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한백

덤프버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초대
윤석구
제2대
장기영
제3대
이순용
제4대
조주영
제5대
강인택


제6대
이광
제7대
이응준
제8대
곽의영
제9대
오정수
제10대
최용덕


장도영 내각


김현철 내각

제11대
이상철
제12대
조한백
제13대
한통숙
제14대
배덕진
제15대
김장훈

제16대
홍헌표
제17대
김홍식
제18대
김병삼
제19대
박경원
제20대
황종률

제21대
김태동
제22대
김보현
제23대
신상철
제24대
문형태
제25대
장승태



제26대
박원근
제27대
이재설
제28대
배상욱
제29대
윤흥정
제30대
김기철

제31대
최광수
제32대
최순달
제33대
김성진
제34대
이자헌
제35대
이대순



제36대
오명
제37대
최영철
제38대
이우재
제39대
송언종
제40대
윤동윤
정보통신부장관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12대 체신부 장관
{{{#fff 조한백
趙漢栢[* 趙漢
으로 기재된 자료도 있다.] | Choe Han-baek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yonhapnews_30230132.jpg


월촌(月村)
본관
김제 조씨(金堤 趙氏)[1]
출생
1908년 2월 28일[2]
전라북도 김제군 대촌면 명덕리[3]
(現 전라북도 김제시 명덕동)[4]
사망
1997년 3월 18일 (향년 89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재임기간
제12대 체신부 장관
1960년 9월 14일 ~ 1961년 1월 29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
박판업[1]
자녀
슬하 5남 1녀
학력
전주사범학교 (졸업)
국민대학교 (정치학 / 학사)
의원 선수
4
의원 대수
1, 4, 5, 7
경력
대동신문 전북지사장
대동연와상사 부사장
제12대 체신부장관
국제친선문화협회 회장
민정당 사무총장
신한당 전당대회 의장
신민당 운영위원회 부의장
신민당 부총재

1. 개요
2. 생애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관료, 정치인이다. 본관은 김제(金堤), 호는 월촌(月村)이다.


2. 생애[편집]


1908년 2월 28일 전라북도 김제군 대촌면 명덕리(現 김제시 명덕동)에서 아버지 조두현(趙斗鉉, 1882. 12. 29 ~ 1927. 1. 4)[5]과 어머니 부령 김씨(扶寧 金氏, 1882. 9. 4 ~ 1917. 10. 11)[6] 사이에서 1남 4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전주사범학교(現 전주교육대학교), 1951년 국민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전주사범학교 졸업 후 1929년부터 1937년까지 김제보통학교 훈도, 1938년부터 1940년까지 김제중앙심상소학교 훈도를 지내는 등 일선 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했다.# 이후 1941년 주식회사 호남상사(湖南商事) 이사를 지냈다.

8.15 광복 직후 대동신문 전북지사장을 지내다가 한국민주당에 입당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전라북도 김제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무소속 송방용 후보에 밀려 낙선했고,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현직 국회의원이던 무소속 송방용 후보에 재차 밀려 낙선했다.

1955년부터 민주당에 속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직 국회의원이던 무소속 송방용 후보에 설욕하고 당선되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민주당 구파 소속이었으나 같은 해 9월 14일부터 1961년 1월 29일까지 제12대 체신부장관을 역임하였다.

5.16 군사정변 후, 1963년 민정당에 속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전라북도 김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장경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5년 민중당에 속하였다가 1966년 민중당을 탈당하여 신한당 창당에 참여하여 전당대회 의장이 되었다. 1967년 다시 민중당과 신한당이 합당하여 신민당에 속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치러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동구 갑 지역구에 출마하여 현직 국회의원이던 유성권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71년 1월 신민당이 유진산 총재 중심으로 돌아가자 탈당하여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고, 곧 윤보선을 중심으로 군소정당 국민당을 창당하였으나 1971년 4월 3일 정계은퇴를 선언하였다.

1997년 3월 18일 오전 4시 15분에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3. 제헌 국회 활동[편집]


  • 1948년 9월 6일 반민족 행위 논란이 있는 조병옥유엔 총회에 가는것을 반대했고 여러 논의 끝에 조한백 의원의 주장이 받아들여졌다.
  • 1948년 9월 22일 양곡매입법안 제1독회를 이어서 하였다.
  • 1948년 10월 29일 여순사건,4.3사건으로 정부와 국회의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다 말하였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종류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북 김제군 갑)

[[무소속|
무소속
]]

13,618표 (32.60%)
당선 (1위)
초선
1950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김제군 갑)


5,322표 (13.17%)
낙선 (4위)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김제군 갑)
8,203표 (16.60%)
낙선 (3위)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김제군 갑)


23,284표 (50.41%)
당선 (1위)
재선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김제군 갑)
26,281표 (59.64%)
3선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김제군)

[[민정당|
]]

20,945표 (28.54%)
낙선 (2위)

196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성동구 갑)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32,293표 (37.09%)
당선 (1위)
4선

5.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5:04:07에 나무위키 조한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 충신파(忠臣派) 21세 한(漢) 항렬.[2] 양력 3월 30일.[3] 1896년 8월 4일 전라북도 김제군 대촌면 명덕리 → 1914년 4월 1일 전라북도 김제군 월촌면 명덕리 → 1989년 1월 1일 전라북도 김제시 명덕동.[4] 인근의 복죽동과 함께 김제 조씨(金堤 趙氏) 집성촌이다. 조철권노동부 장관도 이 마을 출신이다.[5] 족보명 조이현(趙裏鉉).[6] 참봉을 지낸 김영선(金永善)의 딸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