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걱

덤프버전 :



파일:attachment/19b188d6-f42a-40.jpg

1. 개요
2. 역사
3. 재질
4. 기타


1. 개요[편집]


음식을 저어 섞거나, 긁어서 퍼내거나, 펴바르는 용도로 사용하는 도구이다. 서구권에는 완벽하게 일치하는 물건은 없지만 비슷한 물건으로는 Spatula, Serving Spoon, Scraper, Spreader 등이 있다.


2. 역사[편집]


역사를 볼때 경주 금관총에서 4-5세기 솥이 출토되므로 이때쯤 생겼을 확률이 높다. 처음에는 나무로 만들어졌으나, 고려시대에 이르러 놋쇠로 바뀌었다. 일부 해안지방의 경우는 가리비 등 대형 패각을 밥주걱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밥을 푸는 일 외에 고추장을 담글때 쓰이는 등 사용범위가 다양해졌다. 밥을 푸는 주걱은 놋쇠, 대나무로 사용하였고 고추장을 담글 때는 나무로 된 대형 주걱을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의 관습으로는 복이 집 밖으로 달아나지 못하게 솥 안의 밥을 주걱으로 풀 때 들이푼다고 한다. 요즘엔 밥을 푸는 주걱들은 거의 다 플라스틱 소재 아니면 실리콘으로 제작된다. 내열한도는 120°정도인 경우가 보통으로, 프라이팬이나 냄비 조리시에 나오는 높은 열엔 약하다.[1]

3. 재질[편집]


  •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 주걱은 소재 덕에 미칠듯이 튼튼한 내구도를 자랑한다. 하지만 가정에서 쓰는 코팅팬은 연약해서 금속 주걱을 마구 쓰면 코팅이 벗겨지고 긁힌다. 그래서 튼튼한 무쇠팬, 웍, 철판에서 하는 조리에 더 알맞다. 가정보다는 업계에서, 밥 푸는 용도보다는 다른 고열의 조리를 하는데서 더 많이 보이는 소재의 주걱이다.

  • 무쇠: 전통 중화요리용 제품으로 출시된다.

  • 나무, 대나무: 나무 주걱은 옻칠을 했나 안 했나로 나뉜다. 둘 다 내열성은 멜라민보단 더 나아서 열에 쉽게 손상을 입지는 않는다. 옻칠하지 않은 나무주걱의 경우 쓸 때 나뭇결에서 거스러미가 일거나,[2] 쓰다가 습기 때문에 곰팡이가 슬기도 한다. 옻칠한 나무주걱의 경우 거스러미가 일 우려가 거의 없고 열기와 습기 모두 강한 편이다. 나무라는 재질상 금속보다는 뭉툭하고 무르기 때문에 밥솥의 열기를 견디는건 물론, 코팅팬의 열기도 더 안전하게 견디면서도 표면에 손상을 별로 입히지 않는다. 안 타는건 절대로 아니니까 사용시 열기를 조심할 필요가 있다.

  • 플라스틱: 환경호르몬이 나오지 않는 BPA 프리 플라스틱이 주로 쓰인다. 하지만 이 주걱을 쓰는 가게에 가는 것이 꺼려진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을 정도로 플라스틱 주걱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나쁘다.

  • 나일론 섬유: 몇천원 정도 하는 싸구려에 주로 쓰인다.

  • 멜라민, 고무, 실리콘: 잘 휘어져서 그릇이나 냄비같은 곳에 붙어있는 밀가루 반죽이나 녹은 초콜릿을 긁어내는데 주로 쓰인다. 뜨거운 요리에는 부적합하다. 부주의하게 다룰 경우 프라이팬의 열기에 자기가 녹거나 눌어붙는 등 손상을 입는다. 열 때문에 해당 소재로 만든 주걱들에서 유해성분이 우러나오는게 아닌가 찝찝한을 느끼는 사람들도 있다.



4. 기타[편집]


일본에서는 주부의 부엌 다루는 일을 속되게 '주걱권리'(しゃもじ権)라고 부른다.

리그 오브 레전드잭스는 이걸 무기로도 쓴다고 한다.

메르헨 포레스트 2부의 던전에서도 무기들이 전부 다 주걱이다.[3]면서 이것 때문에 무기같지 않다며 팬들 사이에 호불호가 꽤 갈리는 편이다.

유튜버 씨씨코가 가장 사랑하는 물건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8:58:48에 나무위키 주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내열한도가 180~200°에 가까운 멜라민이나 실리콘 주걱도 자칫하다가 끝이 녹거나 늘어진다.[2] 잘못하다 잔가시처럼 변해 피부에 박힐 수도 있다.[3] 한번 맞으면 고통이 은근히 오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