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령터널(중앙고속도로)

덤프버전 :

역대 대한민국 최장 도로터널
1999년~2001년

2001년~2012년

2012년~2016년
둔내터널
죽령터널
배후령터널
3,300m
4,600m
5,057m

죽령터널
Jungnyeong Tunnel

춘천 방면
단양IC
← - km
파일:Expressway_kor_55.svg
중앙선터널
부산 방면
풍기IC
- km →



연장
중앙선
4,600m
관리기관
중앙선
파일:한국도로공사 CI.svg
대구경북본부 영주지사
건설사
중앙선
파일:코오롱글로벌 로고.svg
착공
중앙선
1996년 8월 9일
완공
중앙선
2001년 12월 26일[1]

1. 개요
2. 상세
2.1. 국내 최장의 도로터널(2001~2012)
2.2. 구간단속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와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를 잇는 길이 4,600m의 터널. 중앙고속도로의 일부로, 2001년 12월 14일 중앙고속도로 완전 개통과 함께 개통되었다. 부산 기점 238.2km에서 시작하여 242.7km에서 끝나며, 약 239.9km 지점에 경상북도와 충청북도의 경계가 있다.

2020년까지 한국도로공사 충북본부 제천지사 관할이었으나, 2021년부로 대구경북본부 영주지사 관할로 전환됐다.


2. 상세[편집]


개통 당시 국내 최장 터널이었던 죽령터널은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풍기 나들목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의 단양 나들목 사이에 있으며, 옛날 복선전철 이전의 중앙선 여객열차가 죽령을 넘는 데 30분이 소요되는 것에 비해 자동차는 5분. 중앙선 여객 열차를 공기수송으로 만들고 예천공항을 공군용 코렁시설로 전락시킨 주범이다. 원주공항의 원주 - 부산 항공 노선도 이 고속도로의 완전 개통 여파로 사라지고[2] 하루 한 번만 뜨는 제주행만 남았다.

다만 중앙선 철도의 경우,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서 오히려 고속도로보다 훨씬 빨리 통과하게 되었다. 게다가 KTX가 운행을 시작하면서 승객이 더 늘어났다. 안동역까지 완전 증속이 이루어지는 2023년 10월 이후부터는 사실상 중앙고속도로중앙선 철도에게 밀릴 전망이다.

터널내 비상구는 6개로, 대략 600m 간격으로 하나가 있다.

2.1. 국내 최장의 도로터널(2001~2012)[편집]


개통 이래 10년 넘게 국내 최장의 도로 터널 타이틀을 지킨 터널로, 개통 당시에는 영동고속도로둔내터널(3,300m)과 통영대전고속도로육십령터널(3,170m)와 함께 국내 터널 순위 Top3를 지키고 있었다.[3] 하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 3km짜리 이상 장대 터널(중부내륙고속도로장연터널, 고창담양고속도로의 장성3터널&문수산터널, 순천완주고속도로천마터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사패산터널)이 우후죽순 생기면서 이 타이틀도 무색해졌다.

2008년 가지산터널(4,580m)의 개통 때도 20m 차이로 아슬아슬하게 타이틀을 지켰지만, 2012년 3월 3일 개통한 46번 국도배후령터널(5,173m)로 인해 도로 터널의 콩라인에 입성했다.(...) 그래도 고속도로 터널로는 그때까지만 해도 국내에서 차트 1순위의 터널이었다. 그러나 2016년 6월 30일 동해고속도로문무대왕1터널(7,540m)이 개통하면서 콩라인에서 또 밀렸다.(...) 며칠 뒤(7월 3일), 강남순환로 관악터널(4,834m)이 개통되면서 락라인에서도 밀렸다. 2017년에는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인천북항터널과 서울양양고속도로의 인제양양터널(10,965m)이 개통되면서 1위의 절반에도 못 미치게 됐다.(...)차트 아웃 가장 긴 터널이 짧은 터널이 되는 마법.

그 후에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금정산터널(7,087m), 제2경인고속도로삼성산터널(4,885m), 부산 산성터널(4,875m), 함양울산고속도로의 터널이자 고속도로 터널 길이 순위 2위 재약산터널(7,912m), 6,465m의 신불산터널, 6,100m의 진해터널도 개통되면서 터널 길이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또한 앞으로도 최장터널이자 미래의 고속도로 터널 2위 순위의 남한산성터널(8km), 천황산터널(5km) 등이 연이어 개통 예정에 있어서 한참 밀려났고 그 외에도 여러 장대 터널들이 연이어 개통 예정에 있어서 앞으로도 밀려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중앙고속도로 내에서는 여전히 최장터널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죽령터널보다 더 긴 터널들은 2000년대 중반 이후의 토목기술을 활용하여 2010년대에 와서야 건설한 터널들이다. 죽령터널은 기술이 딸리는 1990년대 기술을 동원해 2001년 개통한 터널이라는 게 매우 중요한 차이점이다. 1990년대 도로 건설 기술을 적용한 중앙고속도로2020년대 기준 어떤 꼴을 보고 있는지 알면 죽령터널이 굉장한 토목공학적 의의를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2.2. 구간단속[편집]


대구 방향으로 터널 입구에서 출구 통과 후 1km 지난 지점까지 5.6km 구간단속을 실시하므로, 100km/h 정속 주행을 하자. 통과 시간은 3분 20초.[4]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2:15:02에 나무위키 죽령터널(중앙고속도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개통은 2001년 12월 14일에 했다.[2] 대신 시외버스는 춘천 ↔ 부산 노선에서 원주 ↔ 부산 노선이 독립되었다.[3] 죽령터널 개통 이전 기록은 남산1호터널 (1970년 8월~12월) - 남산2호터널 (1970년 12월~1984년) - 구덕터널 (1984년~1990년) - 해산터널 (1990년~1994년) - 창원터널 (1994년~1999년) - 둔내터널 (1999년~2001년)이다. [4] 해당 구간은 내리막길로 과속이 잦은데다 굴곡이 심해 사고 위험이 높다는 점으로 인해 구간단속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