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석버스

덤프버전 :


여객자동차 운수사업

[ 펼치기 · 접기 ]
운송사업
노선형
시내버스
광역급행형직행좌석형좌석형ㆍ일반형
농어촌버스
직행좌석형좌석형ㆍ일반형
마을버스
-
시외버스
고속형ㆍ직행형ㆍ일반형
구역형
전세버스
-
특수여객 (장의차)
-
일반택시
경형ㆍ소형ㆍ중형ㆍ대형ㆍ모범형고급형
개인택시
경형ㆍ소형ㆍ중형ㆍ대형ㆍ모범형ㆍ고급형
수요응답형
-
대여사업
-



버스/Express City Bus

1. 개요
2. 종류
3. 좌석형 차량
3.1. 논란 및 문제점
4. 좌석버스 독점 구간
5. 운행계통
5.1. 국내 운용 현황
5.2. 외국의 좌석버스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노선버스에 투입되는 입석형과 반대되는 개념의 좌석형 차량. 또는 그러한 차량으로만 운행되는 버스노선의 운행계통. 보통은 시내버스농어촌버스의 일종으로서의 좌석버스로 한정된다. 시외버스나 고속버스는 좌석버스가 기본이기 때문이다.


2. 종류[편집]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시행규칙상 좌석버스는 3가지 종류로 나뉜다.

  • 광역급행형: 시내좌석버스를 사용하고 주로 고속국도, 도시고속도로 또는 주간선도로를 이용하여 기점 및 종점으로부터 5킬로미터 이내의 지점에 위치한 각각 4개 이내의 정류소에만 정차하면서 운행하는 형태. 다만, 관할관청은 도로상황 등 지역의 특수성과 주민편의를 고려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기점 및 종점으로부터 7.5킬로미터 이내에 위치한 각각 6개 이내의 정류소에 정차하면서 운행하게 할 수 있고, 법 제7조에 따른 운송개시 후 지역 여건 등이 변경되어 정류소를 추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기점으로부터 7.5킬로미터 이내에 위치한 2개까지의 정류소에 추가로 정차하면서 운행하게 할 수 있다.

  • 직행좌석형: 시내좌석버스를 사용하여 각 정류소에 정차하되, 둘 이상의 시ㆍ도에 걸쳐 노선이 연장되는 경우 지역주민의 편의,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하여 정류구간을 조정하고 해당 노선 좌석형의 총 정류소 수의 2분의 1 이내의 범위에서 정류소 수를 조정하여 운행하는 형태.

  • (일반)좌석형: 시내좌석버스를 사용하여 각 정류소에 정차하면서 운행하는 형태.


3. 좌석형 차량[편집]


좌석버스는 도시형버스(입석버스)와 외형적으로 동일한 차량의 실내 레이아웃에 2인용의 머리 받침 부분이 높은 시트를 장착하여 운행하는 버스 차량이 있고 시외버스나 고속버스에서 볼 수 있는 차량으로 시내버스를 운행하여 고급화한 형태도 있다.

1990년대까지는 좌석 확보를 위해 뒷문이 없는 차량[1]이 많았으나 부산에서는 1992년부터 뒷문이 있는 좌석버스[2]를 많이 출고했었다. 이것이 전국으로 퍼져 광주, 대전 등은 1996년 즈음부터 점차 전중비형 좌석버스의 비중을 늘려갔으며, 1998년 즈음부터는 많은 곳에서 전중비형 차량을 뽑고 있으며 고급좌석(BH115H, 에어로 스페이스 LS 등)에 전중비형이 개발된 것과 궤를 같이한다. 2000년대는 전중비형이 거의 기본 옵션이다.

다만 입석금지로 인해 KD 운송그룹, 경남여객 등 수도권 광역버스들은 2014년 후반부터 전비형[3]으로만 뽑고 있으며, 문경여객, 상주여객, 울진여객 등은 좌석버스에 시외직행 옵션의 전비형 차량을 투입한다.

국내에서는 좌석형 저상 모델이 없어서 모두 2층버스로 대신해 운행한다.[4] 그러나 2층버스는 일반 버스보다 차체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다리 교각 등에 끼이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어서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2층버스 운행이 불가능한 노선에 좌석형 저상 차량을 도입한다면 특수학교에서 운행중인 통학버스의 사례처럼 좌석형 버스를 휠체어 탑승이 가능하도록 개조해야 한다. 유럽산 좌석형 저상 모델은 모두 국내 차량한계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중문은 없지만 앞문과 뒷바퀴 뒤의 뒷문이 있는 형태의 전후비형 좌석차량을 운행하기도 한다.

3.1. 논란 및 문제점[편집]


  • 착석 서비스를 제공하여 돈을 더 받는 것이 좌석버스이므로 원래 2:2 배열 풀좌석 차량이 정답이다. 그런데 일부 업체들이 차값을 아끼고 입석 승객을 더 받겠다는 이유로 우등처럼 2:1 배열의 차량을 투입하여 쓸데없이 돈만 더 받는 입석버스[5]라고 까이기도 한다. 특히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 진입 좌석버스 노선의 경우에는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며 까이는 중. 이들은 입석금지가 적용될 수 있는데도. 그로 인해 좌석버스를 일반버스 도색으로 칠하는 추태가 벌어지기도 한다.
    • 반면 2:1 배열 차량을 입석버스 등급으로 굴리는 곳도 많다. 2006년 대개편 이후 좌석버스라는 존재를 없애버린 광주광역시가 급행/간선버스에 2:1 배열을 처음 적용했으며 이후 인천 등의 타 도시로 퍼져나갔다. KD 운송그룹 또한 이 배열을 기본적으로 적용한다.
  • 입석 노선보다 가격이 비싼 좌석 노선의 비중이 높은 지역이 많아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의 빈축을 사기도 한다. 주로 경주[6] 등 지방, 특히 독점 체제로 운영되는 지역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는 문제이다.
  • 화성시 소속의 제부여객 340번대 계열 좌석버스 노선의 입석시내 예비차량이 문제로 꼽혔다. 좌석버스 노선에 입석시내버스를 운행하면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위반에 해당된다. 좌석버스 노선에 입석버스를 운행하다가 결국 경기도와 화성시한테 걸렸다고 한다. 좌석버스 예비차가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입석버스를 가져와서 좌석노선에 불법 투입했다고 한다.

4. 좌석버스 독점 구간[편집]


보통은 입석버스가 다니는 구간에서 좌석버스가 보충적으로 운행하는 형태가 많지만, 어떤 구간은 좌석버스만 다니고 일반버스가 안 다니는 구간도 있다. 그런데 이게 문제가 되는 이유는 국가유공자(6.25 전쟁 참전용사베트남 전쟁 참전용사 등) 무임승차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국가유공자 무임승차는 시내일반버스(입석버스)만 가능하다. 입석 시내버스보다 급이 낮은 마을버스불가능하나, 일부 지자체에서는 자체 규정을 만들어 마을버스까지 무임승차가 가능하게 하기도 한다. 그리고 좌석버스에는 저상버스가 없기 때문에(좌석버스 등급에 맞게 차량도 반드시 좌석형 차량이 투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고속도로나 고속화도로를 경유하는 시내버스의 경우에도 반드시 안전벨트가 장착된 차량만을 투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좌석버스 독점구간은 휠체어 탑승이 어려워 장애인 이동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2층버스로도 해결할 수 있기는 하지만 2층버스는 차체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다리 교각 등에 끼이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장애인 복지시설이나 특수학교에서 운영하는 버스의 사례처럼 좌석형 버스를 휠체어 탑승이 가능하도록 저상형으로 개조하는 방법도 있긴 하다.

좌석버스 독점구간이 존재하는데 이는 전국적으로도 드문 형태이기에 여기에다가 별도로 기술한다. 1 km 이내에 도시형버스가 아예 다니지 않거나, 다니더라도 좌석버스 대비 배차간격이 지나치게 길다고 인정되는 경우를 모두 적을 수 있다. 다만 자동차전용도로 상에서 빠져나오는 형태의 정류소(예: 난지도하수처리장[7], 경기순환버스 환승정류장, 의왕톨게이트 등)는 제외한다. 국가유공자 무임승차 불가능을 기준으로 하되, 입석버스보다 요금이 비싼 경우도 같이 기술하였다.

또 자동차전용도로(고속도로 포함)를 경유한다면 대부분 광역버스, 직행좌석버스 형태이고 적어도 일반좌석버스인 경우가 많다. 자동차가 고속으로 달리는 자동차전용도로로 통행하다 사고가 나는 경우 입석승객이 위험하기 때문에 수도권에서는 대체로 입석버스의 자동차전용도로 통행을 막고 있으며, 불가피하게 이런 도로로 우회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우회 구간 내 승객 잔류를 막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서울 버스 111, 대구 수성3, 수성3-1이나 403번 같이 입석버스로 자동차전용도로를 통행하는 경우도 있다.

4.1. 수도권[편집]


  • 서울특별시 디지털미디어시티 - 강남대로 : 470번이나 전철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과도한 소요시간으로 의미가 없어서 사실상 9711번에 의지하고 있다.[8]
  • 서울특별시 강서구 오쇠동 - 부천시 대장동 : 화훼단지 - 부천시자원순환센터 구간은 1001번만 정차하며, 9008번만이 해당 구간을 운행한다. 오쇠동 - 인천 계양구 상/하야동 구간은 인천 버스 300이 30여 분 간격으로 운행하므로 제외한다.
  • 서오릉로: 전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은 서울 버스 9701뿐이다. '원당역 - 원흥도래울마을' 구간은 서울 버스 7728이, '용두사거리 - 서울시계' 구간은 서울 버스 702A가 다니나 '원흥도래울마을 - 용두사거리' 구간이 좌석버스 단독 구간이다. 이 구간은 한 정거장이나 거리가 약 1.2 km이다.
  • 인천광역시 서구 주안공단 : 린나이코리아~공단본부 구간은 306번, 307번만 운행한다.
  • 인천광역시 연수구 - 중구 영종하늘도시, 인천국제공항 : 동춘2동과 송도국제도시에서는 급행91번, 구 송도 일대에서는 72번을 타고 청라로 가서 202번을 탈 수도 있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도시철도는 소요시간 상 이점도 없는데다 요금이 무시무시하게 비싸서 공항좌석버스에 의존하고 있다.
  • 인천광역시 중구 용유동, 을왕동 : 덕교동~용유초등학교 구간은 111번306번만 운행한다.[9] 을왕동은 204번 간선버스가 운행하긴 하나 이 역시 배차간격이 60분 이상이라 사실상 좌석버스 독점.
  • 대부도, 선재도, 영흥도: 인천 버스 790. 선재도와 영흥도는 단독구간, 대부도 행정복지센터에서 선재도로 들어가는 길은 안산 버스 727, 727-1 통합 일 14회 운행하므로 목록에 포함한다.
  • 고양시 가라뫼 - 관산동/내유동: 82번이 있으나 능곡과 서울시립승화원으로 우회해서 오래 걸릴 뿐더러 코로나 감차 이후 배차간격이 뜸해져 의미가 없어 사실상 85번, 1082번에 의지하고 있다.
  • 남양주시 지금동 - 구리시 토평IC : 강변북로 수석동 - 토평IC 구간은 직행좌석버스만 다닌다. 수석동은 8-2번이 들어가긴 하였으나 폐선되어서 의미가 없다. 가운사거리 이북부터는 일반시내버스도 다닌다.
  • 남양주시 오남읍 - 진접읍 : '삭다니 - 궁골' 구간은 105번 단독 구간이다.
  • 수원시 경수대로 : 수원 버스 300. 지지대고개~한일타운 구간은 중복노선이 치고 넘치지만 한일타운~동수원사거리 구간은 사실상 독점 중이며, 수원시 경수대로 전 구간을 이용하는 노선은 이 노선과 배차간격 1시간 이상인 입석버스 수원 버스 300-1뿐이다.
  • 화성시 양감면 요당리, 평택시 청북읍 고렴리: 39번 국도 서해로를 비슷하게 따라가는 구간이다. '요당2리 - 청북읍사무소.신포' 구간은 수원 버스 8471, 8472만 다닌다.
  • 화성시 전곡항: 화성 버스 1004-1, 화성 버스 1002. 이마저도 시간표 배차이다. 나머지는 모두 지역내에서만 운행하는 마을버스. 안산시 태화상운이 운행하는 시내버스 737번이 탄도에서 전곡항으로 연장하며 일반시내요금으로 이용이 가능해졌지만, 하루에 고작 다섯 번만 운행한다. 화성 버스 H50을 이용할 수 있다면 장외리 제부여객차고지로 나와 다른 노선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마저도 하루 16번만 운행한다.
  • 안산시 반월로 구반월 우회구간: 반월 진입 노선 대부분은 건건로를 이용한다. 안산 버스 3100, 안산 버스 3101만 반월로 우회도로를 달린다.
  • 부천시 작동 - 서울특별시 구로구 궁동: 길주로-신정로(작동터널, 궁동삼거리, 궁동터널)를 경유하여 부천과 서울을 잇는 노선은 부천 버스 700 하나뿐이다. '까치울역 - 궁동삼거리' 단독구간이며, 궁동삼거리에서 입석버스 환승을 위해서는 500 m 내외를 걸어야 하므로 사실상 양천구 신정동까지이다.
  •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3리: '전대3리'(29459/29865) 정류장이다. 마성 나들목 인근에 위치한 이 정류장은 에버랜드와 그리 멀지 않고 전대·에버랜드역에서 걸어갈 수도 있는 거리이며 인근 라마다호텔 정류장에 배차간격 짧은 입석버스가 정차하지만 이 정류소 자체는 용인 버스 5002, 용인 버스 5700만 정차한다.
  • 용인시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내부 : 용인 버스 1005, 용인 버스 1117, 용인 버스 1150, 용인 버스 1303, 용인 버스 1500-2만 정차한다. 1500-2를 제외한 나머지 노선은 외대로 구간(외대사거리-외대 캠퍼스 내부)만 이용할 경우 운임을 받지 않는다.
  • 경기광주 버스 111 : 이천과 여주 사이에 일반버스가 여럿 다니지만 배차간격이 매우 길어 의미가 없어 사실상 독점 상태. 게다가 이천종합터미널과 여주종합터미널을 잇는 노선은 이노선이 유일하다.
  • 경기광주 버스 114 : 이천과 곤지암 사이에 일반버스가 있지만 배차간격이 겨우 평일 24회 주말 17회로 사실상 독점 상태. 그나마도 경강선 전철 개통 후에는 수요가 줄어 감회되었고, 2020년대 초에는 일 10회만 운행했던 적도 있었다.
  • 포천시 운담사거리 - 일동사이판 - 38교 - 노곡리 - 이동 : 포천 버스 138-5. 입석버스 포천 버스 3은 일 5~6회 운행.
  • 포천시 영중면/영북면 산정호수 일대: 포천 버스 1386이 제일 잘 보이는 노선. 역시나 10(-1, -2)번 입석버스가 있어도 배차간격이 길어 의미없다.
  • 포천시 신북면 경복대학교 일대: 138번 본선의 사실상 독점 구간이다. 입석버스는 비중이 적다.
  • 가평군 청평터미널 - 대성리: 30-1이 있지만 배차간격이 겨우 일 3회. 사실상 1330 계열 직행좌석버스들(-2, -3, -4, -44)만 다니고 있다.

4.2. 강원특별자치도[편집]


  • 강릉시내 - 옥계면사무소 : 강릉시내에서 옥계면사무소까지 환승없이 갈 수 있는 노선은 110번이 유일하다.[10]

4.3. 충청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편집]


  • 청주시내 - 신탄진역 : 청주시내에서 현도면, 신탄진역까지 바로 가는 노선은 407번밖에 없다.[11]
  • 청주시내 - 증평군 송산개발지구 : 105-1번을 제외하면 청주시내에서 증평 송산개발지구로 가는 노선은 아예 없다.[12]
  • 계룡시, 동학사 - 세종터미널 : 계룡 3002번 좌석버스만 운행한다. 동학사에서는 공주 360번도 운행하나 토요일, 휴일만 운행하므로 논외.-일반버스 요금인거는 안비밀-
  • 세종특별자치시 소담동 한국개발연구원 - 대전광역시: 광역버스 대전, 세종 버스 1001대전 버스 B1을 제외하면 돌아가는 경로이다. 1001은 입석형 차량으로 운행하나 국가유공자 무임승차가 불가능하다.

4.4. 부산광역시[편집]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동마을 : 서부산TG가락IC 사이에 위치한 소규모 마을. 김해 버스 220만이 이 동네에 들어오는 버스노선이다. 김해 23번이 수가리까지 들어는 오지만 이쪽도 배차간격 1시간.
  •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산단 : 부산경남경마공원 인근에 있는 공단지대이며 1005번이 유일하게 지나간다. 강서12번도 들리기는 하지만 평일 출퇴근 시간에 한해서만 경유하기 때문에 논외.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신도시 정류장 (르노삼성대로) : 1011번과 2000번이 정차하는 정류장이며 명지오션시티에 들어오는 일반버스들은 모두 신도시 안으로 들어간다. 이 두 노선의 공통점은 장거리 노선이라는 데 있기에 해당 지역으로 갈 사람이 아니면 크게 불편함을 느낄 수 없다.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조각공원 : 급행버스인 1006번이 유일하게 정차하며 이외에는 마을버스인 남구10번이 정차한다.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정산성 동문, 남문 : 부산 버스 203만 다닌다.[13] 이곳은 1981년 11월 일어났던 버스 전복사고로 인해 좌석버스로만 운행하며 입석은 받지 않고, 요금도 다른 급행버스보다 비싸다. 금성동 거주자이거나 '온천장역 - 광명사' 구간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시형버스 요금을 징수한다. 도시형버스 요금 징수 조건에 해당되는 국가유공자의 무임승차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4.5. 대구광역시[편집]



4.6. 울산광역시[편집]


  • 울산역 - 울산시내 : 304번, 327번, 337번, 357번, 358번, 807번, 857번 일반시내버스가 있긴 하지만 과도한 소요시간[14]으로 인해 의미가 없어 사실상 리무진급행에 의지하고 있다. 따라서 울산역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무거동(신복로터리, 울산대), 공업탑, 달동(법원), 삼산동 일대를 갈 때도 비싼 리무진 버스를 이용 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15]

4.7. 경상북도[편집]


  • 경주시 - 문무대왕면감포읍, 산내면은 구역 내만 운행하는 수요응답형 버스를 제외한 전 노선이 좌석버스이고, 양남면은 전 노선이 좌석버스이다. 압권인 것은 130번의 경우 성인 기준 1,700원을 내고 현대 쏠라티를 이용해야 했다![16] 이 문제를 인식했는지, 2016년 7월 15일부터 국가유공자 좌석버스 무임승차제를 시행하였다.
  • 구미 버스 160이 경유하는 일부 정류장 : 구미시 사곡보성1차, 상모동신인터빌 정류장, 칠곡군 대동3차아파트, 신한그린타운, 소망빌라, 북삼휴먼시아, 인평중학교종점, 인평2리마을회관, 북삼농협 정류장. 대동3차아파트, 신한그린타운, 소망빌라 정류장은 60(-1)번이 있으나 배차간격이 통합 하루 5회라서 존재감이 없다.
  • 구미시 산동읍 구미확장단지 : 우미린센트럴파크후문 ~ 물내음공원입구 구간은 좌석버스 192번, 890번, 891-1번만이 경유한다.
  • 상주시: 노선 대부분이 좌석버스이며, 국가유공자 무임승차가 불가능하다.
  • 성주군/칠곡군 - 대구광역시: 성주, 칠곡 버스 250. 입석버스만 타려면 빙빙 돌아가야 한다.
  • 성주군 - 김천시: 성주 버스 1. 버스 운행횟수 자체가 일 6회로 적고, 그마저도 입석버스와 좌석버스가 반반 배차된다. 배차간격이 매우 길고 다른 경로는 빙빙 돌아가야 하므로 서술한다.
  • 영천시: 영천 버스 555는 좌석버스 노선이다. 일 1회 운행 영천 버스 763은 좌석형 차량으로만 운행하며, 일 4회 운행 영천 버스 753은 좌석형과 입석형 차량이 번갈아 운행한다. 입석버스와 좌석버스 간 요금 차이는 없으나 국가유공자의 무임승차 가능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4.8. 경상남도[편집]



4.9. 전라남도[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2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2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5. 운행계통[편집]


입석버스에 비해 정류장 수가 평균적으로 적으며, 평균 속도가 더욱 빨라 주요 거점을 빠르게 잇는 역할을 한다. 다만 비수도권 일부 지자체에서는 요금이 더 비싸고, 좌석이 좀더 좋을 뿐 입석버스와 정차하는 정류장 수가 동일한 경우도 있다. 심하면 하루에 1~3번 다니는 농어촌버스를 좌석노선으로 운행하기도 한다. 주로 경북 내륙지역 운수업체들에게서 볼 수 있는 풍경.

일반적으로 도시형버스의 요금보다 비싸지만, 시외버스보다 저렴하다. 직행좌석버스, 급행버스, 공항버스 등 여러 종류들이 있다. 그 중에 단순하게 '좌석버스'라고 불리는 버스는 대부분 일반좌석버스이며 시내버스에 포함되는 등급으로 사용된다. 대부분 BS106, 에어로시티 등의 도시형 대형버스로 운용하지만 일부는 FX116 또는 유니버스 등 고급형 차량이 들어간다. 몇몇 농어촌 지역의 좌석버스는 BS090, 그린시티 등의 중형버스를 운용한다.

좌석버스가 가장 먼저 운행한 지역은 부산으로 1978년부터 운행했다.[17] 당시에는 시내직행버스라는 이름을 사용했으며 이후 서울을 비롯한 다른 지역에도 점차 늘어나면서 좌석버스라는 용어가 정착되게 된다.


5.1. 국내 운용 현황[편집]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직행좌석버스간선급행버스의 아랫등급인 일반좌석버스의 형태로 운행한다. 해당 항목 참조.


5.1.1.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의 종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좌석버스(인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1.2. 청주시 시내버스의 종류[편집]


이 틀과 관련된 토론이 진행 중입니다.
파일:청주시 CI_White.svg

[[틀:청주시의 광역·급행·좌석버스|
광역ㆍ급행ㆍ좌석
]]ㆍ[[틀:청주시의 순환버스|
순환
]]ㆍ[[틀:청주시의 간선버스|
간선
]]ㆍ[[틀:청주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청주콜버스|
청주콜버스
]]
[ 노선목록 펼치기 · 접기 ]
광역

자율주행

급행

좌석

302
한시운행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청주시 시내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1.3. 익산시 시내버스의 종류[편집]


파일:익산시 CI_White.svg

{{{#fff,#1f2023 [[틀:익산시의 좌석버스|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f96c3; color: #fff"
간선
]]ㆍ[[틀:익산시의 일반버스|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8000; color: #fff"
순환
]]ㆍ[[틀:익산시의 지선버스|
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a5882; color: #fff"
행복
]]ㆍ[[틀:익산시의 폐선된 시내버스|
삼례
111, 111-1
333, 333-1
555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익산시 시내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 외국의 좌석버스[편집]


의외로 한국만큼 좌석버스가 활성화된 나라는 많지 않다. 대중교통 강국이라는 일본도 시내좌석버스의 개념이 없을 정도.[18]

파일:colimabus_suchitlan.jpg
콜리마 버스의 콜리마 - 수치틀란 노선에 다니는 차량. 광역권 내에서는 농어촌 지역까지 저렇게 좌석(광역)버스가 다닌다.

멕시코에서는 한국에서 마을버스로 쓸법한 봉고차가 좌석(광역)버스로 다닌다. 대형차량도 광역권 내에서 다른 도시간 들락거리는 경우도 없진 않으나, 대형차량은 일반적으로 시외버스 면허로 인가가 나는 편이며, 봉고차는 각 주의 좌석(광역)버스 면허로 인가난다. 그리고 그 봉고차를 가지고 고속도로에서 120~140km/h 정도 밟고 다닌다.(멕시코의 고속도로 제한속도는 90~110km/h) 시골에도 좌석버스가 다니며, 주민들의 교통을 책임진다.

유럽(및 유럽권) 지역에서의 좌석버스는 주로 공기업이나 거대 민영기업이 독과점하는 시내버스와 달리 철도 회사의 자회사나[19] 민영 회사 또는 좌석버스를 전담하는 회사가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처럼 농어촌 지역의 유일한 대중교통이 좌석버스인 경우도 꽤나 있고 주로 독일어권에서는 그런 버스조차도 없는 오지 지역에 Postbus라고 우체국에서 우편배달을 겸해서 승객을 수송하는 경우도 있었었는데 그런 노선들은 현재도 좌석버스로 운행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우리나라와는 달리 2010년대 들어서는 구형차 빼면 대부분 저상버스거나 교통약자(휠체어, 저시력자 등등) 대응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중단거리 노선엔 주로 저상버스, 중장거리 노선엔 휠체어 대응 고상버스가 들어가는 식이다.

중국에서는 베이징시, 톈진시같은 크고 아름다운 1급 도시들이 좌석버스를 시내 전용으로 굴린다. 베이징의 경우, 800번대와 900번대[20], 알파벳[지역이니셜]+00번대[21]의 일부[22]가 좌석버스이나, 톈진은 약간 랜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8:08:36에 나무위키 좌석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비형 차량이라고 부른다.[2] 전중비형 차량이라고 부른다.[3] 뒷문이 있는 차량 한정으로 뒷문을 폐쇄하고 좌석을 놓았다.[4] 모두 광역급행버스와 직행좌석버스 노선에서만 운행중이다.[5] 먼 옛날 경원여객이나 명성운수가 이런 행태를 보였다. 2022년 기준 KD 운송그룹의 일반좌석버스 노선이나 소신여객 700번에 있는 2대가 2:1 배열이다.[6] 단, 경주의 경우 입석버스 하차 이후 좌석버스로 환승할 때 추가요금이 부과되지 않는다.[7] 2020년 완전히 폐지된 정류장이다. 강변북로 노상에 존재했다.[8] 단 RH시간대 강변북로/올림픽대로 정체 시에는 수색역이나 디지털미디어시티역까지 걸어가서 전철만으로 가거나 경의중앙선을 타고 한남역에서 내려서 421번으로 환승 혹은 6호선을 타고 한강진역으로 가서 400번으로 환승하는 게 오히려 빠르거나 내지는 9711번과 소요시간이 비슷할 수도 있다.[9] 111번은 용유로를 경유하며 306번은 공항서로를 경유한다. 용유로를 따라 공영버스가 운행 중이나 배차간격이 60분 이상으로 사실상 의미가 없다.[10] 2020년 11월 9일 이전에는 111번도 있었으나 하루 3회뿐이며, 구 7번 국도로 운행하면서 전 정류장에 정차하는 특성상 과도한 소요 시간으로 인해 존재감이 없었다.[11] 청주시내에서 현도면 죽전리까지는 413번도 운행하나 1일 2.5회만 운행하고 신탄진에서 현도면 방향으로 운행하는 공영버스들도 세종 부강면이나 남이면까지만 운행한다. 적은 운행횟수는 덤.[12] 청주 111번과 증평 농어촌버스를 이용한다면 좌석버스 없이 갈 수 있긴 하나, 청주 버스와 증평 버스 둘 다 타 지역 버스와는 환승할인이 안 된다.[13] 203번의 종점인 죽전부락 및 공해마을은 부산 버스 금정1이 있기 때문에 제외.[14] 구간수요 등을 이유로, 답이 없을 정도로 돌아간다. 근데 타는사람이 적어서 무정차통과 때문에 생각보다 안걸린다... 저 버스들을 타면 KTX 타고 온 시간하고 시내 들어가는 시간과 비슷하게 걸릴 지도......[15] 과거엔 상대적으로 요금이 저렴한 직행버스인 1703번이 ktx 배차에 맞춰서 다녔지만 리무진버스와 경쟁에서 밀리면서 배차가 매우 늘어나 사실상 운 좋으면 타는 수준으로 전락했다.[16] 물론 쏠라티라던지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 같은 차량은 차급 면에서 카운티보다 더 고급으로 보기 때문에 좌석버스로 굴려도 아무 문제는 없다. 지금은 현대 카운티 뉴브리즈 일렉트릭으로 교체되었다.[17] 서울에서 먼저 운행한 좌석버스는 버스보다는 합승택시(또는 공유택시)의 개념인데, 2010년대에 부활할 뻔했다가 침체된 상태.[18] 좌석형 차량을 투입하거나 요금도 일반노선에 비해 약간 비싼 등 사실상 좌석버스나 마찬가지인 노선이 없는 것은 아니나, 한국처럼 좌석버스라는 개념을 법령상으로 정해놓지는 않았다. 더군다나 일본은 이런 좌석버스의 역할도 크로스시트형 광역철도(츄오쾌속선이나 케이힌도호쿠선) 혹은 일부칸을 그린샤형 좌석을 만들기도 하거나 오사카쪽에서는 최고 130km/h로 다니는 신쾌속이 대량운송을 하고 일본의 살인적인 교통비에 많은 회사들이 교통비도 월급에 포함시켜 지급하므로 좌석버스보다는 철도의 이용 비중이 더 높다. 이는 한국과 일본의 도시개발구조가 달랐기에 벌어지는 현상인 것.[19] 특히 독일철도의 좌석버스 망은 그 규모가 매우 방대하다.[20] 도심 6구 지역에서 착발[지역이니셜] S: 순이구 H: 화이러우구 X: 다싱구 M: 먼터우거우구 F: 팡산구 T: 퉁저우구 Y: 옌칭구. 미윈구, 핑구구, 창핑구는 지역이니셜을 사용하지 않고 한자 약어만 표기한다.[21] 도심 6구 이외 지역 운행.[22] 그 중에서도 오지로 가는 차는 좌석버스가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