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리역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화민국 타오위안시에 있는 역에 대한 내용은 중리역(타오위안) 문서
중리역(타오위안)번 문단을
중리역(타오위안)# 부분을
, 중화민국 이란현에 있는 역에 대한 내용은 중리역(이란현) 문서
중리역(이란현)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중리역(이란현)# 부분을
# 부분을
, 대전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역에 대한 내용은 중리역(대전) 문서
중리역(대전)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중리역(대전)#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폐역
중리 - [ruby(산인, ruby=~2012)] - 함안

中里驛
Jung-ri Station

중리역
부전·동대구 방면
마 산
← 6.6 ㎞
목포 방면
함 안
8.9 ㎞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Jung-ri
한자
中里
간체자
中里
가나
中里(チュンニ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함마대로 2803-3
(舊 중리 420-1)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위탁역)
(마산역 관리 / 코레일 부산경남본부)
운영 기관
경전선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경전선
1923년 12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철도거리표
경전선
중 리


1. 개요
2. 수요 및 열차 운행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시간표
5.1. 상행
5.2. 하행
6. 승강장
7. 여담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경전선철도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함마대로 2803-3 (중리)에 위치해 있다. 1923년 12월 1일에 개역하였고 현재의 역사는 1998년에 완공. 때문에 외관이 소규모 수도권 전철역 같은 느낌이 난다. 창원시의 최서단 역.

경전선 이설 사업에도 본래 모습과 자리 지켜

중리역은 1923년 12월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옛 역사는 48.8㎡ 규모의 목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였으며 1998년 말 현재의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작은 대리석 외벽의 현대식 역사로 중리공단이 가까이 자리하고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다.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에 소재하고 있으며 2012년 인근 다른 경전선의 역들이 경전선 이설 사업으로 옮겨지거나 폐역이 되는 중에도 본래의 모습과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그러나 기찻길의 방향과 모습은 많이 바뀌었는데, 지금은 이용되지 않는 광려천 중리천교[1]

를 통해 선로변화와 시간의 흐름을 느낄 수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수요 및 열차 운행 정보[편집]


중리역 인근에 내서택지지구가 조성되어 있고 삼계리 방면 시내버스들은 거의 모두 중리역 앞을 거치기 때문에 연계교통도 편리하다. 간이역스러운 분위기와 달리 웬만한 중소도시 중심역만큼이나 잠재 배후인구가 많은 역이지만[2] 마산역에만 KTX가 들어가고 무궁화호도 이 역보다 마산역에 훨씬 많이 서기 때문에 이 역을 이용하는 내서택지 주민들은 많지 않은 편이다. 어차피 마산역까지 들어가는 시내버스도 많기에 이 지역 주민들은 그냥 버스 타고 바로 마산역으로 가버린다. 그리고 80번, 110번, 3002번 버스는 중리역에서 마산역이나 창원역 둘 다를 거쳐간다.

중리공단으로 가는 버스로 올 때는 환승하지 말고 중리역에서 내리지 말고 내서우체국이나 한주아파트에서 내려서 걸어가도 된다.

장거리 이동 시에는 훨씬 좋은 마산역이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어서 빛을 못 보는 역이다. 다만 완행 단거리 이동 시에는 편수만 보장되면 경쟁력이 있어 보이기 때문에 철도 동호인들은 부전-마산 광역철도를 이 역까지 연장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한다. 참고로 창원시 최서단인 이 역에서 최동단인 창원중앙역까지는 무궁화호로 2,600원으로 23~24분 정도면 접근이 가능하다.

과거 1980년대만 해도 함안, 진주 지역 어르신들은 마산역보다 중리역을 더 애용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옛 마산역의 경우와 달리 지하통로 계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어서였다고 한다(...) 시골역이기 때문에 흔히 보는 평면교차 건널목을 통해 플랫폼으로 바로 연결. 구 11번[3] 버스를 타고 마산 시내(창동)로 바로 앉아서 들어갈 수 있는 것도 보너스였다고. 물론 지금은 엘리베이터가 있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중리역 바로 앞에 중부내륙고속도로 기점인 내서JC가 있다. 내서JC 진입로가 곧바로 중리역 광장으로 연결된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무궁화호|

무궁화호
]]
비고
2004년
107명

2005년
148명

2006년
139명

2007년
164명

2008년
159명

2009년
128명

2010년
134명

2011년
146명

2012년
150명

2013년
232명

2014년
269명

2015년
235명

2016년
192명

2017년
184명

2018년
178명

2019년
181명

2020년
128명

2021년
132명

2022년


출처
철도통계연보
[1] 현재 교량은 완전히 철거되었으며, 기존선의 선로 역시 2015년 기준 완전히 사라져 노반만이 남아있는 상태이다. [2] 역세권 인구만 따지면 내서읍 7만 + 함안군 칠원읍 등 포함하면 10만 근처로 밀양시에 크게 꿀리지 않는다. 참고로 마산회원구 인구에서 내서읍 인구를 빼면 10만이다.(...)[3] 현재의 251번. 다만 마산시내 선형은 다소 변경되었다.

  • 주된 수요는 중리역 서쪽인 진주시,하동군에서 나오며, 진주행 수요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중리역 서쪽 지역으로 경전선이 그나마 경쟁력을 가지는 것에 비해 동쪽 지역은 삼랑진으로 우회해서 가는 특성 및 저조한 배차간격 때문에 경쟁력을 가지기 어렵다. 그마저도 유가하락과 배차간격 감편으로 타 교통수단으로 이탈하는 중이다.
  • 장거리 수요가 거의 없는데, 주로 마산역이나 마산시외버스터미널,마산고속버스터미널,내서고속버스터미널로 버스로 이동한 후 환승하기 때문.
  • 인접하고 제일 교류가 많은 함안/마산/창원 방면 수요에서 철도는 외면 당한다. 기본적으로 내서에서 이 지역으로 가는 시내버스가 잘 짜여져 있기 때문. 함안군 소재역이 마산/창원 방면 수요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 과는 대조적이다. 함안의 경우 함안군 소재 역들이 이설로 인해 접근성이 크게 떨어진 게 크다.
  • 마산/창원 방면 수요도 미미하다. 시내버스가 잘 짜여져 있고, 내서-마산간 소요시간은 철도가 시내버스에 비해 다소 빠르지만 월등히 빠른 것은 아니며, 마산역 또한 합성동시가지에서 은근히 접근성이 떨어지는 편이며 무엇보다 열차 운행 횟수가 너무 적어서 시간표 보고 타는 것도 힘들 정도고, 각 아파트 앞에 정류장이 있는 버스에 비해 중리역 한 곳에만 서는 철도는 중리역까지 버스로 환승해 와야 하기 때문에 경쟁력이 떨어진다. 또한 마산합포구(신마산) 방면은 아예 철도가 지나가지 않아서 마산역 환승을 할 경우 빙 돌아가는 형태가 되어 소요시간이 더 걸린다. 그나마 거리가 있는 창원중앙역까지 속달성이 뛰어난 편을 살려 창원중앙역 수요가 다소 있는 편. 50분을 넘기며 환승이 1회 이상 필요한 시내버스에 비해 창원중앙역까지 22분만에 끊는다.
  • 호계리나 삼계리 쪽에선 버스가 접근성이 더 뛰어나고, 역이 인접한 중리의 경우에도 배차간격 때문에 이용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내서읍 호계리와 연담되어 있는 오곡리 일대 아파트 및 칠원읍 일대 또한 역세권으로의 잠재력을 충분히 지니고 있으나 사정은 마찬가지이다.
  •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 중 하나로 부전-마산 광역철도 연장이 있다. 역세권의 인구 규모 면에서나 역 접근성 면에서 광역철도역으로서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마산까지 들어가는 함안군 농어촌버스에 막대한 타격이 들어갈것이 뻔하기 때문에 손실보전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함안군 입장에서 선뜻 나서기 어렵다. 또한 이용객 중 노인무임의 비중이 마산시내에 비해 높기 때문에 운영사 입장에서도 문제. 다만 반대로 광역전철을 타고 부산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농어촌 버스의 수요가 늘 수도 있다.

5. 시간표[편집]



5.1. 상행[편집]


[[무궁화호|

무궁화호
]] (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7:14
무궁화
1902
동대구
07:56
무궁화
1942
부전
10:51
무궁화
1944
부전
14:27
무궁화
1952
부전
19:13
무궁화
1946
부전
21:58
무궁화
1912
동대구

5.2. 하행[편집]


[[무궁화호|

무궁화호
]]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7:58
무궁화
1951
목포
11:57
무궁화
1941
순천
14:43
무궁화
1943
순천
19:25
무궁화
1907
진주
20:33
무궁화
1945
순천
21:11
무궁화
1909
진주

6. 승강장[편집]


마산
2
|
|
|
|
1
함안


승강장은 2면 4선. 중간은 화물열차, ITX-새마을(구.새마을호)KTX 통과선이다.

2012년 10월 23일에 경전선 마산 ~ 진주 복선개통을 대비하여 승강장을 리모델링하고 선로 배선을 바꾸었다. 중리역의 역사는 불과 1998년에 완공된 준 신역사이지만, 그걸 부수기에는 곤란한 편이다. 사실 경전선 마산-진주 구간의 복선전철화 당시 시점인 마산역을 빼면 제자리를 지킨 유일한 역이다. 함안, 군북, 반성, 진주는 이설됐고 나머지들은 전부 폐역처리가 되었다. 다만 만약 부전-마산 광역철도가 중리역까지 연장된다면 신설될 가능성이 있다.

7. 여담[편집]


안그래도 외관부터가 소규모 수도권 전철역의 그것과 흡사한데, 경전선 복선전철화 공사를 실시하면서 승강장에도 현대화 공사를 하며 승강장을 외선인 2선에다, 상대식으로 배치하고, 중앙 2선을 통과선로로 배치하는 바람에, 이젠 역 내부까지 수도권 전철역의 스타일이 묻어나게 되었다.[4]

중리역에서 열차 접근시 박형욱 성우의 수도권 전철역 멜로디 타입의 방송이 나오며, 중리역에서 열차가 통과할 때와, 깨알같이 상행(삼랑진 방면)과 하행(광주송정 방면)의 멜로디 음은 수도권 전철의 안내 체계와 일치하다.

마산 전투 항목에 있는 미 육군 제25사단 전차중대의 헐 다운 방어선 사진이 중리역 옆 광려천에서 찍은 것이다. 과거에는 감천 쪽으로 들어가는 철도 인입선이 있었다고 한다. 다만 중리역은 최전선이 아니라 후방 보급기지인 마산으로 들어가는 길목에 해당했다. 실제 전투는 원북역~구 함안역사이의 방어산~삼봉산 능선에서 일진일퇴의 공방을 거듭했다.

앞서도 말했지만 내서읍에서 부산을 갈 때 이 역에서 기차를 타는 것은 비효율적인 행위다. 환승저항이야 없겠지만 열차 편수도 없고, 삼랑진역 드리프트가 있기 때문. 그냥 마산시외버스터미널로 가는 것이 낫다. 다만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개통된다면 지금보다는 더 쉽게 부산으로 갈 수 있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6:55:46에 나무위키 중리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4] 비슷한 곳은 중앙선 아화역 운학신호장 2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