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적 보수주의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역사
3. 주요 이념
4. 인물
5.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진보적 보수주의(progressive conservatism)는 보수주의 이념의 한 갈래로 보수적 가치와 전통을 옹호하면서도 진보적 가치를 어느 정도 수용하는 정치를 의미한다. 영어 위키백과에서도 진보주의 자체는 좌익 정치로 분류하지만, 진보적 보수주의는 중도 ~ 중도우파 이념으로 분류하며 자유보수주의, 가부장적 보수주의, 공동체주의(공동체적 보수주의) 등을 사례로 거론하고 있다.

자유보수주의와의 유의어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자유보수주의와 달리 진보적 보수주의는 어느 정도 개념이 정립된 고전적 자유주의 요소보다는 시대, 지역마다 다소 다르게 정의되는 개혁/진보적 요소의 부분적 수용에 더 초점을 둔다.


2. 역사[편집]


진보적 보수주의는 18세기에 처음 등장하였다고 본다. 기존의 왕의 존재나 종교적 권위 등 기층질서는 유지하면서도 과학이나 교육, 기술 발전, 경제 개선 등을 위해서 계몽주의합리주의가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고 믿은 이들의 철학을 계승한다. 진보적 보수주의 이념은 좀 더 고전적인 진보적 보수주의와 현대의 진보적 보수주의로 세분화해서 볼 수 있다.

먼저 서구에서 진보적 보수주의가 최초로 등장한 사회적 맥락을 살펴본다면 21세기 현재와 조금 차이가 나는 것이 진보주의는 원래 19세기 산업화 이후 등장하기 시작한 사회주의에게 영향을 받으면서 변화한 현재의 진보주의가 아니었다. 18 ~ 19세기 당시의 진보주의는 왕정복고를 꿈꾸는 반동주의적 성향을 가졌던 전근대 전통적 보수주의에 대항하는 급진주의 등의 자유주의공화주의를 의미했다. 이를 고전적 진보주의라고 부르기도 한다. 즉, 사회주의가 세계를 휩쓸기 전에는 귀족을 비롯한 특권계급이 보수주의자였다면 그 보수주의자에 대항하는 주된 계급은 부르주아였다.

하지만 서구 사회가 프랑스 대혁명 이후 자유주의공화주의, 민주주의 등의 근대적 이념을 수용해가고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부르주아 계급과 프롤레타리아 계급간의 대결이 시작되면서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귀족 등의 특권계급과 부르주아 계급이 과거의 적대를 접고 서로 타협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러면서 고전적 진보주의 가치를 수용한 진보적 보수주의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전통적 보수주의 문서에서 나오는 근대적 보수주의가 바로 이 진보적 보수주의와 거의 똑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영국의 대표적인 진보적 보수주의자는 에드먼드 버크, 소(小) 윌리엄 피트, 벤자민 디즈레일리가 있다. 버크는 핍박받는 가톨릭의 권리를 대변하였고, 피트는 흑인 노예무역을 탄압하고 반노예주의를 견지했으며, 디즈레일리는 영국의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였다. 이후 영국의 진보적 보수주의는 '일국 보수주의'라고 칭한다.

두 번째로 흔히 말하는 진보적 보수주의 이념은 경제에 대한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한다는 위의 진보적 보수주의를 계승하면서 20세기 사회주의 이념과 대결하면서 변모하게 되었다. 특히 유럽에서 발달한 이런 부류의 진보적 보수주의는 근대적 보수주의와 사회자유주의 관점이 결합된 것이었다. 이들은 자유시장경제에 대한 보수적인 견해와 개인의 책임에 대한 믿음을 강조하는 것을 포함하며, 시민권 방어, 환경주의 그리고 제한된 복지 국가에 대한 지원에 대한, 사회자유주의적인 견해를 포함한다. 같은 서구권이라도 미국과 달리 영국, 독일, 북유럽 등에서는 이것을 사회보수주의로 번역하기도 한다.

현대의 대표적인 진보적 보수주의자는 앙겔라 메르켈이 손꼽힌다. 메르켈주의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진보적 요소를 유연하게 흡수하고 받아들이는 편이다. 또한 영국 보수당 내에서는 데이비드 캐머런의 개혁적 보수 노선을 따르는 Tory Reform Group이 진보적 보수주의로 분류된다.

1942년 창당된 캐나다 진보보수당은 자유보수주의와 진보적 보수주의를 표방했었다. 중도우파 정당으로써 당시 메이저 중도좌파 정당이였던 캐나다 자유당과 경쟁했었다. 2003년 우익 포퓰리즘 정당인 캐나다 개혁보수연합과 합당하여 캐나다 보수당으로 재탄생한다.

온정적 보수주의 이념 중 '일부'도 진보적 보수주의로 간주된다.[1] 쉽게 말해서 정부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를 할 책무를 강조하고 약자에 대한 포용을 강조하는 온정적 보수주의로 보면 된다. 그런데 2009년 보수당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가 진보적 보수주의 프로젝트를 추진하였고 이후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도 스스로를 진보적 보수주의자라고 자칭하면서 사용되었다. 한국에서 사용된 따뜻한 보수라는 개념과도 연결된다. 대한민국에선 유승민이 2010년대에 내세운 바 있다.[2] 유승민은 공화주의까지 거론하며 이전 보수와는 사뭇 다른 자신만의 사상을 확립시킨다.


3. 주요 이념[편집]


진보적 보수주의는 자유보수주의와 비슷하게 온건 보수주의 비스무리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다만 기본적으로 좌-우 스펙트럼 상에서 보수적 관념과 전통을 기초로 진보적 요소를 수용하는 보수주의를 의미하기 때문에 우파 이념으로 분류한다. 또한 자유주의 중도우파(=자유보수주의)보다 공동체주의적 중도우파에 가까운 진영에서 스스로 진보적 보수주의라고 칭하는 경우도 많다.



4. 인물[편집]


진보적 보수주의자라 칭해지기도 하지만 진보주의에 좀 더 가까운 인물은 ★표 처리.

  • 기시다 후미오 - 소득주도 성장론사회자유주의적 경제 정책을 내세우고 있다. 더 정확히는 분배를 통해 보수주의적 안정을 추구한다.
  • 김예지 - 보수주의 정치인(국민의힘 소속)이지만 장애인 인권문제 등에 있어서는 좌익 진영(자유주의,진보주의) 진영에 가까운 입장을 내고 있다. 계파적으로는 친유에 가깝다.
  • 데이비드 캐머런 -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진보적 성향이 두드러지는 편이다. 반면에 경제에 있어서는 강력한 재정보수주의경제적 자유주의 노선에 입각하여 정부지출 억제, 감세, 규제완화를 추진한 편이기는 했지만 최저임금은 대폭 인상했다. 데이비드 캐머런 항목 참조.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공산화를 막기 위해 무신론자들을 탄압하는 등 보수적인 정책들을 지향하면서도[3], 프랭클린 루스벨트, 트루먼 행정부에서 뉴딜정책의 일환으로 실시된 복지정책들을 일부 계승하기도 했다. 다만, 적절한 정부 개입을 지지하되 정부 규제보다는 친기업, 친시장 기조에서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우호적인 상호작용을 선호했으며, 복지정책에 있어서도 재정건전성을 중시했다. 미국 공화당 내부 온건 보수라는 점에서 넬슨 록펠러와 함께 록펠러 공화당으로 분류되지만, 그는 종교적 관용이나 낙태와 같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좀 더 진보적인 편이었던 록펠러와 달리 보수적인 입장이었다.
  • 막스 베버★ - 흔히 '좌파마르크스, 우파베버'라고 하는데, 논란의 여지가 있는 버크와 달리 베버는 지금 기준으로도 명백한 좌파였다[4]. 다만 마르크스와 달리 자유주의를 지향했던만큼 양자 간에 분명한 성향 차이가 있었던 것은 맞다[5].
  •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 벤저민 디즈레일리
  • 시어도어 루스벨트[6] - 다만 당적이 현대 기준 보수인 '공화당'이라서, 당시 딱히 보수주의적 노선이 확고하지 않았던 것을 감안하지 않고, 현대 기준에서 어거지로 진보적 보수주의자 취급받는다는 지적도 있다.[7] 특히, 1970년대 이후 미국 공화당 내에서 로널드 레이건으로 대표되는 강경 보수, 신보수주의자들이 부상하면서 시어도어 루스벨트를 아예 '사회주의자'로 보기까지 했다. 그러나 그를 paternalistic한 보수주의자나 진보적 보수주의자로 분류하는 견해도 존재하며, 그가 셔먼 반독점법을 바탕으로 '강도 귀족'의 횡포를 적극적으로 규제한 것은 꼭 진보주의자여서라기보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서독의 온건 보수 세력인 기민당이 받아들였던 독일식 경제적 자유주의인 질서자유주의와 같은 맥락이라고 보기도 한다.
  • 아르민 라셰트
  • 안네그레트 크람프-카렌바우어
  • 알랭 쥐페
  • 앙겔라 메르켈
  • 알렉시스 드 토크빌[8] - 19세기인 당대 기준에서는 중도좌파 성향의 진보 오를레앙주의자였으나 20세기 자유보수주의 철학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 에드먼드 버크★ - 흔히 '보수주의의 아버지'로 불리나, 정작 본인은 보수주의자들을 혐오했다. 기존의 전통을 존중하는 성향이 분명히 있었으나, 신분제 기반의 출신성분 차별을 결사반대하는 등 진보적인 경향도 보였다. 따라서 당대에는 도리어 개혁 성향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 유승민
  • 윌리엄 피트(1759)
  •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 다만 그는 고보수주의자라도 분류되기도 해서 논란의 여지는 있다.
  • 자크 시라크
  • 김종인
  • 조르주 퐁피두
  • 조지 오스본 -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진보적 성향이 두드러지는 편으로, 이와 달리 경제에 있어서는 강력한 재정보수주의경제적 자유주의 노선에 입각하여 정부지출 억제, 감세, 규제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조지 오스본 항목 참조.
  • 테레사 메이

그 외에 민권운동 하면 다 자유주의 내지 좌파 성향이라고 생각하지만 의외로 보수주의자도 없는 것은 아니다. 가령 유명 자폐 인권운동가인 아리 니이먼, 위에서 언급된 시각장애인 김예지가 대표적.

5. 같이 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25 15:52:53에 나무위키 진보적 보수주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2:15:21에 나무위키 진보적 보수주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고로 영국에서는 이런 진보적 보수주의를 일국 보수주의(One-nation conservatism), 일국주의(one-nationism) 또는 토리 민주주의(Tory democracy)라고도 부른다.[2] 사실 90년대까지만 해도 유승민은 경제적으론 전형적인 경제적 자유주의자였으나, IMF 이후 무너지는 중산층을 보며 생각을 고쳤다고 한다.[3] 무종교인과 무신론자가 25~30% 정도로 개신교 다음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심지어 가톨릭 신자보다도 많은 현재의 미국과 달리, 아이젠하워의 치세 당시에는 무신론은 공산주의와도 상당한 관련이 있었기 때문에 당시 미국의 무종교인은 10%도 되지 않았다고 한다.[4] 막스 베버가 몸담았던 독일민주당부터가 분명한 진보주의 정당이다.[5] 막스 베버의 사상을 현대적 관점에서 따지자면, 사회자유주의미국현대자유주의에 가깝다.[6] Lurie, Jonathan. "William Howard Taft: The Travails of a Progressive Conservative. New York, New York, US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196.[7] 사실 공화당은 1920년대까지만 해도 시어도어 루스벨트, 윌리엄 보라, 피오렐로 라과디아같은 소수의 진보 성향 인사들이 잔존했다.[8] Lakoff, Sandoff, "Tocqueville, Burke, and the Origins of Liberal Conservatism." The review of politics 60(3), pp. 435–464,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