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셉 패트릭 케네디

덤프버전 :

조셉 패트릭 케네디 시니어
Joseph Patrick Kennedy, Sr.


파일:Joseph_P._Kennedy,_Sr._1938.jpg

출생
1888년 9월 6일
미국 매사추세츠 보스턴
사망
1969년 11월 18일 (향년 81세)
미국 매사추세츠 히아니스 포트(Hyannis Port)
국적
[[미국|

미국
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
]]

가족
배우자 로즈 피츠제럴드(1914년 결혼)
슬하 4남 5녀
조셉 패트릭 케네디 주니어(장남)[1]
존 F. 케네디(차남)
로즈 마리 케네디(장녀)
캐슬린 애그니스 케네디(차녀)
유니스 메리 케네디(삼녀)
퍼트리샤 헬렌 케네디(사녀)
로버트 F. 케네디(삼남)
진 앤 케네디(오녀)
에드워드 무어 케네디(사남)
학력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 (1912년 졸업 / 학사)
종교
가톨릭
직업
정치인, 외교관, 사업가
소속


서명
파일:Joseph_P_Kennedy_Signature.svg
1. 개요
2. 생애
2.1. 성장 배경
2.2. 출세로의 과정
2.3. 과욕과 비극
3. 가족관계
4. 대중문화에서



1. 개요[편집]


조셉 패트릭 케네디(조 케네디 1세)[2]는 미국의 정치인, 외교관, 사업가이자 사교계 명사였다. 역사에서는 존 F. 케네디의 아버지로 유명해졌다.


2. 생애[편집]



2.1. 성장 배경[편집]


1888년 9월 6일 미국 매사추세츠보스턴에서 태어났다. 그의 친조부인 패트릭 케네디(1823~1858)는 아일랜드 출신으로 아일랜드 대기근을 피해 미국으로 이민 와서 막노동만 하며 고생하다가 아들이자 조셉 패트릭의 아버지인 패트릭 조셉(1858~1929)이 생후 10개월일 때 병으로 사망했고, 이는 훗날에 태어난 조셉 패트릭이 아일랜드계로서의 정체성과 독실한 가톨릭 신앙심, 반(反)영국 성향을 한평생 갖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그래서 가난한 아일랜드계 이민자였던 할아버지 대와 달리, 아버지 패트릭 조셉이 뛰어난 사업 수완과 친화력으로 돈도 많이 벌고 보스턴 지역에 정치적 기반을 조금씩 쌓아 조셉 패트릭은 중상류층으로 유복하게 태어날 수 있었지만, 조셉 패트릭은 어린 시절 미국 사회에서 아일랜드계에 대한 차별을 많이 받아서인지 단순한 중상류층 수준에서 만족하지 않고, 더 높은 자리로 올라가기를 원했다.


2.2. 출세로의 과정[편집]


조셉 패트릭은 1908년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해 1912년에 졸업하고 1914년 마찬가지로 아일랜드계이자 당시 보스턴 시장으로 보스턴 정계의 유력인사였던 존 피츠제럴드(1863~1950)의 딸 로즈 피츠제럴드(1890 ~ 1995)와 결혼했다.[3]

하버드 졸업 직후인 1913년 돈을 빌려 파산 직전 상태의 은행을 사는 승부수로 불과 25살에 은행장이 되었다. 하지만 이른 나이에 막대한 부를 축적한 것에 대해 많은 이들이 마피아와의 연계설 의혹을 제기할 정도였고, 그 의혹들 중 일부는 사실로 밝혀졌다. 특히나 1920년대 당시 금주법으로 인해 술을 밀매하는 마피아들과 협력하여 많은 돈을 벌었다. 1934년에는 증권거래위원회 초대 회장을 지냈다.

1938년부터 1940년까지 그는 주 영국 미국대사가 되었다. 아일랜드계 출신으로서 개인적으로는 반 영국 성향을 갖고 있었지만, 그래도 공식적으로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과 미국이 같은 연합국인 만큼 친 영국적인 행보를 이어나갔으며, 영국의 정치인 및 상류층들과 가까이 지내면서 그들을 따라하려는 모습을 많이 보였다. 영국에 대한 개인적인 감정과는 별개로, 미국의 최대 맹방인 영국 주재 대사직은 본인과 케네디 가문의 사회적인 입지를 높여줄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이었다

그의 주영 대사 재임 시절은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기 직전으로 영국을 비롯한 유럽 대륙의 정세가 매우 불안한 시기였는데, 조셉은 뮌헨 협정을 비롯해 네빌 체임벌린 수상을 비롯한 당시 영국의 대독일 유화정책을 지지했다.[4] 하지만 끝내 나치가 제2차 세계대전을 감행하자 유화정책 지지자였던 그의 입지는 약화되었고, 결국 1940년 대사직에서 교체되어 미국으로 돌아와야 했다.

2.3. 과욕과 비극[편집]


상술하듯이 조셉 패트릭은 어린 시절부터 이미 중상류층으로 나고 자랐지만 아일랜드계로서 차별을 많이 받은 탓에 단순 중상류층의 수준에서 만족하려 들지 않았고, 자식들을 많이 낳아 엄격한 교육을 통해 자식들을 엘리트로 키워 정계 및 재계로 진출하기를 원했다.

이 때문에 케네디 가족의 분위기는 공부와 토론에 몰두하는 가정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자녀들은 특별한 사정이 아닌 이상 저녁 식사는 무조건 참석해야 했고, 매일 그날그날 있었던 시사나 역사 등등에 관해 토론하는 일상이 자리잡혔다.

훗날 케네디가의 저주라고 안 좋은 말들이 무성하지만, 후손들의 케이스라면 몰라도 자식들이 겪은 비극들은 대부분 조셉 패트릭 본인의 간접적인 요인 제공 때문이었다. 자신의 성공과 정치적인 야망을 위해 자식들 중 지능이 낮은 큰딸 로즈마리를 케네디 가문의 수치라고 여겨 1941년 전두엽 절제술을 당사자인 딸과 아내의 동의도 없이 멋대로 시켜 놓고 수술이 실패하자 딸을 정신병원에 쳐박아 놓고 평생 찾지 않았다.[5]

거기다 9남매들끼리 서로의 경쟁 심리를 지나치게 극대화시키다 보니 장남인 조셉 케네디 주니어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 군 의무복무 기간을 다 채웠음에도 불구하고 아버지로부터 인정받고 싶은 마음에 더 복무를 했다가 1944년 8월에 전사했다.

1948년 둘째딸인 캐슬린이 항공사고로 사망한 것도 아버지에게 재혼을 설득하려고 무리하게 헬기에 탔다가 그런 것이었다. 조셉 패트릭은 아일랜드계로 한평생 영국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갖고 있었는데 1944년 둘째딸 캐슬린이 영국의 귀족 윌리엄 캐번디시 하팅턴 후작[6]과 결혼하겠다고 하자 크게 반대했고, 후에 동의를 하게 되어 결혼했다가 윌리엄이 1944년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여 결혼한지 1년도 안 되어 전사하면서 캐슬린이 또 영국인과 재혼하겠다고 하자 조셉 패트릭이 노발대발한 것이었다.

본인과 가족들의 노력 끝에, 1960년 드디어 차남인 존 F. 케네디가 미국 제35대 대통령으로 당선되는 기쁨을 맛보았으나, 얼마 안 되어 1961년 조셉 패트릭 본인이 뇌졸중으로 쓰러져 우측 반신이 마비되고, 심각한 언어 장애를 앓게 되었으며 2년 뒤인 1963년 11월 22일, 세기의 암살 사건으로 불리는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으로 대통령으로 만들려던 노력 끝에 대통령이 된 존 F. 케네디가 암살되어 참척의 고통을 겪게 되었다.

거기서 그치지 않고, 5년 뒤인 1968년, 당시 유력 대선후보였던 3남 로버트 F. 케네디가 미국과는 하등 상관없는 시리아계 시르한 시르한에게 암살되어 케네디 가문의 두 번째 대통령 배출은 물건너갔고, 살아 생전에 아들 3명과 딸 1명을 병사도 아닌 사고사나 암살 등으로 먼저 보내는 비극을 당했다. 이후, 그나마 암살을 피한 막내아들 에드워드 케네디가 차파퀘딕 사건으로 대권 진출이 영영 불가능해진 것까지 보고 난 후에야 1969년 11월 18일 한 많은 생을 마감했다.[7]


3. 가족관계[편집]


케네디 가문케네디/가족관계 문서 참조.
아일랜드인 그리고 아일랜드계 미국인이 자녀를 많이 낳는 것으로도 유명하지만 조셉 패트릭 케네디와 로즈 케네디는 당대 아일랜드계 미국인 출산율보다도 훨씬 높은 4남 5녀, 즉 총 9명의 자녀를 낳았다. 그러나 그 중 4명은 비극적으로 사고나 암살 등등으로 사망했고 장수한 큰딸은 평생 요양병원에 갇혀 지내야 했다.[8]

그래도 암살된 존 F. 케네디와 로버트 케네디가 자녀가 워낙 많아서 대가 끊기는 일은 면했고, 로버트 케네디의 자녀들도 자녀가 많은 편이다.

4. 대중문화에서[편집]


로버트 해리스의 대체 역사소설 《당신들의 조국》에서는 나치가 유럽 대륙을 장악한 극중 상황에서, 자신의 아들이 아닌 본인이 직접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 1960년대 초 미국 대통령에 취임하고, 나치 독일과의 관계 정상화를 추진하려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실제 역사에서 조셉 케네디가 나치에 대한 유화정책을 지지했던 것을 반영한 듯 하다.

2011년작 미국 드라마 <케네디가>(The Kennedys)에도 주요 조연으로 등장한다. 영국 배우 톰 윌킨슨이 조셉 역을 맡았다. 숙원이었던 아들 존의 대통령 당선을 이끌어내고, 아들의 집권 초반에도 직접 영향력을 행사하려 들었지만 얼마 안되어 중단된다. 그러고는 실제 역사대로 뇌졸중에 따른 반신불수 상태가 되고, 아들 존과 로버트가 차례로 암살당하는 걸 지켜본다. 심지어 아내 로즈와의 사이도 좋지 못해서 공공연히 내연내를 끌어들이고,지체 장애가 있던 딸 로즈마리에게 무리한 수술을 강요해 상태를 돌이킬 수 없게 악화시키는 등 남편이자 아버지로서 부정적인 모습들도 묘사되었다.[9]

이 독일은 총통이 필요해요라 대체역사소설에서는 공황 직전 모든 주식을 처분하여 숏을 친 전설적인 투자자로 등장,미국의 광란의 20년대를 이용하려고 하는 주인공이 루스벨트의 소개로 만나 실질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한다. 그리고 대공황 직전 주인공의 조언을 받아들여 대규모의 공매도를 진행하였기에 원 역사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익을 내었을 것으로 보인다.

The Red Order: First Days of Eurasia는 본인이 직접 193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지만 나치에 유화적이었으며 영국에 대한 지원 역시 철회했다. 그러나 독일군이 프랑스를 점령하면서 케네디의 강경한 고립주의에 대해 의구심을 보내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었다. 영국은 미국의 지원이 부재해 독일의 유보트영국 본토 항공전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고 만다.진주만 공습으로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조지프 케네디는 태평양 우선주의 원칙을 채택해 대서양 함대까지 대일본 전선으로 투입한다. 미국의 지원을 받지 못한 영국과 자유 프랑스는 이러한 조치에 대해 크게 실망하고 만말며 전후에 유럽 공산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7:24:16에 나무위키 조셉 패트릭 케네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15 - 1944,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해군 복무 중 전사.[2] 그의 손자이자 로버트 케네디의 아들은 조 케네디 2세, 조 케네디 2세의 아들은 조 케네디 3세로 불린다. [3] 이 때문에 존 F. 케네디의 가문에 대해 언급할 때는 친할아버지 패트릭 조셉 케네디보다 외할아버지 존 피츠제럴드가 더 인지도가 많은 편이다. 비슷한 사례로 일본에서 아베 신조 전 수상의 가정사를 언급할 때, 친할아버지 아베 간보다는 역시 수상을 역임했으며 정치 노선도 비슷했던 외할아버지 기시 노부스케가 더 유명하다.[4] 반면 아들이었던 존. F. 케네디는 아버지와는 달리 히틀러와 나치에 대한 유화정책에 부정적이었고, 영국의 유화정책에 대한 비판을 다룬 그의 하버드 학부 졸업논문을 《영국은 왜 잠자고 있었는가》라는 제목의 책으로 발간해 화제를 모았다.[5] 형제•자매들도 로즈마리의 근황을 조셉 패트릭 케네디가 뇌졸중으로 쓰러진 1961년 이후에나 알게 되었고, 1969년 조셉의 사망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교류하게 되었다.[6] 본래 데본샤이어 공작가였으나 사망 당시 아버지인 에드워드 캐번디시(1895 ~ 1950)가 이미 살아있었기에 공작 작위는 받지 못하고 후작 작위만 받았다. 후에 공작위는 동생인 앤드루(1920 ~ 2004)를 거쳐 조카인 페레그린(1944년생)이 물려받았다.[7] 여담으로 차남인 존 F. 케네디 암살 당시에는 그의 장모이자 로즈 케네디의 어머니이며 존 F. 케네디의 외할머니인 마리 조세핀 해넌(Mary Josephine Hannon)이 살아있었기에 장모 또한 외손자녀를 셋이나 잃은 참척을 겪게 되었다. 1년 후인 1964년 99세로 타계했다. [8] 어떻게 보면 조셉 패트릭 케네디는 자신의 욕망을 이루기 위해 부적절한 방법을 써서 의도치 않게 자식들과 후손들을 비극으로 내몬 장본인이었고, 뇌졸중을 비롯한 만년의 불행도 그에 따른 뒤늦은 대가였을지도 모를 일이다.[9] 이러한 일들로 분개한 아내 로즈는 나중에 조셉이 뇌졸중으로 반신불수 상태가 되자 소극적인 요양으로 일관하며 뒤늦은 복수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