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고지 독일어

덤프버전 :



게르만어파

[ 펼치기 · 접기 ]
북게르만어군
동스칸디나비아어군
노르웨이어(보크몰) · 덴마크어 · 스웨덴어
서스칸디나비아어군
노르웨이어(뉘노르스크) · 아이슬란드어페로어 · 노른어
서게르만어군
북해 게르만어군
Ingvaeonic
앵글어군
영어(고대 영어) · 스코트어 · 욜라어 · 핑갈어
프리지아어군
프리지아어
저지 독일어
저지 프랑크어군
Istvaeonic
네덜란드어 · 플람스어 · 림뷔르흐어 · 아프리칸스어
고지 독일어
Irminonic
중부 독일어
룩셈부르크어 · 표준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상부 독일어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이디시어 · 랑고바르드어
동게르만어군
고트어 · 크림 고트어 · 반달어 · 부르군트어
* 취소선: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관련 문서

<^|1><height=34><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Diutsch
Mittelhochdeutsch[1]

중세 고지 독일어
언어 기본 정보
어족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엘베게르만어군
중세 고지 독일어

문자
로마자
언어 코드
ISO-639-3
gmh


중세 독일어 소개 영상
1. 개요
2. 표기와 발음
3. 문법
3.1. 명사류
3.1.1. 관사
3.2. 동사류
4. 예시
5. 문헌



1. 개요[편집]


중세 고지 독일어는 1050년부터 1350년까지 쓰인 독일어의 고어로, 고대 고지 독일어(Althochdeutsch)와 초기 신고지 독일어 (Frühneuhochdeutsch)의 중간에 위치한다.


2. 표기와 발음[편집]


중세 고지 독일어는 고대 고지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로마자와 표기된다. 다만 현대 독일어와 다른 점이 있으니 유의하여야 한다.

모음[2]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

평순 모음
원순 모음









고모음
i
î
ü
iu


u
û
중고모음
e
ê






중모음
æ
ö
œ


o
ô
저모음




a
â



장모음을 표기하는 방법이 현대 독일어와 다소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다. a, e, i, o, u의 장모음은 서컴플렉스를 붙여 나타내며, a와 o의 움라우트는 e와 결합된 형태인 æ, œ를, u의 움라우트는 iu[3]로 장모음을 표기하는 것일 알 수 있다.

현대 독일어와 달리 중세 고지 독일어에는 ei, ou, ie, uo와, ou와 uo가 움라우트된 öu, üe가 있다.

중세 독일어의 일부 단모음(Monophthong)은 현대 독일어에서 이중모음화 되거나 그 반대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는데, 전자의 예시로는 î > ei /aɪ̯/, iu > eu /ɔɪ̯/, û > au 등이 있다.

자음

순음
치경음
치경구개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비음
m
n

ŋ <ng>

파열음
p b
t d


k <k, ck/kk, c>[4] g

마찰음
f <v, f>[5] v
s <ȥ/ȥȥ>[6] z <s>
ʃ <sch, s[7]>
ç[8] <ch>
x[9] <h, ch>
h
파찰음
pf <pf, ph>
ts <z, tz>




유음

l, r




반모음
w


j




3. 문법[편집]



3.1. 명사류[편집]


중세 고지 독일어의 명사는 현대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문법적 성 3개[10], 문법적 수 2개[11]와 문법적 격 4개[12] 범주로 나뉘어 곡용한다. 명사의 곡용은 크게 강변화와 약변화로 나뉘는데, 강변화 명사는 게르만 조어를 기준으로 어간의 종류에 따라 곡용 양상이 다양하던 고대 고지 독일어에 비해 단순해졌다.

강변화 명사

강변화 명사는 크게 세 유형으로 나뉜다.

제1형


남성 명사
중성 명사
여성 명사
신고지 독일어
der Tag(날)
das Wort(단어)
die Zeit(시간)
Sg.
N.A.
tac
wort
zît
G.
tages
wortes
zîte
D.
tage
worte
Pl.
N.A.
tage
wort
zîte
G.
worte
D.
tagen
worten
zîten

제1형 명사는 복수형에서 움라우트화 되지 않는 명사다. 여담으로 중성명사 wort가 신고지 독일어에서 das Wort - die Wörter로 마치 중세 고지 독일어의 2형 강변화에 속할 것 같이 생긴 것과는 달리 당시에는 1형 강변화에 속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제2형


남성 명사
중성 명사
여성 명사
신고지 독일어
der Gast(손님)
das Blatt(잎)
die Kraft(힘)
Sg.
N.A.
gast
blat
kraft
G.
gastes
blates
krefte
D.
gaste
blate
Pl.
N.A.
geste
bleter
krefte
G.
D.
gesten
bletern
kreften

제2형 명사 가운데 중성명사 복수표지는 -er인데, 이는 인도유럽조어의 -os, -es 어간 명사에서 유래한다.

제3형


여성 명사
Sg.
gâbe
Pl.
N.A.
gâbe
G.D.
gâben

제 3형 명사에는 여성명사만 해당된다.

약변화 명사

대표적으로 N곡용(N-Deklination)이 있다.

현대 독어와 달리 형용사와 수식어의 위치가 좀 더 자유롭다. 가령 현대 독어에서는 형용사가 명사 앞에서 수식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중세 독일어에서는 von helden lobebæren에서 볼 수 있듯이 명사인 helden을 형용사 lobebæren이 후치수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3.1.1. 관사[편집]


현대 독일어 보다 복잡하였다. 독일어/문법 문서 참조.


3.2. 동사류[편집]


현대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강변화 동사와 약변화 동사로 나뉜다. 강변화 동사는 인도유럽조어 시절부터 내려오던 e-o 압라우트(Ablaut)에 따라 시상 변화를 하며, 약변화는 이후에 파생된 동사를 기원으로 둔다.

강변화 동사

강변화 동사는 그 굴절 양상에 따라 총 7종류로 나뉘며, 강변화 동사 과거형의 단수와 복수에 차이가 없는 현대 독일어와 달리 중세 고지 독일어에서는 이 둘이 구분되었다.

예) neman (기본형)- nam (과거 단수) - nâmen (과거 복수) - genomen (과거 분사) (현대 독일어: nehmen - nahm - genommen)


기본형
과거 단수
과거 복수
과거 분사
1.AR[13]
î
ei/ê
i
i
2.AR
ie
ou/ô
u
o
3.AR
i
a
u
u/o
4.AR
e
a
â
o
5.AR
e
a
â
e
6.AR
a
uo
uo
a
7.AR
V
ie
ie
V

위의 표는 중세 고지 독일어 강변화 동사의 모음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흔히 영어와 독일어 같은 게르만어파 언어를 배울 때 이러한 동사들은 별도로 암기해야 하는 불규칙 동사 취급받기 마련이다. 하지만 인도유럽조어로 거슬러 올라가면 이러한 동사활용은 상당히 규칙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압라우트 1형부터 5형까지는 e - o - zero grade에 기반하며, 그 뒤에 무엇이 오냐에 따라 게르만 조어로 넘어오면서 다른 음운변화를 거쳐, 각기 다른 형태로 발전하였다.

I. 1형 압라우트 (ei̯[14] - oi̯ + i)

PIE.
*ghréi̯bonom
*gheghrói̯ba
*gheghribmé
*ghribonós
PG.
*grīpanan
*gegraipa
*gegripum
*gripanas/z
OHG.
1a
grîfan
greif
griffum
gigriffan
1b[15]
zîhan
zêh
zigum
gizigan
MHG.
1a
grîfen
greif
griffen
gegriffen
1b
zîhen
zêch
zigem
gezigen

어간의 마지막 자음이 d, s, h일 경우, 문법적 변화[16][17]에 따라, 과거 복수와 과거분사에서 각각 t, r, g가 된다.
예) lîden - leit[18] - liten - geliten

II. 2형 압라우트 (eu̯ - ou̯ + u)

PIE.
*bhéu̯ɡhonom
*bhebhóu̯gha
*bhebhughmé
*bhugonós
PG.
*beuganan
*bebauga
*bebugum
*boganas/z
OHG.
2a
biogan
boug
bugum
gibogan
2b[19]
ziohan
zôh
zugum
gizogan
MHG.
2a
biegen
bouc
bugen
gebogen
2b
ziehen
zôch
zugen
gezogen

1형 압라우트와 마찬가지로 문법적 변화를 한다.

III. 3형 압라우트 (eSC - oSC - SC)[20]

PIE.
*bhéndhonom
*bhebhóndʰa
*bhebhn̥dʰmé
*bhn̥dhonós
PG.
3a
*bindanan
*bebanda
*bebundum
*bundanas/z
3b
*hëlpanan
*hehalpa
*hehulpum
*holpanas/z
OHG.
3a[21]
bintan
bant
buntum
gibuntan
3b[22]
hëlfan [23]
half
hulfum
giholfan
MHG.
3a
binden
bant
bunden
gebunden
3b
hëlfen[24]
half
hulfen
geholfen

IV. 4형 압라우트 (eS - oS - S)

PIE.
*némonom
*nenóma
*nēmmé
*nm̥onós
PG.
*nemanan
*nenama
*nēmum
*nomanas/z
OHG.
neman
nam
nâmum
ginoman
MHG.
nemen
nam
nâmen
genomen


4. 예시[편집]


니벨룽의 노래[25]

원문

Uns ist in alten mæren wunders vil geseit

von helden lobebæren, von grôzer arebeit,

von fröuden, hôchgezîten, von weinen und von klagen,

von küener recken strîten muget ir nu wunder hœren sagen.


현대 독일어

Uns wird in alten Erzählungen viel Wunderbares berichtet von berühmten Helden, großer Mühsal, von glücklichen Tagen und Festen, von Tränen und Klagen und vom Kampf tapferer Recken könnt Ihr jetzt Erstaunliches erfahren.


한국어 해석

옛날 이야기 중에는 많은 놀라운 것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칭송받는 영웅들, 커다란 고난, 즐거운 일들과 축제, 슬프고 비통한 일, 용감한 전사들의 싸움에서 여러분들은 놀라움을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5. 문헌[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6:38:31에 나무위키 중세 고지 독일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를 줄여서 MHD라 쓰기도 하며, 영어로는 Middle High German을 줄여 MHG로 쓴다.[2] 출처: Heinz Mettke Mittelhochdeutsche Grammatik: Niemeyer [3] 이는 현대 독일어의 eu가 된다. 예) diutsk > deutsch[4] 각각 어두, 어중, 어말. 예) tac - tage[5] 어두에서 v[6] ȥ/ȥȥ는 어중 또는 어말.[7] s는 l, m, n, w 앞, r 뒤, st, sp와 같은 조합에서 sch로 발음되었다.[8] ich-Laut[9] ach-Laut[10] 남성/중성/여성[11] 단수/복수[12] 주격/속격/여격/대격, 해당 문서에서 격의 순서는 중세 고지 독일어 문법을 다루는 다른 문헌들에 맞춰 주속여대 순서로 정렬하기로 한다.[13] Ablautreihe[14] 인도유럽조어 표기에서 i̯ 대신 y가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압라우트 구조가 더 직관적으로 눈에 들어오도록 i̯ 표기를 택했다.[15] 게르만조어에서 고대 고지 독일어로 넘어가면서, 개음절일 때, 또는 뒤에 h, w가 올 때 과거 단수가 ei 대신 ê로 변화하였다.[16] Grammatischer Wechsel, 베르너의 법칙에 의해 일어난다[17] 베르너의 법칙: 게르만 조어에서 그림법칙의 결과물 *f, *þ, *x와 *s가 어중 또는 어말에서 앞 음절에 강세가 오지 않을 경우 유성음화 되어 *ƀ, *đ, *ǥ *z가 되는 현상이다. 예) *ph₂tḗr > *fadēr, *bʰréh₂tēr > *brōþēr.[18] 이때의 t는 어말 d가 무성음화된 것이 표기에 드러난 것이다.[19] 게르만조어에서 고대 고지 독일어로 넘어가면서, 뒤에 d, t, ȥ, s와 게르만조어의 h가 올 때 과거 단수의 au가 ou 대신 ô로 변화하였다.[20] S: Sonant(l, m, n, r 등), C: Consonant(자음)[21] 비음+자음[22] 유음+자음[23] 1인칭 단수는 hilfu[24] 1인칭 단수는 hilfe[25] 출처: Das Nibelungenlied, Recl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