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국 후주의 세종에 대한 내용은
시영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를
참고하십시오.
주세종 관련 틀 |
- ▼
- ||
- [ 펼치기 · 접기 ]
#555,#aaa
||<tablewidth=100%><tablebgcolor=#db530f><width=25%><height=80> [[강원 FC|[[파일:강원 FC 엠블럼.svg|height=50]]]][br][[강원 FC|{{{-2 {{{#fff 강원}}}}}}]][br][[윤석영|{{{#fff 윤석영}}}]][br][[윤석영|[[파일:2024 윤석영.png|height=50]]]]
||<width=25%><bgcolor=#FFD24F> [[광주 FC|[[파일:광주 FC 엠블럼.svg|height=50]]]][br][[광주 FC|{{{-2 {{{#000 광주}}}}}}]][br][[안영규|{{{#000 안영규}}}]][br][[안영규|[[파일:안영규24.png|height=50]]]]
||<width=25%><bgcolor=#b81c22> [[김천 상무 FC|[[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height=50]]]][br][[김천 상무 FC|{{{-2 {{{#fff 김천}}}}}}]][br][[김민덕|{{{#fff 김민덕}}}]][br][[김민덕|[[파일:player_20190041김민덕.png|height=50]]]]
||<width=25%><bgcolor=#59b8f6> [[대구 FC|[[파일:대구 FC 엠블럼.svg|height=50]]]][br][[대구 FC|{{{-2 {{{#fff 대구}}}}}}]][br][[홍철|{{{#fff 홍철}}}]][br][[홍철|[[파일:2024_홍철_프로필.png|height=50]]]] ||
||<height=80><bgcolor=#007e6e> [[대전 하나 시티즌|[[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height=50]]]][br][[대전 하나 시티즌|{{{-2 {{{#fff 대전}}}}}}]][br][[주세종|{{{#fff 주세종}}}]][br][[주세종|[[파일:24시즌 8. 주세종.png|height=50]]]] ||<bgcolor=#b5191a> [[FC 서울|[[파일:FC서울 엠블럼(적색배경).svg|height=50]]]][br][[FC 서울|{{{-2 {{{#fff 서울}}}}}}]][br][[기성용|{{{#fff 기성용}}}]][br][[기성용|[[파일:기성용2024.png|height=50]]]]
||<bgcolor=#093968> [[수원 FC|[[파일:수원 FC 로고.svg|height=50]]]][br][[수원 FC|{{{-2 {{{#fff 수원}}}}}}]][br][[이용(1986)|{{{#fff 이용}}}]][br][[이용(1986)|[[파일:2024 이용.png|height=50]]]]
||<bgcolor=#004290><color=#fff> [[울산 HD FC|[[파일:울산 HD FC 엠블럼.svg|height=50]]]][br][[울산 HD FC|{{{-2 {{{#fff 울산}}}}}}]][br][[김기희|{{{#fff 김기희}}}]][br][[김기희|[[파일:김기희2024.png|height=50]]]] ||
||<bgcolor=#033983> [[인천 유나이티드 FC|[[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50]]]][br][[인천 유나이티드 FC|{{{-2 {{{#fff 인천}}}}}}]][br][[이명주|{{{#fff 이명주}}}]][br][[이명주|[[파일:5ㅇㅁㅈ.png|height=50]]]]
||<height=80><colbgcolor=#034f36><color=#373a3c> [[전북 현대 모터스|[[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height=50]]]][br][[전북 현대 모터스|{{{-2 {{{#fff 전북}}}}}}]][br][[박진섭(1995)|{{{#fff 박진섭}}}]][br][[박진섭(1995)|[[파일:2024 박진섭.png|height=50]]]]
||<bgcolor=#F58125> [[제주 유나이티드 FC|[[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50]]]][br][[제주 유나이티드 FC|{{{-2 {{{#fff 제주}}}}}}]][br][[임채민(1990)|{{{#fff 임채민}}}]][br][[임채민(1990)|[[파일:임채민2024.png|height=50]]]]
||<bgcolor=#ad181d> [[포항 스틸러스|[[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height=50]]]][br][[포항 스틸러스|{{{-2 {{{#fff 포항}}}}}}]][br][[완델손|{{{#fff 완델손}}}]][br][[완델손|[[파일:완델손24.png|height=50]]]] ||
||<-4><bgcolor=#f7f7f7,#191919> ※모든 프로필 사진은 [[https://kleague.com/player.do|K리그 공식 웹사이트]] 등록 사진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
||<-2><bgcolor=#EB49A3> [[틀:WK리그/주장|{{{#ffffff ● WK리그 구단별 주장}}}]] ||<-2><bgcolor=#0068ac> [[틀:K리그2/주장|{{{#fff K리그2 구단별 주장 ▶}}}]] ||
|
주세종의 역임 직책 | - ▼
대전 하나 시티즌 역대 주장 | |
|
|
"그라운드 위 왕의 귀환, 미드필더 주세종"[1]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대전 하나 시티즌 소속
미드필더다.
FC서울과
대전 하나 시티즌에서 맹활약하며 K리그 정상급 중앙 미드필더로 자리잡았다. 독특한 이름 때문에 별명은 '
세종대왕', '킹세종.' 2024년 시즌도중
대전 하나 시티즌의 28대 주장직을 역임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주세종/클럽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주세종/국가대표 경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왕성한 활동량으로 미드필드 진영에서 존재감을 발휘한다.
부산 아이파크에서도
FC 서울에서도 체력과 활동량은 최상위권으로 호평을 받았다.
가장 큰 장점으로, 정확하고 날카로운 킥력까지 갖췄기 때문에 세트피스와 데드볼 상황에서 위협적이다. 시야가 넓고 판단력도 매우 빨라서 경기마다 승부를 좌우하는
날카로운 롱패스나
킬패스를 많이 보여 준다.
[2] 2018 러시아 월드컵 독일전에서 나온
손흥민의 추가 골 역시 주세종의 넓은 시야와 정확한 킥에서 나온 명장면이다.
단 슈팅은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데 파워는 강력한 편이지만 정확도가 상당히 떨어져 거의 대부분 홈런이 되기 때문. 다만 11월 A매치에 나선 벤투호에서는 프리킥과 코너킥 전담 키커로 나서 날카로운 킥을 보였다.
또한 플레이 메이킹과 수비 가담 양쪽에서 애매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수비형 미드필더로 뛰기엔 공수 공간 조절이나 수비력 자체는 조금 부족하고 공격형 미드필더로 뛰기엔 템포 조절이나 속도, 슛팅 등에서 아쉽다. 2016 시즌 초
신진호와
오스마르가 앞뒤로 받쳐 줄 때는 티가 안났지만 신진호가 입대하고 오스마르가 포백의 센터백이 된 후부터 이점이 드러나 지적을 많이 받았다. 전임자가
하대성과 신진호인 만큼 보다 스텝업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FC 서울이나
국가대표팀에서도 모두 전문 수비형 미드필더
[3] FC 서울의 오스마르, 국가대표팀에 정우영이 그 예시다. 대전에선 2024년부터 국가대표 출신 수비형 미드필더 이순민과 함께한다.
와 함께 후방 투볼란치 중 한 명으로 많이 출장한다.
- FC 서울 (2016~2017 / 2019~2020)

2012년 11월, 주세종이 트위터에서 한 여성 팬과 트윗을 하던 중, "야구 선수들이 못생기고 뚱뚱하다", "야구는 눈에 안좋은 스포츠다"와 같은 야구를 비하하는 듯한 발언을 하여 논란이 벌어졌다.
이후 주세종은 "친한 팬과 농담을 주고받은 것이었으며, 야구 팬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한다."는 사과문을 올리며 사건은 일단락되었다.

- 대전 입단 공식 사진을 대전 지역 소상공인 협업 프로젝트 ‘함께가게’ 가입 업체인 수입 가구 전문점 더보스퀘에서 촬영했다.
- 2021년 당시 카이저와 같이 대전 내 왕듀오로 불린 적이 있다.
- 안양시 출신으로 초등학생 시기까지 안양시에 거주하다가 중학생 시기부터 고양시에서 거주했다. 그래서인지 슈틸리케호에 발탁이 되자 안양시에서 그의 국대 발탁을 축하하는 현수막을 시내 곳곳에 걸기도 했다.[4] 다만 단순히 안양의 아들이라고만 표현했기 때문에 주세종의 소속 구단을 FC 안양으로 오해하는 사람도 있었던 듯하다.
- 안양 출신으로 FC 안양에서 FC 서울 유소년 구단로 넘어가서 안양 팬들의 증오 대상 1순위로 꼽히고 있다. 아산 무궁화 FC 시절 안양 홈에서 주세종이 공만 잡아도 유난히 안양 팬들의 원색적인 욕설이 많이 들렸다고 한다.
- 2020년 11월 7일에 유부남이 되었다. #
- 대전 입단 인터뷰에서 "인범이도 못한 승격을 자신이 해내겠다."고 발언을 했는데, 황인범이 SNS에 나타나 그 말 꼭 지키라며 압박하는말을 올려서 팬들을 웃게 만들었다. 그리고 팀은 2022 시즌 2위로 승강 PO에 진출하고 승강 PO에서 김천 상무를 꺾고 다음 시즌 K리그1으로 승격하는 데에 큰 공헌을 하며 입단 반 년만에 자신이 한 말을 지켰다.
- 슬하 1남 1녀 中 경기장에 자주 찾는 아들 온하 군을 몇몇 대전 팬은 애정을 담아 종종 문종이로 부르고 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10 15:06:46에 나무위키
주세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