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손

덤프버전 :

분류


부계 혈족 관계 호칭

[ 펼치기 · 접기 ]
남자 혈족
여자 혈족
종현조할아버지

현조고모할머니
재종고조할아버지
재종고고모할머니
종고조할아버지

고고모할머니
내재종고조할아버지
내재종고고모할머니

재종증조할아버지
증조당고모할머니
종증조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 증조할머니
증고모할머니
내재종증조할아버지
내재종증고모할머니

삼종조할아버지
삼종고모할머니
내삼종조할아버지
내삼종고모할머니
재종조할아버지
재종고모할머니
큰할아버지,작은할아버지
할머니
(조모)

고모할머니
(대고모,왕고모)

내재종조할아버지
내재종고모할머니
내삼종조할아버지
내삼종고모할머니
내내삼종조할아버지
내내삼종고모할머니

재당숙
(재종숙)
재당고모
(재종고모)
내재당숙
(내재종숙)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당숙
(종숙)
당고모
(종고모)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어머니
(엄마, )

고모
내당숙
(내종숙)
내당고모
(내종고모)
내재당숙
(내재종숙)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내내재당숙
(내내재종숙)
내내재당고모
(내내재종고모)

삼종형제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재종형제
재종자매
내재종형제
내재종자매
사촌
형제


오빠
남동생


자매

언니
누나
여동생
}}}
고종사촌
내재종형제
내재종자매
내내재종형제
내내재종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내내내삼종형제자매
(종형제)
(종자매)
(내종형제)
(내종자매)

재종질
재종생질
내재종질
내재종생질
당질
(종질)

당생질
(종생질)

조카(질)
아들

조카(생질)
내당질
(내종질)

내당생질
(내종생질)

내재종질
내재종생질
내내재종질
내내재종생질

삼종손
이삼종손
내삼종손
내이삼종손
재종손
이재종손
종손
손자
손녀
외손자
외손녀
이손
내재종손
내이재종손
내삼종손
내이삼종손
내내삼종손
내내이삼종손

재종증손
이재종증손
종증손
증손
외증손
이종증손
내종증손
내이종증손

재종현손
이재종현손
종현손
현손
외현손
이종현손
내재종현손
내이재종현손

종내손
내손
외내손
이종내손


6대손 이상
곤손
(6대손)

잉손
(7대손)

운손
(8대손)

이손
(9대손)


6대조 이상
열조
(6대조)
태조
(7대조)
원조
(8대조)
비조
(9대조)

범례

직계존비속
이촌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이동에 따른 촌수 관계
: 2촌 관계
: 1촌 관계

관련 문서
같이 보기 (부계 호칭 · 모계 호칭)




모계 혈족 관계 호칭

[ 펼치기 · 접기 ]
남자 혈족
여자 혈족
외종현조부
외현조부 | 외현조모
외현대고모
외재종고조부
외재종고대고모
외종고조부

외고대고모
외내재종고조부
외내재종고대고모

외재종증조부
외재종증대고모
외종증조부

외증대고모
외내재종증조부
외내재종증대고모

외삼종조부
외삼종대고모
외내삼종조부
외내삼종대고모
외재종조부
외재종대고모
외종조부
외할머니
(외조모)
}}}
외대고모
(외존고모)

외내재종조부
외내재종대고모
외내삼종조부
외내삼종대고모
외내내삼종조부
외내내삼종대고모

외재당숙
(외재종숙)
외재당이모
(외재종이모)
외내재당숙
(외내재종숙)
외내재당이모
(외내재종이모)
외당숙
(외종숙)
외당이모
(외종이모)
외숙
아버지 | 어머니
(엄마, )
이모
외내당숙
(외내종숙)
외내당이모
(외내종이모)
외내재당숙
(외내재종숙)
외내재당이모
(외내재종이모)
외내내재당숙
(외내내재종숙)
외내내재당이모
(외내내재종이모)

외삼종형제자매
외이삼종형제자매
외내삼종형제자매
외내이삼종형제자매
외재종형제
외재종자매
외이재종형제
외이재종자매
외종사촌

이종사촌
외내재종형제
외내재종자매
외내이재종형제
외내이재종자매
외내삼종형제자매
외내이삼종형제자매
외내내삼종형제자매
외내내이삼종형제자매
(외종형제)
(외종자매)
(이종형제)
(이종자매)

외재종질
외재종생질
외이재종질
외이재종생질
외종질
외종생질

이종질
이종생질
외내재종질
외내재종생질
외내이재종질
외내이재종생질

외재종손

외이재종손

외종손
외이종손
이종손
이이종손
외내재종손

외내이재종손


범례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이동에 따른 촌수 관계
: 2촌 관계
: 1촌 관계

관련 문서
같이 보기 (부계 호칭 · 모계 호칭)




1. 개요
2. 증손주를 본 인물


1. 개요[편집]


가족관계 호칭 중 하나이다.

증조손주자식을 부를 때 사용하는 호칭이다.

거의 없는 현손, 내손과는 달리 이 호칭은 간혹 불리는 일이 있는 경우도 있다. 대개 3대, 즉 조부모-부모-본인으로 이어지는 가족관계가 보통이지만 그 가운데 조부모가 장수하거나, 세대교체가 빨라서 손자, 혹은 손녀혼인을 하여 자녀를 낳으면 그 자녀가 증손이 되는 것이 바로 이 경우다.[1]물론 대가족이었던 옛날에는 자주 보이는 모습이기도 했겠지만 말이다. 현 80대 중반 이상 노인 세대의 경우 증손주를 보는 경우가 많으며 70~80대 초반 노인 세대 기준으로도 본인이 40대에 손주를 봤거나, 30세 이전에 아이를 가지면 볼 수 있는 정도이다. 그러나 90~100세 이상인 노인들이 비교적 많이 늘어나서 본인이 60대에 손주를 얻었거나 손자, 손녀가 막내를 출산하여도 살아 있는 경우도 간간이 보인다.

이 호칭 역시 평균 수명이 꽤 늘긴 했지만 그와 동시에 평균 결혼 및 출산 연령이 높아져서 흔하게 쓰여지는 호칭은 아니다.[2] 결혼을 해서 자녀를 낳은 사람들 가운데 지금까지 할아버지, 할머니가 살아 있다면 그 사람들의 자녀가 증손이 되지만,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것도 현손보다는 많지만 그리 흔한 풍경은 아니기에 족보에서나 호적 관련해서 많이 쓰인다.

증손주는 보통 아들의 손주나 손주의 자식들에게 붙이는 호칭으로 아들의 외손주는 외증손, 의 손주(= 손주의 자녀)는 진외증손, 딸의 외손주(= 외손녀의 자녀)는 외외증손으로 구분한다. 할머니의 부모를 진외증조, 외할머니의 부모를 외외증조, 외할아버지의 부모를 외증조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다. 참고로 외외고조할아버지는 외외증조할아버지의 아버지이다.

증조/종조와 마찬가지로 종종 증손과 종손을 혼동하기도 한다. 종손은 (오빠)나 남동생의 손주를 부르는 말이다.[3] 따라서 증손은 종손의 칠촌조카이고, 자신의 손주와 형제자매의 손자/손녀끼리는 육촌 형제 지간이다.

극히 드물지만 왕세자왕세손이 먼저 세상을 떠나는 바람에 증손이 왕위를 계승한 경우도 있다. 루이 15세, 조지 투포우 2세가 그런 경우. 장수를 할 경우 막내자녀도 노인이 되었기 때문에 자녀가 자연사 및 숙환으로 떠날 수도 있다. 손주의 경우 대부분 요절로 먼저 잃는 편이지만 매우 장수하면 손주도 숙환으로 떠날 수도 있다.

2. 증손주를 본 인물[편집]


  • 빅토리아 루이제 폰 프로이센[4]
  • 빌헬름 1세 &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의 아우구스타[5]
  • 빅토리아 여왕[6]
  • 루이 14세[7]
  • 조지 투포우 1세[8]
  • 엘리자베스 2세[9]
  • 빅토리아 유지니 줄리아 에나[10]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20:58:33에 나무위키 증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켄 그리피 시니어는 2대가 10대 때 사고를 쳐서 30대에 할아버지가 되었고, 결국 증손까지 보았다. 나이를 고려했을 때 충분히 현손도 볼 가능성이 있다.[2] 그나마 결혼을 일찍하고 1명대 출산율은 기록하던 2000년대 중후반 시기에 손주며느리와 증손을 보는 사람이 제법 있었다.[3] 누이(언니, 누나, 여동생)의 손주는 이손이라고 칭한다.[4] 파블로스 왕세자, 펠리페 6세, 인판타 엘레나, 인판타 크리스티나[5] 빌헬름 폰 프로이센, 아이텔 프리드리히 폰 프로이센, 아달베르트 폰 프로이센,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프로이센[6]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빅토리아 알렉산드라 앨리스 메리, 헨리 윌리엄 프레더릭 앨버트, 카롤 2세, 빌헬름 폰 프로이센, 아이텔 프리드리히 폰 프로이센, 아달베르트 폰 프로이센,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프로이센, 오스카 폰 프로이센, 요아힘 폰 프로이센, 빅토리아 루이제 폰 프로이센[7] 루이 15세[8] 조지 투포우 2세[9] 사반나 필립스 ,아일라 필립스, 조지 알렉산더 루이, 미아 틴달, 샬럿 엘리자베스 다이애나, 루이 아서 찰스, 레이나 틴달, 아치 해리슨, 어거스트 브룩스뱅크, 루카스 틴달, 릴리벳 다이애나, 시에나 마펠리 모치[10] 인판타 크리스티나, 인판타 엘레나, 펠리페 6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