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기지사령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진기사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클래시 로얄의 진화 카드 기사에 대한 내용은 기사(클래시 로얄) 문서
기사(클래시 로얄)번 문단을
진화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진해구에 위치한 해군기지에 대한 내용은 진해 해군기지 문서
진해 해군기지번 문단을
진해 해군기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진해기지사령부
鎭海基地司令部
Jinhae Naval Base Command
[1]
파일:진해기지사령부.gif
창설일
1946년 10월 1일(진해특설기지)
상징명칭
한산대
소속
대한민국 해군
상급부대
해군본부
역할
진해군항 및 기지 경비·방어
사령관
김태훈 준장 (해사 49기)
위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 해군기지




1. 개요
2. 역사
2.1. 국가등록문화재
3. 사령관
4. 조직
4.1. 편성
5. 근무 환경
6. 사건·사고
7. 기타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진해기지사령부(진기사)는 대한민국 해군의 함정을 비롯한 주요 부대들이 위치해 있는 핵심 기지인 진해기지의 주요 시설과 부지 등을 관리하고, 군항 지역을 경비·방어하는 해군본부 직할 부대이다.[2] 전 부대명인 ‘통제부’(統制府)라고도 알려져 있다.

창원 진해구와 부산 강서구위수지역으로 두고 있다.

해군의 도시라는 진해답게 부지 상당수가 해군 소유이며, 이 해군 소유 부지 중 군항을 포함 상당수를 진기사에서 관리한다.[3]


2. 역사[편집]


파일:external/www.cwin.kr/6233_6288_915.jpg
진해군항 제1-2부두의 서해대(誓海臺). 해방병단 시무지지(始務之址) 표석이 세워져 있는 곳이다.
진해기지는 일제강점기 시절 구 일본 해군이 조선반도에 건설한 주요 해군기지인 진해요항부[4]를 기원으로 볼수 있는데, 실제로 진해의 해군 시설 상당수는 창군 이래 현재까지도 이때 지어진 것들을 그대로 쓴 것이다. 진해기지사령부 본관부터가 이 진해요항부 본부 건물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1945년 11월 11일 해방병단(海防兵團)을 창설한 손원일 일행은 진해로 내려와 11월 14일 일본 해군의 항무부 건물에서 시무식을 가졌다. 1946년 10월 1일, 조선해안경비대 총사령부가 진해에서 서울로 이전함에 따라, 초대 기지사령관을 김성삼 부위로 진해특설기지가 창설된 후 1949년 6월 1일 진해특설기지 해체와 동시에 통제부로 창설되었다. 1952년 11월 25일 예하에 시설창을 창설했으며, 1962년 3월 1일 의무단·공창·보급창·병기탄약창을 예하에 편입하였으며, 1974년 7월 1일 통제부 군수지원단이 창설됐다. 1986년 2월 1일 통제부가 해체되면서, 군수사령부와 제7기지전단으로 분리됐고, 2000년 1월 1일 진해기지사령부로 승격됐다.

통제부 시절, 진해기지사령부라는 명칭을 가진 부대가 1959년 2월 5일에 창설되기도 했는데, 이는 해병대의 진해교육단(오늘날의 해병대교육훈련단)이 명칭을 바꾼 것으로 1973년 10월 10일 해병대사령부 해체와 함께 해체되었다.
  • 연혁
- 1946년 10월 1일: 진해특설기지 창설
- 1949년 6월 1일: 진해특설기지 해체, 통제부 창설
- 1952년 11월 25일: 통제부 예하 시설창 창설
- 1962년 3월 1일: 의무단·공창·보급창·병기탄약창을 통제부 예하에 편입
- 1974년 7월 1일: 통제부 군수지원단 창설
- 1986년 2월 1일: 통제부를 해체하고, 군수사령부와 제7기지전단으로 분리
- 2000년 1월 1일: 제7기지전단, 진해기지사령부로 승격


2.1. 국가등록문화재[편집]


파일:external/www.k-heritage.tv/kjs_20120312_02.jpg
진해기지사령부 본관과 손원일 제독 동상
역사가 깊은 군사기지인 만큼 내부에는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건축물들이 존재한다.

  • 등록문화재 제194호 구 진해요항부 사령부: 해방 후 한때 미군이 쓰다가 한국 정부가 인수하여 지금은 진해기지사령부 본관으로 쓰인다.
  • 등록문화재 제195호 구 진해방비대 사령부: 해군작전사령부가 2007년 부산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작전사 본관으로 사용했고, 현재는 해군군수사령부 본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 등록문화재 제196호 구 진해방비대사령부 별관: 현재 해군군수사령부 별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 등록문화재 제197호 구 진해요항부 병원: 1912년 건립된 일본 해군병원이다. 해방 후부터 2000년까지 국군 진해병원, 2000년에 해군 해양의료원으로 통합되어 근래까지 해군 해양의료원으로 쓰이다 진해기지사령부 근무지원전대 본관으로 사용중이였으나 현재는 사령부 정훈공보실로 쓰이고 있다. 해양의료원은 현재 다른 곳으로 이전하였다.


3. 사령관[편집]


사령관에는 해군 준장이 보임되며, 진해특정경비지역사령관을 겸임한다. 진해에 작전사가 있었을 때에는 해군 준장 보직 중 진급이 잘되는 요직 중 하나였다.

역대 진해기지사령부 사령관[5][6]

이름
계급
임관
재임기간
비고
초대





00대
차수갑
예) 소장
해사 2기


3대
정옥근
예) 대장
해사 29기
2000.12~2003.03
27대 해군참모총장
4대
김성찬
예) 대장
해사 30기
2003.03~2004.01
28대 해군참모총장, 제19·20대 국회의원
5대
이창우
예) 준장
해사 30기
2004.01~2005.01
-
6대
황기철
예) 대장
해사 32기
2005.01~2006.12
30대 해군참모총장
7대
임인수
예) 준장
해사 33기
2006.12~2007.11
-
8대
엄현성
예) 대장
해사 35기
2007.11~2009.12
32대 해군참모총장
9대
하태민
예) 준장
해사 36기
2009.12~2010.12
-
10대
강희승
예) 준장
해사 37기
2010.12~2011.11
-
11대
신정호
예) 준장
해사 39기
2011.11~2013.05
-
12대
조영삼
예) 소장
해사 37기
2013.05~2014.11
-
13대
송택근
예) 준장
해사 40기
2014.11~2016.04
-
14대
한동진
예) 준장
해사 41기
2016.04~2016.11
現 해군안전단장
15대
김용관
예) 준장
해사 42기
2016.11~2018.05
-
16대
임정택
준장
해사 44기
2018.06~2018.07
-
17대
이수열
소장
해사 45기
2019.01~2019.12
-
18대
강성희
소장
해사 44기
2019.12~2021.01
-
19대
류효상
준장
해사 46기
2021.01~2021.12
-
20대
신형식
준장
해사 46기
2021.12~2022.12
-
21대
김정일
준장
해사 47기
2022.12~2023.11
-
22대
김태훈
준장
해사 49기
2023.11~ 현재
-


4. 조직[편집]


시설 관리 및 유지를 위한 근무지원전대뿐 아니라 군항에 대한 방어 임무를 위해 다른 해역사와 마찬가지로 예하에 항만방어전대도 두고 있다. 또한 사령부 예하에 기동건설대대와 해병대원들로 구성된 육상경비대대가 있다. 육상경비대대는 기지와 주요 시설 방호 및 진해와 부산 강서구 해안 경계를 담당한다.[7] 또한 기본적으로 의전부대의 소속을 띄고 있어 자체적으로 의장대군악대를 두고 있으며, 대규모 의전 행사가 자주 열리는 특성상 뭔가 큰 건수 하나가 생겨나면 자체 의전대와 근무지원전대, 나아가서 해군교육사령부해군사관학교 쪽과 연계해서 진행하기도 한다. 이는 다른 진해구에 위치한 부대 쪽에도 역으로 적용되는 것이기도 하다.

항만 관리와 경비, 함정 입출항 보조를 위한 각종 소형 보조정들도 이 곳에 소속되어 있다. 해군작전사령부부산으로 내려갔지만, 항만 시설이 좁고 보안상의 이유로 대부분의 함정 및 예하 전단들은 여전히 진기사 군항들에 남아있다. 어차피 부산의 근교 지역이라서 상호 이동이 해군 버스 등으로 1시간 내에 가능하기에 별 문제는 없다. 잠수함사령부의 군항 시설도 진기사 부지에 있고, 해군군수사령부 본관 및 예하 부대들도 진기사 부지에 들어와 있다. 그리고 진해 지역 예비군의 교육훈련과 동원 업무도 맡고 있어, 예비군 관리대도 예하에 두고 있다.[8]

가덕도 등대한국전쟁 참전자 묘지관리경계하고 있으며, 해상 감시레이더를 운용하기 위해 가덕도에 주둔중인 전탐감시대도 진해기지사령부 소속이다. 때문에 가덕도 외양포 이남 구간은 군사작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서 민간인 출입이 전면 통제된다. 부산 소속이라 백운포에 있는 해군작전사령부에서 관할해야 하지만 위치 상 진해쪽이 훨씬 가깝기때문에 1990년대 후반 진해기지사령부에 위수지역이 이관되었다.


4.1. 편성[편집]


  • 진해기지사령부/진해특정경비지역사령부[9]
    • 기지방어전대
      • 군사경찰대대
      • 육상경비대대
        • 예비군관리대
    • 항만방어전대
    • 시설전대
    • 근무지원전대
    • 기동건설대대
    • 정보통신대대


5. 근무 환경[편집]


  • 어디에서 근무하느냐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부지가 크고 주둔부대가 많은 특성상 이들 전부를 관리하기 위해 전반적으로 시설이 잘 되어 있어 대체로 수병들이 근무하기에 괜찮은 곳으로 여겨진다. 다만 함정과 도서 및 격오지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해야 육상발령자격이 주어지는 해군 특성상, 대부분의 TO가 2차 발령지로 구성되어 있는[10] 진기사는 상병병장이 우글거리고 이병일병이 드문 역피라미드 구조로 되어 있어, 빨리 발령을 올수록 막내 생활을 다시 할 가능성이 무궁무진해진다. 다른 해군 2차발령지들과 마찬가지로, '육체적으로 편하고 정신적으로 피곤해지는 곳'이지만, 최후방이라 전방 부대에 비해 사정이 많이 괜찮은 편이다. 내무생활이 널럴한 곳도 많고 편의시설이 좋은데다 해상보다 렙업하는 데 시간 걸리지만 짬차면 편해지는 건 똑같다. 전투병과 부사관이나 장교들에게도, 좌천 걱정 없이 좀 쉬다 갈 수 있는 후방 부대로 꼽히는 곳 중 하나다.

  • 부지가 넓기 때문에, 주말이나 휴일에는 자전거 등을 몰거나 걸어서 복지시설을 이용하거나 타 함정 및 부대 등에 동기 등을 만나러 놀러 다니는 풍경들을 볼 수 있다. 이는 창원시 공용 자전거인 누비자가 영내에 설치되어 있어서인데, 봄에 전역하는 말년병장들이 전역교육기간 혹은 집에 가는 날에 예비군복 입고 벚꽃라이딩을 하는 경우도 가끔 발견된다.

  • 대형마트급의 꿈의 PX인 충무복지관[11] 건물도 이 곳 부지에 있다. 메인인 충무복지 외에 각 부두마다 복지 및 식당이 곳곳에 숨어 있다.

  • 경남 창원(진해)에 있기 때문에 눈 구경하는 게 힘든 곳이다. 경상남도 중부, 동부 해안이 가뜩이나 타 지역보다 눈이 안 오는 곳이긴 하지만, 심지어 진해는 그 중에서도 마산항에 눈발 날리고 있는데 비가 오는 지역이다.(...) 이 때문에 타 군에서 이가 갈리도록 삽질하는 눈 사역은 이 곳에는 없다고 봐도 좋다. 하지만 눈은 안 오는 대신에 4월에 벚꽃이 흩날리기 시작하면 그 때부터는 지옥을 맛보게 된다. 특히 진해 군항제 때 운전병들은 죽어난다. 바로 아래 문단 참조.

  • 진해 군항제 때가 되면 가장 죽어나는 사람들이 여기 근무하는 장병들이다. 군항제 시즌에 벚꽃당직이라 하여 주도로 주변에 배치되어 길 안내를 하는 장병들의 모습을 볼 수 있으는데, 안 그래도 A급 동정복 입고 땀 뻘뻘 흘리며 길안내를 하는 것도 힘든데 통제 안 따르는 민간인들이 금지구역으로 들어가거나 난동을 부리거나 하는 경우가 많아 기피되는 당직이다. 덧붙여서 이 기간 한정으로 진기사/교육사/해사 소속 운전병들에게는 지옥이 펼쳐지는데, 각종 순회차량 지원은 물론이거니와 노면청소 차량쓰레기 수거차량을 도 제대로 먹지 못하고 풀뺑뺑이로 돌려야 하기 때문이다. 영외로 나가는 경우는 주차장이 된 진해 시내와 안민터널을 보며 피눈물을 흘린다 카더라... 벚꽃이 흩날리게 되면 이 꽃잎쓰레기들이 온데 차바퀴에 들러붙어서 방금 청소해놓은 차량과 노면을 또 어지럽히는데 특히 그 날 새벽에 비라도 왔다면(...) 민간인들이 개방기간 동안 "어떻게 이 동네는 벚꽃이 이렇게 울창한데 도로에 꽃잎 하나 안 떨어져 있지?" 하는 의문점은 바로 이런 장병들의 노고갈려들어감 때문인 것이다.

  • 그리고 하필 군항제가 열리는 4월은 해군 수병들이 동정복을 입는 마지막 달로, 슬슬 따뜻해지는데다 그 수많은 인파, 아스팔트의 열기 등으로 인해 착용자가 정말 버티기 힘들어진다. 특히 최근 기후위기로 인해 보통 4월 초는 거의 초여름같은 이상고온이 오는 경우가 다반사.[12] 하지만 예쁜 누나들이 같이 사진 찍자고도 많이 하기 때문에 그다지 힘들진 않다. 화생방대의 경우, 짬이 안되면 부대 밖에 있다는 것 자체가 엄청난 활력소가 되기도 한다.

  • 특이하게도 면회를 영외에서 실시한다. 면회 신청은 1정문 앞 '해군의 집'(구 수병의 집)에서 받는데 이곳의 위치가 정문 밖 50m 지점에 있기 때문이다. 장병들이 각 배와 생활관에서 연락을 받고 준비해서 '걸어'나오기 때문에 면회 대기 시간이 꽤 긴 편이고[13], 거대한 부지 안에 꽉꽉 들어찬 예하부대와 함정들 면회 관리를 거기에서 다 하기 때문에 주말에는 이래저래 정신없다. 그러니 주말근무하는 불쌍한 해군의 집 수병들 괴롭히지 말고 참을성 있게 기다리자.

  • 진기사 안에는 산성산 등산길이 있다. 수병을 포함하여 모두 통행할 수 있으며, 매년 10월에서 4월까지는 인트라넷 홈페이지에서 허가를 받아야 통행할 수 있다. 그 외에는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으며, 정상에 올라가면 진기사 풍경을 정자에서 쉬면서 볼 수 있다. 가는길은 군수사령부 로터리에서 숲길 방향으로 계속 가면 나온다.


6. 사건·사고[편집]


2020년 01월 03일 낮 12시쯤 민간인 A씨(남성 73세)가 진해기지사령부를 무단침입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0년 군부대 무단침입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기타[편집]


  • 진기사 내부는 진해 군항제 때 일부분을 민간에게 개방한다. 도보와 차량, 노선버스로 관광이 가능한데, 차량으로 진입시 주/정차 및 승하차가 불가하고(즉 멈추면 안 된다) 정해진 코스를 직진하다가 특정 지점에서 턴해서 나오는 정도이며, 도보관광 역시 곳곳에 안내담당 수병들과 부사관들이 지키고 서서 샛길로 빠지려는 사람들을 감시한다. 군항제 때만 운행하는 임시 노선 버스 999번은 해군회관 입구에서 사령부 본관앞 손원일제독 동상까지 들어갔다가 영내를 크게 P턴해서 돌아나오는데, 도보나 차량관광보다는 차라리 이게 낫다. 버스 좌석 높이가 있어서 훨씬 시야가 트이기 때문이다.
  • 철덕들에게 유명한 통해역도 진기사 부지 안에 있으며 군 관계자의 허가를 받고 접근해야 하고, 허가를 받고 나서도 관계자의 지시를 반드시 따라야 한다. 사실 노면에 1면 1선짜리 승강장에 불과하므로 도보 관광코스인 통해역 앞 도로 건너편에서도 역 구내가 그대로 다 보인다. 따라서 정식으로 사진촬영을 할 게 아니라면 굳이 허가까지 받아가며 볼 것도 없다. 해군병원인 해군해양의료원도 기지 안에 있었으나 2013년에 신축하면서 영외지역으로 이전했다. 또한 부지 안에 이승만 前 대통령 진해별장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 별장과 별장 부지의 관리 또한 맡고 있다.
  •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오래된 짤 중에 KBS 아침뉴스 자막을 "진해 x지 사령부"(...)로 합성한 짤이 유명하다.# 공영방송인 KBS 뉴스에서 실제로 이런 방송사고가 났다면 당연히 난리가 났을것이다.
  • 진해시가 창원시에 통합되어 자치권이 없는 구 단위로 격하됐으나, 해군에게 있어 진해라는 이름이 갖는 상징성이 워낙 크기 때문에 창원기지사령부 같은 이름으로 바꾸지 않고 계속 쓰이고 있다.[14]
  • 예비역 해군 대위 군튜버 앗싸참수리가 진기사 고속정 부장을 역임했다.
  • 2003년 방영된, 권상우가 해군 대위(고속정 정장), 정태우수병 역으로 출연한 텔레비전 드라마 "태양속으로"의 배경이 되는 해군 부대도 이곳이며 신현준이 해난구조대 장교로 분한 영화 블루도 이곳이 배경이다. 제2연평해전을 다룬, 2015년 6월 24일 개봉한 영화 연평해전도 상당수의 장면을 이곳에서 찍었다.[15] 2016년 개봉한 인천상륙작전의 일부 장면도 이곳에서 촬영. 이렇게 잊을 만하면 촬영지로 제공되는 이유는 일제강점기 시절의 건물들이 상당수 보존되어 있고 규모도 큰 후방지역의 군항이라 해군 관련 컨텐츠를 촬영할 때 여기만큼 좋은 데가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각주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군악대의장대를 보유하고 있는 의전부대이기도 해서 행사 관련 연출을 곧바로 할 수 있는 것도 큰 장점. 덧붙여 진입로 및 주도로의 벚꽃 관리가 매우 잘 되어 있기 때문에 가끔 일반 드라마 촬영지로도 활용되는데, 온에어그 겨울, 바람이 분다 등의 드라마가 주도로를 배경으로 촬영되기도 했다.
  • 국방홍보원에서 제작한 국군 홍보영화로, 대한민국 해군의 장교가 해군 특수부대인 UDT/SEAL에 지원해 강인한 훈련을 거쳐 특수전 장교로 거듭나는 영화 '해마'에서도 모습이 잠깐 나온다.

  • 이 장소가 일본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적이 있는데 마법과고교의 열등생에서 등장했다. 하지만 내용이 전형적인 유치한 주인공짱짱식의[16] 내용에다가 이 진해항에 핵무기급 전략 폭격을 가하는 장면이 나와서[17] 대한민국에서는 오타쿠들 사이에서도 이 애니메이션이 금기로 전락하고 말았다.


8.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4:15:50에 나무위키 진해기지사령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통제부의 영문명은 Naval Base Chinhae 였다.[2] 진기사가 해군작전사령부 예하인 줄 착각하는 경우도 있지만 과거 해작사와 같은 부지를 썼기 때문에 예하 부대와 각 함정들의 모항의 역할을 했을 뿐이고 진기사 자체는 독립된 부대이다. 단, 작전사령부의 작전지휘를 받는다.[3] 보통 군항 등은 전대급 부대인 기지전대[4] 1941년 경비부로 승격[5] 볼드로 강조된 이름은 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 표에 명시된 계급은 해당 인물의 전역 당시 or 현재 계급[6] 진해통제부 당시에는 통제부사령장관[7] 물론 경계군사경찰들 역시 해안 경계를 맡는다.[8] 진해 지역의 예비군이 다른 지역의 예비군 처럼 육군의 지휘를 받는게 아니라 해군인 진기사의 지휘를 받는 이유는 진해기지사령관이 진해특정경비지역사령관을 겸해 진해구 전체가 진해기지사령부의 위수 지역에 들어가기 때문이다.[9] 해군본부 직할 부대이나, 작전사령부의 작전지휘를 받음[10] 전부 다는 아니다. 진기사는 의전부대를 겸하기 때문에 군악대의장대 같은 행사지원부대가 있으며 위에도 언급된 것처럼 항만방어전대나 각종 육상지원부대(보급병, 운전병같이 바로 2~3차발령지로도 갈 수 있는 이들은 이병 때부터 여기로 와서 전역한다. 화생방대에도 종종 탐측, 제독 교육을 받고 온 이병들이 온다.)들이 있는지라 아예 군생활 전체를 진기사에서 보내는 수병들도 존재하며, 실제로 일이병들을 어렵잖게 찾아볼 수 있다. 그냥 종교활동 가면 득시글댄다. 그건 고속정생활관등에서 온 이병이 많으니까.[11] 해군은 보통 타군의 PX를 복지라고 칭하는데 서점, 매점, GS25, 달곰김밥, 뽕뜨락피자등 각종 민간 위탁 상점들이 들어서 있는 해군 최대 규모의 PX이자 3군 전체를 통틀어서도 손에 꼽을 정도의 꿈의 시설이다. 전군 영내 최초 프렌차이즈 KFC가 입점한 적이 있었는데, 폐업할 때까지 전국(!) 매출 순위 2위권을 유지하여 충격과 공포를 줬다. 계약기간 만료 후에는 재입찰을 통해 BBQ치킨이 입점했는데, 역시나 전국 수준급의 매출을 올렸고 나뚜루, 미스터 도넛 등 민간 위탁 상점의 여알바생들의 인기는 하늘을 찌른다.[12] 진해 군항제 문서 보면 어느 수병 출신 예비역이 "해병 아저씨들 반팔은 시원해보이기라도 하지" 라고 써놨다가 "근무복이 시원하다고?"라는 해병 예비역, 그리고 그 밑에는 2014년 이상고온 기간 그 무더위에 해돌이 인형탈 쓰고 문무대왕함 함교를 오르내린 수병까지 등장해서 혼파망을 이루고 있다(...)[13] 평균 30분~1시간은 걸린다. 물론 이 또한 부대나 상황에 따라 다른데, 당직 때문에 출근한 간부가 출타 예정인 수병들을 정문까지 태워주는 경우라던가, 전역자들이나 휴가자들을 위해 신청해둔 버스에 묻어 가는 등의 경우도 간혹 있기 때문.[14] 애초에 경상권 민간인들도 창원이라 부르지 않고 마산-창원-진해를 별도로 부르니 이름을 바꿀 필요가 없기도 하다.[15] 실제 배경이 되어야 할 평택제2함대는 최일선 전장이다 보니, 안 그래도 격무에 시달리고 보안 유지 필요성이 높아 촬영 등에 동원하는 것이 힘들다. 그것도 잠깐 찍는 다큐멘터리 같은 게 아니라 몇 달씩 들락거려야 하는 영화라면 더더욱 그러하다.[16] 이 주인공 짱짱식의 내용은 본토 일본에서도 까이는데 이런 식의 유치뽕짝한 내용이다. "점원: 2천엔 입니다. 주인공: 훗..너는 내가 평범한 고교생으로써 천엔으로 계산할거라 생각했겠지! 하지만 나는 이 만엔으로 계산하겠다! 점원: 머..멋있어! 주변인: 어머! 너무 멋져!"[17] 스토리상 주인공 연합의 반대편의 군사기지로 나오는데 누가봐도 진해기지 사령부다. 게다가 핵무기급 공격을 가했으나 방사능 낙진이 없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전세계적으로 보복조차 당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