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종로경찰서

덤프버전 :



서울종로경찰서
서울鐘路警察署
Seoul Jongno Police Station
}}}
설립일
1945년 10월 21일
경찰서장
총경 빈중석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5길 41
전신
경성종로경찰서 (京城鐘路警察署)
상급기관
서울특별시경찰청
홈페이지
서울종로경찰서 공식 홈페이지
1. 개요
2. 특징
4. 조직
5. 연혁
6. 창작물에서의 등장
6.1. 영화
6.2. 드라마
7. 교통
7.1. 버스
7.2. 도시철도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종로경찰서..jpg

서울종로경찰서[1]
서울특별시경찰청 소속 경찰서이자 한국에서 개서한 지 가장 오래된 대한민국 1호 경찰서. 서장은 유동배 총경.

서울혜화경찰서와 함께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치안을 담당하는 국가경찰관서로, 돈화문로 기준 서쪽 지역[2]의 치안을 맡고 있다. 종로구 면적이 크지 않음에도 관내에 경찰서가 옛날부터 쭉 2곳이 존재해왔는데, 이는 종로 일대의 치안 수요가 옛날이나 지금이나 상당함을 뜻한다.

9개과 1관 1실 13개 지구대, 파출소로 구성되어 있다.


2. 특징[편집]


민생치안과 더불어 다중범죄(집회시위관리)를 위한 경찰관서다.

관할 구역에 정부서울청사, 헌법재판소, 감사원, 주한미국대사관, 광화문광장, 주한일본대사관과 같은 국가중요시설이 많고, 대한민국 중심지이다보니 강남경찰서, 남대문경찰서, 영등포경찰서 등과 더불어 사실상 전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중요한 경찰서이다. 윤석열 정부가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구에 있는 국방부 새청사이전하면서 부담이 한결 줄어들 것으로 보이나, 집회가 광화문과 용산으로 이원화할 수 있다는 예측이 잇기 때문에 여전히 중요한 경찰서로 남을 듯 하다.

다른 도시에선 영향력이 큰 수사과나 형사과 생활안전과 지구대 경찰이나 교통과 소속 교통경찰보다 총경 승진 내정자를 보면 경비과나 정보과가 번갈아서, 혹은 동시에, 그것도 아니면 두 과의 계장들 중 하나 혹은 두 명 모두가 경정으로 무조건 승진한다. 그리고 길을 지나가다 보면 다른 도시에 비해 유난히 (특히 광화문 앞)경비, 정보 경찰들이 많이 보인다.[3]

관내 불법시위가 많다보니 서울경찰청 기동본부와 유난히 친밀한 경찰서다. 또 종로구 특성상 유난히 정보과나 경비과가 승진은 잘되는데 특히 종로경찰서장[4]과 경비과장, 정보과장은 승진 내정자나 마찬가지다. 물론 근무빈도가 웬만한 형사과, 수사과 잠복근무급 헬게이트다. 경찰서를 방문한 민원인 관리도 엄격한 편이다.

혜화경찰서와 더불어 해방 직후에 설치된 경찰관서이다. 역사가 오래된 만큼 청사도 지어진 지 40여년이 지나 건물의 노후화가 심각한 편이다. 노후 경찰관서 개선사업 중 하나로 종로서 신축을 추진하였고, 2022년 8월 4일, 종로경찰서가 종로구 인사동5길 41(구 SM면세점) 임시청사로 이전했다. 공사 기간은 3년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율곡로 38번지에 위치한 구 종로경찰서 방범순찰대 청사는 리모델링을 거쳐 기자실, 역사관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한다.


3. 지구대 · 파출소[편집]


지구대명
우편번호
주소
전화번호
종로2가지구대
03140
서울 종로구 종로17길 4 (종로2가)
02-3701-4301
관수파출소
03191
서울 종로구 삼일대로 386 (관철동)
02-3701-4302
세검정파출소
03017
서울 종로구 세검정로 226 (홍지동)
02-3701-4307
평창파출소
03011
서울 종로구 평창문화로 46 (평창동)
02-3701-4308
삼청파출소
03053
서울 종로구 삼청로 66 (소격동)
02-3701-4303
통의파출소
03044
서울 종로구 효자로 9 (통의동)
02-3701-4304
청운파출소
03047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 92-1 (궁정동)
02-3701-4305
옥인파출소
03035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17길 24 (옥인동)
02-3701-4306
교남파출소
03165
서울 종로구 송월길 152 (행촌동)
02-3701-4310
세종로파출소
04519
서울 중구 세종대로 141 (태평로1가)
02-3701-4312
신문로파출소
03175
서울 종로구 경희궁길 6-3 (신문로1가)
02-3701-4311
사직파출소
03029
서울 종로구 사직로 9 (사직동)
02-3701-4309
청진파출소
03153
서울 종로구 삼봉로 33 (수송동)
02-3701-4313


4. 조직[편집]


  • 경찰서장
  • 청문감사인권관
    • 청문감사인권실
    • 민원봉사실
  • 112종합상황실
  • 경무과
    • 경무계
    • 경리계
    • 정보화장비계
  • 생활안전과
    • 생활안전계
    • 생활질서계
  • 여성청소년과
    • 여성청소년계
    • 여성청소년수사팀
  • 수사과
    • 수사지원팀
    • 유치관리팀
    • 경제범죄수사팀
    • 지능범죄수사팀
    • 사이버범죄수사팀
  • 형사과
    • 형사지원팀
    • 강력팀
    • 형사팀
    • 생활범죄수사팀
  • 교통과
    • 교통관리계
    • 교통안전계
    • 교통조사팀
    • 교통범죄수사팀
  • 경비과
    • 경비작전계
  • 공공안녕정보외사과
    • 공공안녕정보계
    • 외사계
  • 안보과
    • 안보계


5. 연혁[편집]


날짜
내용
1945년 10월 21일
국립경찰 창설과 동시 낙원동 58번지(현 세무서)에 종로경찰서 개서
1948년 11월 25일
공평동 163번지(현 제일은행 본점)으로 이전
1950년 6월 25일
6.25 전쟁 발발로 대구 등지로 남하, 수복 후 상경
1957년 3월 13일
청사를 경운동 94번지(현 현대오일뱅크 재동주유소)로 신축 이전, 21개 파출소 관할
1968년 1월 21일
최규식 서장, 정종수 경사, 무장공비와 전투 중 순직(1.21 사태)
1982년 11월 22일
현 위치(경운동 90-18)에 건물 신축 이전
1997년 10월 15일
파출소 감축으로 2개 파출소(세종로, 내자) 폐지, 19개 파출소 관할
1998년 7월 1일
직제개정 및 파출소 통폐합 (본서 1관 7과, 7개 파출소 폐지, 12개 파출소 관할)
2000년 6월 1일
파출소 통폐합으로 2개 파출소(와룡, 재동) 폐지 (10개 파출소, 1개 초소(와룡) 관할)
2001년 12월 27일
서울종로경찰서로 명칭 개정
2003년 8월 1일
지역경찰제 실시 : 2개 지구대(종로, 광화문), 4개 특수파출소 관할(삼청, 옥인, 통의, 청운)
2006년 3월 1일
관할구역 조정으로 직제 변경, 본서 1관 8과(형사과 신설)
3개 지구대(세검정 편입), 4개 파출소, 5개 치안센터[5]
2006년 5월 2일
교남치안센터를 교남파출소로 개소
(지구대 3개소, 파출소 5개소, 치안센터 4개소)
2009년 4월 10일
구기동 교통센터를 구기치안센터로 개소
(지구대 3개소, 파출소 5개소, 치안센터 5개소)
2009년 4월 22일
효자동 소재 202경비대 CP를 효자치안센터로 개소
(지구대 3개소, 파출소 5개소, 치안센터 6개소)
2009년 4월 29일
중구 태평로1가에 세종로파출소 개소
(지구대 3개소, 파출소 6개소, 치안센터 6개소)
2009년 10월 9일
광화문지구대를 신문로 파출소와 사직파출소로 전환
(지구대 2개소, 파출소 8개소, 치안센터 5개소)
2009년 12월 11일
청진치안센터를 청진파출소로 개소
(지구대 2개소, 파출소 9개소, 치안센터 4개소)
2010년 4월 29일
종로지구대를 종로2가파출소와 관수파출소로 전환
세검정지구대를 세검정파출소와 평창파출소로 전환
(파출소 13개소, 치안센터 2개소)
2011년 1월 11일
효자치안센터 폐지(파출소 13개소, 치안센터 1개소)
2013년 12월 11일
여성청소년과 신설 (1관 9과)
2014년 4월 2일
112종합상황실장 직제 신설 (1관 1실 9과)
2014년 8월 11일
여성청소년과 성폭력전담수사팀 신설
2017년 7월 18일
교남파출소 신축청사 개소 (종로구 송월길 152)
2018년 11월 19일
종로2가파출소를 종로2가지구대로 전환 (지구대 1개소, 파출소 12개소, 치안센터 1개소)
2022년 8월 4일
종로경찰서, 신축공사를 위해 임시청사로 이전(공평동 1)
2023년 5월 17일
종로 방순대 129중대 해체 (의무경찰 완전 폐지로 인한 부대 해체)


5.1. 일제강점기 시절[편집]




파일:예전 일제강점기 당시 경성종로경찰서.jpg

일제강점기 당시 김상옥 폭탄 투척 이전 모습

파일:external/www.weeklyseoul.net/31197_3851_2736.jpg

일제강점기 당시 파괴된 건물 복구
경성종로경찰서

일제강점기의 신문기사와 창작물에 거의 매번 등장하는 경찰서. 창작물에서는 종로경찰서 고등계가 항상 서대문형무소와 함께 독립운동 탄압으로 악명을 떨치고 있다. 당시 경성종로경찰서는 서울 종로구 보신각 사거리 SC제일은행 본점 자리에 있었다.

본래 1915년에서 1929년까지 옛 한성전기회사 사옥을 쓰고 있었으나 의열단원이었던 김상옥의 폭탄투척으로 이후 경성복심법원이자 한때 대한제국의 최고 법원이었던 평리원이 있던 건물을 쓰게 되었다. 해방 후에도 계속해서 종로경찰서가 여기서 1957년까지 한동안 쓰였는데, 1957년에 다시 경운동으로 이전했다. 이승만 정권과 박정희 정권 시절에는 계속해서 옛날 구 종로경찰서를 썼는데 주로 시국사범들이 잡혀오던 장소이기도 해 독재정권 당시 구 종로경찰서는 공안정국의 주춧돌 노릇을 하기도 했다.

서대문 형무소는 지금까지도 박물관으로 남아있지만[6], 당시의 종로경찰서는 남아있지 않고 옛 한성전기회사 사옥, 구 평리원 청사 모두 헐리고 만다. 만약 남았다면 서대문형무소처럼 박물관화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본 문서 사진에도 있는 현대의 종로경찰서 건물은 1982년에 신축한 건물로, 일제강점기의 종로경찰서 건물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일제강점기 배경 창작물에서 독립운동 탄압에 앞장서고 독립운동가들을 고문하는 고등계 형사들은 백이면 백 이곳에 소속되어 있다. 그리고 해방 후에도 같은 곳에서 계급이 높아져서 계속 근무하였다.

일제강점기를 주제로 한 작품의 주요 무대가 되는 경우 허구한 날 털리는 곳이기도 하다.


6. 창작물에서의 등장[편집]



6.1. 영화[편집]




6.2. 드라마[편집]




7. 교통[편집]



7.1. 버스[편집]


조계사.종로경찰서/인사동들머리.3.1.독립선언터(01201·01202·01267·01727·01889)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광역

간선

지선

마을

경기도 시내버스
직행

[1] 본 건물은 과거 SM면세점 건물로, 임시청사이다. 청사 신축을 위해 이전하였다.[2] 행정동 삼청동, 사직동, 교남동, 가회동, 평창동, 부암동, 무악동, 청운효자동종로1.2.3.4가동 일부. [3] 단 경비경찰들의 대다수는 종로경찰서 소속이 아니라 기동본부 산하 각 기동단에 배치된 경찰관기동대원들이다. 물론 이들의 지휘에 종로경찰서 경비과장이 관여하며, 종로경찰서 내에도 의무경찰 대원으로 구성된 방범순찰대가 있다. 교통전담중대라는 점은 그냥 넘어가자.[4] 보통 종로경찰서장은 경비통이 임명된다.[5] ※ 세검정지구대, 평창·교남치안센터를 서대문경찰서로 편입, 종로3가치안센터를 혜화경찰서로 편입[6] 서대문형무소는 해방 이후에도 계속 서울구치소라는 이름으로 명칭을 변경해서 썼다. 민주화 이후에는 이전을 했다.


7.2. 도시철도[편집]



8. 관련 문서[편집]




9.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6:26:03에 나무위키 서울종로경찰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