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원

덤프버전 :


{{{#white 성 미카엘 신학교 교수신부'''
조광원 노아
趙光元|Noah Cho Kwang-won'''

파일:조광원.jpg

출생
1897년 10월 21일
경기도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393
(現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393)[1]
사망
1972년 10월 7일 (향년 74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80-25[2]
재임기간
성 미카엘 신학교 교수신부
1961년 9월 ~ ?년
장지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197호
수상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1999)

[ 펼치기 · 접기 ]
학력
인천공립상업학교 (졸업)
미국 나쇼타 신학대학 (신학 / 학사)
미국 나쇼타 신학대학 (성직과정[석사] / 졸업)
종교
성공회
가족
아내, 아들 조병선[1], 딸 조경희[2]
부제서품
1928년 6월 3일
??성당
존 도미닉 라모스 주교 주례
사제서품
1931년 5월 1일
??성당
새뮤얼 해링턴 리텔 주교 주례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독립유공자이자 신부. 1999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편집]


1897년 10월 21일 경기도 강화군 길상면(現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393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강화성당에 다녔고, 청년 시절에는 평신도 지도자가 되었다. 강화공립보통학교 졸업 후 1914년 인천공립상업학교(現 인천고등학교)에 진학하였고, 1919년 3월 7일 졸업 후 일본계 은행인 야스다(安田)은행에서 은행원으로 근무하는 한편 성공회 잡지에 '우리의 의기와 책임'이라는 글을 기고하여 한국인이 그리스도교인으로서 감당해야 하는 역사적 책임의식을 강조했다.

1921년 4월 25일 서울대성당에서 열린 제3회 전도구연합회에서 전도장려부 설치를 위한 기초위원에 선임되었고, 1923년경 마크 트롤로프 주교의 지시를 받고 미국 하와이교구로 파송되었다. 하와이 호놀룰루에 도착한 뒤 미국 나쇼다 성공회 신학대학에서 신학 수업을 마치고 1928년 6월 3일 하와이 교구장으로부터 부제 성직 안수를 받았다. 그는 외국에서 성직을 받은 최초의 한국 성공회 성직자였다.

1931년 5월 1일 하와이에서 S.H. 리텔 주교로부터 사제 서품을 받았으며, 한인교포 및 그 2세들을 상대로 1941년까지 한국어를 가르쳤다. 또한 하와이 성 루가 성당 관할사제로 14년간 사목하면서 한인들에게 성공회 신앙을 전교하는 한편,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데 기여했다.

한편, 그는 하와이총지부 위원을 맡아 기관지 '태평양시사'(太平洋時事)를 간행하고 국민회에 가입해 '국민보'(國民報)를 간행하는 일에 참가했다. 1941년 12월 7일 진주만 공습이 발발한 후 한위자위단을 조직해 일본인 첩자를 색출하고 독립자금 모금에 참여했다. 그리고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하와이 총지부 위원으로 활동하며 중국지역의 특무공작과 한국광복군 편성 등에 경제적 후원을 했다.

1944년 9월, 조광원은 미합중국 해병대 군종사제로 지원하여 사이판 전투에 참여했다. 사이판에서 대일 선전공작 활동을 벌이는 한편 일본군에 강제 징용된 한국인들을 구출하는데 힘을 기울였다. 그의 활약상은 미 해병대 소위로서 사이판 전투에 종군했던 짐 루카스 기자에 의해 성조신문 전면에 실리기도 했다.

8.15 광복 후 미군 군종사제로서 귀국한 그는 미군정 통위부 미군책임자의 고문일을 맡았고, 1947년 미국으로 건너가 포교 활동을 전개하다 1950년 6.25 전쟁 때 한국으로 돌아왔으나, 일본 성공회의 초청으로 고베교구 사제로 위촉되어 1957년까지 사목했다. 1957년 한국에 귀국한 뒤 자신의 고향인 강화 온수리성당 관할사제로 사목했다. 또한 성 미카엘 신학원이 성직 후보자 교육을 시작한 1961년 9월부터 교수신부로서 후학을 양성했다. 이때 발간한 저서로 '신자의 생활'과 '성인들의 생애' 등이 있다.

1960년 2월 24일 대한성공회[3]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 회원교단으로 가입한 뒤, 그는 한국 교회 일치 운동에 전념했다. 그러다 1972년 10월 7일 서울에서 별세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9년 조광원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2017년 7월 21일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에 안장했다.

3. 여담[편집]


  • 죽산 조봉암과 죽마고우였다. 조 신부는 강화읍성 남문 밖, 죽산은 남문 바로 안에 살았다고.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0:21:09에 나무위키 조광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