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헌영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상북도 영양군)
제헌 헌법 공포

초대·2대
조헌영


제3대
박종길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조헌영
趙憲泳


출생
1901년 1월 8일[1]
경상북도 영양군
사망
1988년 5월 23일(향년 87세)
본관
한양(漢陽)[2]
자,호
응문(應文),해산(海山)
가족
아버지 조승기,아들 조지훈,손자 조태열
1. 개요
2. 생애
4. 선거 이력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보건의료인, 정치인이다. 본관은 한양(漢陽)이며, 자는 응문(應文), 호는 해산(海山)이다.

독립유공자 조승기(趙承基)의 손자이다. 또 시인 조지훈의 아버지이며, 조태열주유엔대사의 조부이다.

2. 생애[편집]


1901년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주실마을[3]#에서 아버지 조인석(趙寅錫)[4]과 어머니 진성 이씨 이호정(李鎬貞)[5] 사이의 3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영양보통학교, 대구고등보통학교, 일본 와세다대학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와세다대학 재학 중 재일조선인학우회 대표, 신간회 동경지회장 등을 지냈다.

1945년 8.15 광복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여 한국민주당 조직부장, 지방부장을 지냈으며, 한약종상을 경영하기도 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영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는데 이때 한의사 제도를 폐지하려는 법안이 통과되자 이를 막고 한의사도 의료인에 포함시킴으로써 한의사들의 지위상승을 이끌었다는 평을 들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영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지만 6.25 전쟁 당시 모시기 정책의 일환으로 납북되었고, 아버지인 조인석도 전쟁 도중에 좌익계 청년들에게 당한 모욕에 치욕을 느끼고 자살하였으며, 아들인 조지훈과도 죽을 때까지 영영 만나지 못하게 되었다.

그래도 북한에서도 한의학으로 이름을 크게 날렸고 최초의 동의사 자격증을 따냈으며 동의보감의 번역을 마무리 짓고 후학을 양성했다. 특히 조헌영이 우익계열의 한민당에 몸을 담았다는 점이나 김일성의 라이벌이 될만한 주요정치인들이나 최승희같은 여러 저명인사들이 숙청되거나 한직으로 쫓겨났던 것에 비하면 대접을 꽤 후하게 받은 편으로 여러 고위직책을 맡았다. 사후 재북인사릉6.25 전쟁 중 납북되었던 동료 의원들과 함께 묻혔다.

생몰년도에서 알수 있듯이 90세 가까이 장수했는데, 정작 아들인 조지훈은 기관지 확장증 합병증으로 인해 1968년 만 47세에 요절했다. 즉 아버지가 아들보다 20년 더 생존한 것.

독립운동가인 박열과 인연이 있다. 조선학우회 대표 시절에 박열을 면회하고 재판정에서 한복을 입겠다는 그의 요청에 따라 단령과 관모를 구해다 주는 등의 지원을 하였다. 조지훈 본인도 '나의 시작 노트'라는 수필에서 '어린 시절 박열이 입었던 단령과 관모를 본 적이 있다'라고 회고하였다. 또한 조헌영과 박열은 북한의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에서 함께 활동하였다.


3. 제헌 국회 활동[편집]


  • 1948년 6월 2일 헌법급정부조직법기초위원 30인 으로 뽑혔다.[6]
  • 1948년 6월 23일 헌법급정부조직법기초위원 으로서 헌법 낭독을 하였다.
  • 1948년 7월 14일 정부조직법을 낭독하였다.
  • 1948년 8월 4일 국회 부의장 투표때 4표를 받으며 떨어졌다.
  • 1948년 8월 5일 연호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
  • 1948년 10월 30일 산업노농위원회 위원으로 뽑혔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종류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북 제11선거구(영양군))
한국민주당
무투표 당선
초선
1950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제12선거구(영양군))
무소속
10,140표 (59.62%)
당선 (1위)
재선[8]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5:06:34에 나무위키 조헌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음력 1900년 11월 18일.[2] 양경공파-병참공파 26세 영(泳) 수(洙) 해(海) 항렬이다.[3] 인근의 도계리, 가곡리와 함께 한양 조씨 집성촌이다. 시인 조지훈, 역사학자 조동걸, 조근해 전 공군참모총장, 조운해 전 강북삼성병원장, 조태열 외교부 차관도 이 마을 출신이다.[4] 1909년(순종 3) 2월 25일 영양군 향교 직원에 임명되었다.#[5] 이중봉(李中鳳)의 딸이다.[6] 류성갑,김옥주,김준연, 오석주,윤석구,신현돈,백관수,오용국,최규옥,김명인,이종린,이훈구,류홍렬,연병호,서상일,조헌영,김익기,정도영,김상덕,이강우,허정,구중회,박해극,김효석,김병회,홍익표,서성달,조봉암,이윤영,이청천. [7] 당시에는 민국(民國)단기를 혼용하고 있었다.[8] 임기 중 납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