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관련 문서

덤프버전 :

분류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조선




1. 개요
2. 관련 문서
3. 인물
3.1. 국왕
3.2. 왕비
3.3. 왕실
3.4. 후궁
3.5. 왕세자비
4. 건축
4.1. 궁궐
4.2. 유적
5. 정치, 행정, 군사 제도
5.1. 법률
5.1.1. 소송법
5.2. 신분
5.3. 정치.행정 조직
5.3.1. 직위
5.3.2. 군사
5.4. 지방 행정 조직
5.5. 제도, 정책
6. 교육, 학술
6.1. 교육 기관
6.2. 역사
6.3. 사상
6.4. 기타 서적
7. 기타 당대 작품
8. 조선을 배경으로 한 작품
9. 평가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조선 관련 문서 및 둘러보기 틀을 서술한 문서.


2. 관련 문서[편집]




3.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선/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 국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선/왕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왕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선/역대 왕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3. 왕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선/왕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4. 후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선/역대 후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5. 왕세자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선/역대 왕세자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건축[편집]




4.1. 궁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선의 궁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2. 유적[편집]




5. 정치, 행정, 군사 제도[편집]



5.1. 법률[편집]




5.1.1. 소송법[편집]






5.2. 신분[편집]


공식적으로는 양인과 천인 두 계급만 있었으나 이후 분화한다.
  • 궁가
  • 양반(선비)[1]: 진사
  • 서얼[2]
  • 중인: 아전등 잡과를 칠 자격이 있는 계급이다.
  • 양인: 농민, 상민, 공인 등이 이에 속한다.
  • 천민: 노비, 백정, 승려, 무당 등이 속한다.


5.3. 정치.행정 조직[편집]




5.3.1. 직위[편집]






5.3.2. 군사[편집]










5.4. 지방 행정 조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조선/행정구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8(道): 감영 소재지[11] - 관찰사(감사) / 방백
    • 강원도: 원주
    • 경기도: 한성[4]
    • 경상도: 상주, 대구[5]
    • 전라도: 전주
    • 충청도(충공도(연산군말), 청홍도(명종), 공청도(인조), 공충도[6]): 충주, 공주[7]
    • 평안도: 평양
    • 함경도(영길도(4년)→함길도→함경도[8]→영안도[9]): 함흥, 영흥[10]
    • 황해도 : 해주








5.5. 제도, 정책[편집]




6. 교육, 학술[편집]



6.1. 교육 기관[편집]




6.2. 역사[편집]




6.3. 사상[편집]




6.4. 기타 서적[편집]




7. 기타 당대 작품[편집]




8. 조선을 배경으로 한 작품[편집]



9. 평가[편집]



10.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목조













익조













도조













환조













초대
태조 고황제













제2대
정종

제3대
태종













제4대
세종











제5대
문종

제7대
세조











제6대
단종

덕종

제8대
예종











제9대
성종











제10대
연산군

제11대
중종











폐세자 이고

제12대
인종

제13대
명종

덕흥대원군













제14대
선조









제15대
광해군

원종

흥안군









폐세자 이지

제16대
인조













제17대
효종









경안군



제18대
현종

복녕군







임창군



제19대
숙종

의원군







밀풍군

제20대
경종

제21대
영조

안흥군









진종 소황제

장조 의황제

이진익









제22대
정조 선황제

은언군

이병원









제23대
순조 숙황제

전계대원군

남연군









문조 익황제

제25대
철종 장황제

흥선대원왕









제24대
헌종 성황제



제26대
고종 태황제











제27대
순종 효황제


[범례] 실제 혈통 기준 · 세로선(│): 부자 관계 · 가로선(─): 형제 관계




파일:조선 전기 국왕 용보.svg 조선왕조실록

[ 펼치기 · 접기 ]




























[1] 본래 제도 상 양반, 서얼, 중인 모두 양인에 속한다. 즉, 양인 이상부터 과거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졌으며 이론상 양인도 재능과 시간만 있다면 경전을 공부해 과거에 응시할 수 있었다는 소리.[2] 이 계급은 공식적인 것도 아니었고 인조 이후에는 4대를 지나면 서자 딱지를 뗐다.[3] 상술한 두 기관은 각각 KBS/EBSMBC의 대주주로서 해당 방송사들의 경영권, 인사권과 편성 등의 권한을 가진다. 다만 방문진의 경우 방통위로부터 통제를 받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방통위가 MBC까지 주관하는 셈.[4] 돈의문 밖에 있었다.[5] 상주에 있다가 선조 34년(1601년) 대구로 이전.[6] 순조 때 2차례, 철종~고종[7] 충주에 있다가 선조 35년(1602년) 공주로 이전.[8] 이시애의 난 이후 예종 때 쓰다가 성종 1년(1470년) 다시 영안도로 복귀. "함흥 사람 이중호 등이 이시애의 당류(黨類)가 되어 차마 악역(惡逆)을 저질렀으므로 그 죄가 깊고 중한데, 그 고을 이름을 그대로 두었으니 악(惡)을 징계하는 뜻에 어그러짐이 있습니다. 영흥(永興)은 본래 계수관으로 우리 태조가 탄생하신 땅이고 어용을 봉안한 곳이니, 청컨대 길주(吉州)의 예에 의하여 함흥은 호를 강등하여 군을 삼아 전일에 나누어 붙인 토지와 인민(人民)을 각각 본고을에 돌려보내고, 영흥은 승격하여 부(府)로 만들어 부윤(府尹)을 차정(差定)하고, 다시 토관(土官)을 설치하고, 인하여 영흥(永興)과 초면(初面)의 대관(大官)인 안변(安邊)의 호를 들어서 본도를 개칭(改稱)하여 영안도(永安道)라 하는 것이 어떠합니까?"(성종 1년 기사).[9] 연산군 4년 함경도로 굳어짐.[10] 함흥에 있다가 선조 33년(1600년) 영흥으로 이전.[11] 훗날 일제 강점기 및 대한민국 도청 소재지로 굳어진 곳도 다수 있다. 사실 감영이 현재의 도청에 해당되기 때문이다.[12] 자세한 내용은 증도가자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