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무원 부총리

덤프버전 :



1. 개요
2. 법적근거
3. 연혁
4. 역대 정무원 부총리
4.1. 5기
4.2. 6기
4.3. 7기
4.3.1. 7기 3차 회의
4.4. 8기
4.5. 9기



1. 개요[편집]


1972년부터 1998년 사이에 존재한 북한의 부총리.

2. 법적근거[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
제7장 중앙인민위원회
제103조 중앙인민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임무와 권한을 가진다.
⑦ 정무원총리의 제의에 의하여 부총리, 각 부장, 그 밖의 정무원 성원들을 임명 및 해임한다.
제8장 정무원
제108조 정무원은 총리, 부총리, 부장들과 그밖에 필요한 성원들로 구성한다.
제110조 정무원은 전원회의와 상무회의를 가진다.
정무원 전원회의는 정무원 성원 전원으로 고성하며 정무원 상무회의는 총리, 부총리와 그밖에 총리가 임명하는 정무원성원들로 구성된다.

3. 연혁[편집]


1972년 12월, 최고인민회의 5기 1차 회의에서 사회주의 헌법이 통과되면서 기존의 내각 부수상을 대체하여 설치되었다. 하지만 내각수상이 사실상의 국가원수였던 과거에 비해서 정무원이 그저 국가의 경제 행정을 담당하는 기구로 전락함에 따라 정무원 부총리의 위상도 하락하였다. 그 수도 늘어 1990년 9기 최고인민회의 시점에는 부총리 숫자만 10명으로 증가했다.

1998년 9월, 최고인민회의 10기 1차 회의에서 김일성헌법이 입헌되면서 내각 부총리로 대체되어 사라졌다.

4. 역대 정무원 부총리[편집]



4.1. 5기[편집]


  • 정준택: 부수상에서 유임.
  • 남일: 부수상에서 유임.
  • 박성철(인민봉사위원장 겸임): 부수상에서 유임.
  • 김만금(농업위원장 겸임): 부수상에서 유임.
  • 홍원길(기계공업위원장 겸임): 부수상에서 유임.
  • 최재우(국가계획위원장 겸임): 부수상에서 유임.
  • 리근모: 1973년 9월 20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으로 임명.
  • 정준기: 1973년 9월 20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으로 임명.
  • 홍성남(국가계획위원장 겸임): 1973년 9월 20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으로 임명.
  • 김영주: 1974년 2월 15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으로 임명.
  • 공진태: 1975년 임명?
  • 계응태: 1976년 12월 11월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으로 임명.
  • 강희원: 1978년 임명?

4.2. 6기[편집]


  • 계응태(무역부장 겸임).
  • 허담(외교부장 겸임).
  • 정준기.
  • 강성산.
  • 공진태(대외경제사업부장 겸임)
  • 김두영
  • 로태석: 공식 략력에 따르면 1978년 8월 임명.
  • 최광: 1981년 임명?
  • 리근모: 1981년 임명?

4.3. 7기[편집]


  • 강성산
  • 계응태
  • 허담(외교부장 겸임).
  • 홍성룡(국가계획위원장 겸임)
  • 홍시학(채취공업위원장 겸임)
  • 최재우(기계공업위원장 겸임)
  • 공진태(무역위원장 겸임)
  • 최광(수산위원장 겸임)
  • 김창주(농업위원장 겸임)
  • 김회일(교통위원장 겸임)
  • 김두영(건재공업위원장 겸임)
  • 김복신(경공업위원장 겸임)
  • 정준기(과학원장 겸임)

4.3.1. 7기 3차 회의[편집]


  • 조세웅.
  • 김복신(경공업위원장 겸임).
  • 김창주(농업위원장 겸임).

4.4. 8기[편집]


  • 홍성남(제1부총리).
  • 김영남(외교부장 겸임).
  • 김복신(대외경제위원장 겸임)
  • 김창주(농업위원장 겸임)
  • 김윤혁(건설건재공업위원장 겸임)
  • 최광
  • 정준기

4.5. 9기[편집]


  • 김영남(외교부장 겸임)
  • 최영림(국가계획위원장 겸임)
  • 홍성남
  • 김복신(경공업위원장 겸임)
  • 강희원
  • 김윤혁
  • 김달현(대외경제위원장, 무역부장 겸임)
  • 김환(화학공업부장 겸임)
  • 김창주
  • 장철(문화예술부장 겸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2:13:35에 나무위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무원 부총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