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크럼

덤프버전 : r20230302



[ 펼치기 · 접기 ]
중세
노트르담 악파
레오냉 페로탱
아르스 노바
필립 드 비트리 기욤 드 마쇼
기타
프란체스코 란디니 존 던스터블 힐데가르트 폰 빙엔
르네상스 음악
부르고뉴 악파
기욤 뒤파이 질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
요하네스 오케겜 조스캥 데 프레 하인리히 이삭
이탈리아
조반니 피에를루이지 다 팔레스트리나 줄리오 카치니 조반니 가브리엘리 오를란도 디 라수스
영국
토마스 탈리스 윌리엄 버드 존 다울런드
독일
얀 피터르존 스벨링크 미하엘 프레토리우스 한스 레오 하슬러
바로크 음악 (역사)
프랑스
자크 샹피옹 드 샹보니에르 장 바티스트 륄리 마랭 마레 앙드레 캉프라 마르크 앙투안 샤르팡티에 장 필리프 라모 프랑수아 쿠프랭 엘리자베스 클로드 자크 드 라 게르 | 장 마리 르클레르
이탈리아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지롤라모 프레스코발디 프란체스코 카발리 바바라 스트로치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주세페 토렐리 아르칸젤로 코렐리 안토니오 로티 안토니오 칼다라 니콜라 포르포라 안토니오 비발디 도메니코 스카를라티 안토니오 반디니 주제페 타르티니 프란체스코 제미니아니 레오나르도 빈치 토마소 알비노니 피에트로 로카텔리
독일, 오스트리아
하인리히 이그나츠 폰 비버 하인리히 쉿츠 요한 야콥 프로베르거 요한 파헬벨 프란츠 툰더 디트리히 북스테후데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게오르크 필리프 텔레만 요한 프리드리히 파슈 요한 마테존
영국
헨리 퍼셀 조지 프레드릭 헨델 찰스 애비슨
고전주의
과도기 및 초기 고전파
요한 아돌프 하세 |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지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 카를 필리프 에마누엘 바흐 요한 슈타미츠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
중기 고전파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 카를 슈타미츠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조반니 파이지엘로 루이지 보케리니 무치오 클레멘티
후기 고전파 및 과도기
안토니오 살리에리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루트비히 판 베토벤 요한 네포무크 훔멜 페르난도 소르 프리드리히 쿨라우
낭만주의
전기 낭만주의
초기 낭만파
카를 마리아 폰 베버 니콜로 파가니니 프란츠 슈베르트 미하일 글린카 루이스 슈포어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펠릭스 멘델스존 로베르트 슈만 요제프 라인베르거 클라라 슈만 요아힘 라프
프랑스 낭만주의
엑토르 베를리오즈 샤를 구노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프레데리크 쇼팽 프란츠 리스트 샤를 발랑탱 알캉 루이스 모로 고트샬크 아돌프 폰 헨젤트 카를 체르니
벨 칸토 오페라
조아키노 로시니 지아코모 마이어베어 가에타노 도니체티 빈첸초 벨리니
빈 왈츠
요한 슈트라우스 1세 요한 슈트라우스 2세 프란츠 폰 주페 요제프 라너
후기 낭만주의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요하네스 브람스 리하르트 바그너 안톤 브루크너 막스 브루흐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구스타프 말러 막스 레거 한스 로트 에리히 볼프강 코른골트 카를 라이네케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주세페 베르디 아밀카레 폰키엘리 자코모 푸치니 루제로 레온카발로 피에트로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카미유 생상스 조르주 비제 자크 오펜바흐 폴 뒤카 가브리엘 포레 세자르 프랑크 에두아르 랄로 외젠 이자이
러시아 후기 낭만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라흐마니노프 니콜라이 먀스콥스키 니콜라이 메트너 안톤 아렌스키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바실리 칼리니코프
영국 낭만주의
에드워드 엘가 구스타브 홀스트 프랭크 브리지 랠프 본윌리엄스
신비주의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국민악파
러시아
모데스트 무소륵스키 알렉산드르 보로딘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 밀리 발라키레프
동유럽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체코) 안토닌 드보르작 (헝가리) 레오시 야나체크 (체코) 제오르제 에네스쿠 (루마니아) 에르뇌 도흐나니 (헝가리) 판초 블라디게로프 (불가리아) |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 (폴란드)
북유럽
카를 닐센 (덴마크) 에드바르 그리그 (노르웨이) 장 시벨리우스 (핀란드)
스페인
이삭 알베니스 엔리케 그라나도스 마누엘 데 파야 호아킨 투리나 호아킨 로드리고
프랑스
에르네스트 쇼송 뱅상 당디
20세기 음악
인상주의
클로드 드뷔시 모리스 라벨 필립 고베르 자크 이베르
신고전주의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파울 힌데미트 페루초 부조니 오토리노 레스피기
제2빈악파
아르놀트 쇤베르크 안톤 베베른 알반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음악
에릭 사티 프란시스 풀랑크 릴리 불랑제 다리우스 미요 제르멩 테유페르 아르튀르 오네게르 올리비에 메시앙 앙리 뒤티외 피에르 불레즈 앙드레 졸리베
영국 근현대음악
벤저민 브리튼 윌리엄 월튼 마이클 티펫
미대륙 근현대음악
에런 코플런드 아스토르 피아졸라 알베르토 히나스테라 조지 거슈윈 레너드 번스타인 새뮤얼 바버 찰스 아이브스 에드가르 바레즈 존 케이지 조지 크럼 모튼 펠드먼 윌리엄 볼컴 필립 글래스 스티브 라이히 존 쿨리지 애덤스 로웰 리버만
소련-러시아 근현대음악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아람 하차투리안 알프레드 슈니트케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소피아 구바이둘리나 로디온 셰드린
헝가리 현대음악
벨라 바르톡 졸탄 코다이 죄르지 리게티
폴란드 현대음악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크지쉬토프 펜데레츠키 헨리크 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음악
카를하인츠 슈톡하우젠 베른트 알로이스 치머만 헬무트 라헨만 한스 베르너 헨체
이탈리아 현대음악
루이지 노노 루이지 달라피콜라 루치아노 베리오
기타
에이노유하니 라우타바라 파질 세이 윤이상 이안니스 크세나키스 니콜라이 카푸스틴 탄둔 다케미쓰 도루



조지 크럼
George Crumb


파일:George crumb(1929~2022).jpg

본명
조지 헨리 크럼 주니어[1]
George Henry Crumb Jr.
출생
1929년 10월 24일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찰스턴
사망
2022년 2월 6일 (향년 93세)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직업
작곡가, 피아니스트, 교수

1. 개요
2. 주요 작품
2.1. 대우주 (Makrokosmos)
2.2.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4개의 야상곡 (Four nocturne for piano and violin)
2.3. 고래의 노래(Vox Balaenae)
2.4. 검은 천사들 (Black angels)



1. 개요[편집]


미국현대음악 작곡가다. 혁신적인 음악 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2. 주요 작품[편집]



2.1. 대우주 (Makrokosmos)[편집]



1악장~12악장까지의 연주.


13악장~24악장까지의 연주.

전체 24악장으로 구성된 독주곡. 벨라 바르토크의 작품 "소우주"(Mikrokosmos) 작품집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별도로 해설을 참조하지 않으면 난해하기 짝이 없다. 조지 크럼은 증폭 피아노(amplified piano)를 활용하여 내부의 현 위를 긁거나 두들기거나, 혹은 연주 중에 연주자가 신음소리(…)를 내거나 소리지르거나 휘슬을 불거나 하는 음향효과들을 활용하여 화제를 모았던 작곡가인데, 이 작품에서도 예컨대 4악장 "십자가" 에서 갑자기 "Chri-ste!!" 하고 연주자가 외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19악장에서도 "Tora, Tora!, Tora!!" 라고 점점 커지며 외친다. 그리고 17악장은... 피아노 버전의 《미궁》(…)에 가까울 정도.

한편 8악장 "무한의 마법원" 의 경우, 오선보가 둥글게 놓여 있고 연주자는 이를 시계 방향으로 빙글빙글 돌리면서 연주해야 하며, 12악장 "나선 은하" 는 심지어 악보가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 등(…)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악보라기보다는 오히려 미술작품(?)에 가까워 보일 정도. 이런 기법은 각 파트의 마지막인, 4의 배수에 해당하는 악장마다 나타난다. 16악장과 20악장, 24악장이 어떤 모양일지는 직접 찾아보자. 20악장에선 소름이 돋을 수도 있다.

일본의 디 그레이맨에서 나오는 14번째의 자장가에 나오는 둥근 오선보는 여기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작가가 밝힌 바 있다.

11악장 "꿈의 영상" 에서는 프레데리크 쇼팽이, 23악장 "은하계 종의 기도" 에서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인용되는 걸 발견할 수 있다. 깨알같은 악보 위의 큰따옴표가 인상적.


2.2.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4개의 야상곡 (Four nocturne for piano and violin)[편집]





2.3. 고래의 노래(Vox Balaenae)[편집]





2.4. 검은 천사들 (Black angels)[편집]





기본적으로 현악 4중주 편성으로 되어있으며, 그 외 연주자마다 앞에 각각 하나씩 물잔이 놓여져있고, 현악 4중주단뒤에는 탐탐이나 마라카스 등등 타악기이 배치되어 있다. 물론 타악기들은 현악 4중주단에 의해 연주된다.

조지 크럼의 음악 특성이 그렇듯이, 탐탐을 두드리거나,골무를 끼고 현을 켜거나, 악기 대신 유리잔 위로 활을 그어 화음을 맞추는 등 갖가지 주법을 사용하고, 심지어는그걸로도 모자른지 연주자들이 혀로 입천장을 차는 소리를 내거나 고함을 지르는 괴상한 퍼포먼스를 볼 수 있다.

총 13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곡. 트리오와 듀오로 구성된 악장이 자주 나오며 심지어는 솔로도 있다.

1악장이 영화 엑소시스트에 수록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09 20:59:33에 나무위키 조지 크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는 '헨리'가 들어가야 하는데, 영어명은 헨리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