를 보유하고 있다. 이 다연장로켓대대는 2017년경 신형 다연장로켓대대로 재편성 될 예정이었지만 아직까지도 구형을 쓰고 있다. 여단본부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하며 1개의 다연장로켓대대와 2개의 K-9 대대가 여단본부 내에 위치하고 있고 2개의 K-9 대대는 영외대대로 각각 양평군남양주시에 위치하고 있다.

한국 육군의 제7기동군단의 화력을 담당하고 있다. 제7포병여단본부와 예하 3개 대대는 경기도 남양주시 근방에 주둔하고 있으며, 다른 두 개 대대도 의정부시 (실제 부대 위치는 남양주시인데 의정부시 경계 바로 앞) 양평군 등지에 산개해 있다. 위치가 중요한 것이 아닌게 방어를 포기하고 북으로의 진격(그래서 경례구호도 북진이다)에만 신경쓰는 군단 예하 포병이기 때문에, 그리고 기동군단의 특수성을 반영한 여단이기 때문에, 타 부대처럼 주둔지가 정해져 있어 그곳에 주둔하고 있는 것이 아닌, 서울특별시 동쪽, 북쪽 방면에 임시로 주둔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부대마크는 제7기동군단 마크에 뒤에 포병병과마크를 배경으로 한 것을 차용한다. 하지만, 제7기동군단 직속 여단이기 때문에 장병들이 군복에 다는 오버로크는 제7기동군단의 것을 그대로 단다.

2010년 연평도 포격전 당시 해병대 포병 병력이 철수하면서 제7포병여단의 K-9 대대가 순환으로 연평도에 투입됐으며 백령도에는 다연장로켓대대 1개 포대가 투입되기도 하였다. 또한 서북도서 병력 증가 뉴스 때마다 빠짐없이 나오는 다연장로켓 배치가 바로 제7포병여단의 다연장로켓 1개 소대이다. 해당 다연장로켓들은 2017년 신형 다연장로켓 배치 계획에 따라 해병대로 인계되었다.


3. 예하부대[편집]



3.1. 여단직할대[편집]


  • 본부근무대
  • 정보통신대
  • 정비근무대

3.2. 제661포병대대 번개[편집]


K9A1 운용대대

3.3. 제662포병대대 태풍[편집]


K9A1 운용대대


3.4. 제663포병대대 백호[편집]


K9A1 운용대대


3.5. 제670포병대대 천둥[편집]


K9A1 운용대대


3.6. 제758포병대대 비룡[편집]


구룡 다련장 운용대대
천무 다련장으로 개편 예정


4. 과거부대[편집]


2000포병대대: 2000년 중반 1포병여단으로 배속 변경. 그중 3사격대가 현재 1사격대로, 1사격대는 화력여단 예하의 0000포병대대로 증편 및 개편되었다.


5. 출신인물[편집]



5.1. 여단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역대 제7포병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대
이용광
예) 중장
학군 16기
제3군단

00대
김철수
예) 소장
육사 37기
육군미사일사령관, 육군포병학교장, 제11기계화보병사단

00대
정한기
예) 소장
육사 39기
육군종합군수학교

00대
최창규
예) 소장
3사 19기
육군포병학교

00대
박승원
예) 준장
학군 23기
여단장

15대
허강수
예) 중장
3사 23기
前 제7기동군단
[1]
16대
이귀우
예) 준장
육사 41기
여단장
[2][3]
17대
박용훈
준장
육사 48기
여단장

00대
이창희
대령
육사 47기
여단장

00대
정상환
준장
학군31기[4]
여단장

5.2. 장교/부사관[편집]


현 오뚜기 회장으로 학사사관으로 근무함.
학사 14기로 1989년에 임관하고 난 이후에 7포병여단에서 포병장교로 복무했지만, 중간에 취사장교라는 직책으로 근무했다. #


5.3. 병[편집]


  • 이우진 - 만화가. 1995년 7포병여단 예하 다련장 부대에 통신병으로 복무했으며 특기를 살려 부대내 페인트 도색을 도맡아 했었다.
  • 류성록 - 배우

6. 기타[편집]



6.1. 근무환경[편집]


포병여단 중 비교적 후방에 위치하며 한강과 매우 가깝다. 사실상 모든 포병여단 중 가장 최상의 근무환경을 자랑한다. 대부분의 포병여단이 휴전선인근 최전방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보면 장점. 임무 상 장비도 가장 최신이기 때문에 부대 조건은 가장 훌륭한 측에 든다고 할 수 있다. 구형 포가 없기 때문에 흔히 알고있는 포를 이고지고 다니는 장면을 이 부대에서는 보기 어렵다. 이 때문에 남양주 일대에 사는 입대예정병사들이 연고지복무지로 많이 선호한다.

보통 신병은 5군단 예하사단[5]의 신교대나 육군훈련소등지에서 온다. 운전병의 경우 주로 3수송교육연대 에서 온다.

영내대대로 배치받은 병사는 포반장교육대라고 불리는 곳에서 1주일간 교육을 빙자한 휴식을 받는다 (부대설명)

6.2. 훈련[편집]




한국군의 유일한 기동군단인 제7기동군단의 예하 포병여단이자 비슷한 사/여단급 제대인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제8기계화보병사단, 제11기계화보병사단과 같은 군단에 속해있기 때문에 훈련이 많은 편이다. 호국훈련, 각종 전술 훈련, KR/FE, 유격 훈련, 혹한기 훈련, 전투장비 지휘검열, 군단 지휘검열, 대침투, 국지도발 등 빼곡한 훈련 일정이 있다. 호국훈련의 경우 약 한 달 정도. 유격훈련은 2박3일이었으나 4박5일로 변경되었다.

유사시 최선봉으로 북진하는 부대들의 주요 화력담당 훈련을 하고 있다. 실제로 제7포병여단의 예하 대대들은 북진이라는 제7기동군단의 임무에 맞춰 타 군단의 지역으로 넘어가 숙영, 기동 및 화력훈련을 진행한다.

한편, 제7포병여단 여단본부근무대의 경우 기본적인 훈련인 유격훈련과 혹한기훈련은 받게된다. 하지만 여단본부는 대대가 아니므로(중대급 편제이나 수는 일반 중대보다 더 많다) 대대전술훈련 등을 받지 않는다. 더 나아가, 각종 훈련이 있을 때도 상대적으로 여단본부의 경우, 본부의 특성상 훈련에 참가하는 것이 아닌 총괄하는 성격이 짙으므로 훈련을 할 가능성은 낮아진다. 야근을 할 확률과 간부를 마주칠 확률이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진다는 건 함정[6] 단, 통신은 제외, 운이 없으면 대대를 돌면서 지원을 해야 하기 때문에 한 달 정도 야지에 나가있는 경우도 있다.


6.3. 여단가[편집]





겨레의 부름 받들어

선봉에 선 호랑이여

포염의 전장속에 선 우리는 충호인

동트는 고요를 뚫고 불을 뿜으면

그 누가 따르랴, 지상전의 승리자

(북진!)

통일의 선봉이여, 7포병이여

우리 역사의 설 곳은 승리 승리의 장



7. 사건사고[편집]



8. 여담[편집]


  • 전략무기인 현무 탄도 미사일까지 운용한 적이 있다. '제1000대대'라고 하여 현무 운용을 담당하는 부대가 있었다. 유도탄사령부를 창설한 뒤 현무의 운용을 유도탄사령부에서 맡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졌다.

  • 적어도 본부와 그 이웃에 마주하는 대대는 신막사 생활을 한다. 2013년경까지 신막사 건설이 완공되었고, 모든 대대 및 근무대가 이제는 신막사에서 생활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확실히 구막사 보다는 10명 내의 인원이(기본 6명) 생활하며 침대를 사용하는 신막사가 쾌적하고 시설도 월등하다. 하지만, 반대로 사무실 및 근무지와 거리가 멀어져 확실히 근무지간 이동에 불편함은 존재했다. 하지만 758은 신막사에 식당을 지어주지 않아 구막사가 있는 위병소 근처까지 삼시세끼 10분씩 걸어가서 밥을 먹고오며 비오는날은 우의가 다 젖어가며 먹고 오고 태풍이 오는날은 식사를 위한 버스를 배차하여 먹으러 간다. 662와 663도 식당과 관련에서 문제가 있었던걸로 기억한다.

  • 특이하게도 다른 여단들과는 달리 포병단 편제를 사용하지 않는 유일한 독립포병여단이다. 이는 자기 편제위주로만 다루는 타 여단과는 달리 7포병은 군단예하 각 기보사단의 포병에 대한 지휘권을 인계받아 써먹을 수 있기 때문. 그렇기에 기보사단 포병은 작전계 업무가 타 포병에 비해 더 많은 편이고 7포병 직속 부대도 마찬가지 신세.

  • 2013년 초까지는 별명이 제7포상여단이었다. 포상휴가가 많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 확실히 지휘관(최창규 소장, 전 육군포병학교장)인격적으로 장병들을 대우했고 장병 복지에 힘써 휴가나 외박도 잦았다. 2011년 정한기 여단장(육사39기)이 소장 진급과 함께 제35보병사단장으로 영전하면서 취임한 최창규 여단장은 취임식에서 병사들에게 가장 군기빠진 군대를 만들겠다고 선언했고 실제로 이루어냈다. 식사집합의 폐지 및 삼삼오오 식사하러 가라고 하는 한편 인트라넷 커뮤니티 활성화로 2011년부터 한동안 육군에서 당직 서면서 볼 만한 커뮤니티로 소문나게 됐다. 글 몇개 잘 쓰면 포상휴가도 쏠쏠하게 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본인도 소장으로 진급하면서 또다시 정한기 후임으로 사단장에 취임하게 되었다. 물론 지금은 지휘관 교체와 군 복무기간 단축으로 예전만 못하다. [7]그래도 아직도 지리적 위치는 중앙선으로 용산구서울특별시 중심부로 한 시간 내 진입이 수월하기 때문에 타 근방 부대에 비해 좋은 편이다. 다만, 간부들은 주말출근에 야근이 잦았다. 말 그대로 간부를 갈아 넣은 건데, 그 덕분에 고급간부들이 전방으로 많이 빠졌고, 지원율도 현저하게 떨어졌다. 그 여파로, 심각한 인력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 남양주시 와의 연계 활동 및 교류가 잦다. 한강정화사업이나 각종 봉사 활동 등을 지원하는 주민 친화형 부대를 표방하고 있다(물론 장병만 주말에 고생한다).

  • 해병대로 인계된 다연장로켓을 인수하기 위해 백령도제6해병여단이 한 달간 제7포병여단의 다연장로켓대대에 파견을 와서 각종 교육을 받은 적이 있었다. 당시 파견 온 해병대원들은 철원에서 실행하는 후반기대대전술훈련까지 참가하여 포탄사격까지 무사하게 완수 후 퇴소했다.

  • 윤의철(육사 43기)이 군단장 시절 패악질을 피우는 와중[8]에 그나마 영향을 덜받았다는 소문이 있는데[9] 당시 여단장이었던 이귀우 장군(육사 41기)도 임기제 진급이라 곧 전역 예정이었던 것도 있었고 서욱 육군참모총장과 육사 동기였기 때문이다.

이귀우 여단장은 전임 여단장이자 윤의철의 후임 7군단장으로 부임한 전임 여단장(3사 23기)[10] 중장에게 전역신고를 하였고, 현재 배우로 활동 중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5:25:01에 나무위키 제7포병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5.12.01~[2] 대령(진)때, 즉 2008년에 이 부대에서 참모장을 했었다.[3] 2018.01~. 전역 후 연극 배우로 활동중이어서 화제다.[4] 조선대학교[5] 3, 5, 6, 28사단[6] 하지만 직접적인 훈련을 하지 않을 뿐, 훈련 시 주둔지로 나아가 부대 전개(지휘소 전개를 한다)는 똑같이 한다.[7] 특히, 윤의철 중장 시절에는 온갖 명목으로 휴가를 칼질당했다.[8] 교육사령관으로 좌천되면서 조용한데 서욱 당시 육군참모총장(육사 41기)과 김승겸 당시 육군참모차장(육사 42기)에게 맨날 불려간다는 소문이 있다. 교육사령관으로 재직하면서도 병사들을 힘들게 했는지 휘하 병력이 거의 없다시피한 합참의 합동참모차장으로 이동했다. 합참차장 이동 소식에 많은 사람들이 영전이라고 오해했으나 대장 진급 가능성이 매우 떨어지는 보직이라 육군 중장에게 합참차장은 한직이다.[9] 여기도 악명 높은 체력단련의 마수를 벗어날 수 없었다고 한다. 다른 예하사단들도 하고 있어서 어쩔 수 없었는 듯하다.[10] 육사 44기, 학군 26기와 동기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