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드라 보스

덤프버전 :





BBC 방글라 선정 위대한 벵골인


[ 펼치기 · 접기 ]

1위
2위
3위
4위
5위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카지 노즈룰 이슬람
아불 카셈 파즐룰 후크
수바스 찬드라 보스
6위
7위
8위
9위
10위
베굼 로케야 사카와트 호사인
자가디시 찬드라 보스
압둘 하미드 칸 바샤니
이슈와르 찬드라 비댜사가르
람 모한 로이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자유 인도 임시정부 초대 주석
인도 국민 회의 55대 당수
인도 국민군 최고 사령관

본명
সুভাষ চন্দ্র বসু[1]
सुभाष चन्द्र बोस[2]
Subhas Chandra Bose
수바스 찬드라 보스[3]
국적
[[인도 제국|

인도 제국
display: none; display: 인도 제국"
행정구
]]
(1897~1943)
[[자유 인도 임시정부|

자유 인도 임시정부
display: none; display: 자유 인도 임시정부"
행정구
]]
(1943~1945)
출생
1897년 1월 23일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쿠탁
사망
1945년 8월 18일 (향년 48세)
[[일본 제국|
일본 제국
display: none; display: 일본 제국"
행정구
]]
타이완 타이호쿠[4]
학력
캘커타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피츠윌리엄 컬리지
직업
정치인, 독립운동가, 군인
정당
인도 국민 회의
전인도 전진 블록[5]
경력
인도 국민 회의 의장 (1938~1939)
자유 인도 임시정부 수반 (1943~1945)
배우자
에밀리 솅클(Emilie Schenkl)[6]
서명
파일:bose's signature.png

1. 개요
2. 생애
3. 평가
3.1. 긍정적 평가
3.2. 부정적 평가
4. 음모론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수바스 찬드라 보스는 인도독립운동가다. 인도 국민 회의 당수를 지내기도 했으며 경칭이자 통칭은 '네타지(নেতাজি, नेताजी, '지도자')'.

한국에서는 영국의 적이었던 추축국, 특히 일본 제국과 손을 잡고 일본 제국의 괴뢰정부자유 인도 임시정부의 국가 주석 겸 인도 국민군 최고 사령관을 지낸 걸로 널리 알려졌다.


2. 생애[편집]


1897년 1월 23일 대영제국인도 제국 쿠탁에서 태어났다. 그는 평소에 비폭력 투쟁에 의문을 제기하고 폭력투쟁을 주장하였다. 물론 견해 차는 있었지만 인도의 독립을 염원하는 것은 같았기 때문에 마하트마 간디자와할랄 네루 등의 다른 독립운동가와 친하게 지내 영국의 감시대상에 올랐다. 1938년 자와할랄 네루의 뒤를 이어 인도 국민 회의 대표로 선출되었지만 앞서 언급했듯 그는 폭력 투쟁을 주장한 강경한 인물이었기 때문에 비폭력 투쟁을 강조한 간디와 대립했고 인도 국민 회의 지도층은 간디를 지지했기 때문에 그의 임기는 오래가지 못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평소 자신의 소신을 펼치기 위해서 영국의 감시망을 뚫고 소련을 통해 나치 독일로 들어갔다. 이때는 아직 독소 불가침조약이 깨지지 않았기 때문에 보스는 소련과 독일이 연합해 북쪽에서 인도를 치는 전략을 수립했다.

그러나 이미 바르바로사 작전을 구상 중이던 아돌프 히틀러는 소련과의 연합을 묵살하고 그를 대영방송에 동원했다. 한편 영국 역시 이 방송에 대항해 BBC를 중심으로 다른 방송국을 만들었는데 조지 오웰이 잠시 참여했다. 그리고 북아프리카 전역 등의 전선에서 포로로 잡힌 인도군 병사들을 설득해 독일 내부에 인도인 부대를 창설했는데 최종적으로는 3,500여명의 부대원이 모였지만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패배 이후 독일의 점령 지역이 축소되면서 자꾸만 인도와 거리가 광속으로 멀어지는 통에 해당 부대는 독일과 점령지 내부를 이리저리 움직이다가 패전을 맞이하고 전원 연합군의 포로가 되었으며 일부는 전범으로 처벌받았다. 그래서 해당 부대에 있던 인도인 중에서 전투에 본격적으로 참전한 사람은 에르빈 롬멜 휘하에서 북아프리카 전선에 참가한 수백 명 수준에 불과하였다.

한편 태평양 전쟁이 한창이던 1943년일본군이 인도를 향해 접근하자 찬드라 보스는 도조 히데키아돌프 히틀러의 동의를 얻어 U보트를 타고 일본 측에 가서 이들과 함께 인도를 해방시키려고 했다. 물론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유럽의 인도인 부대를 버리고 가는 것이 아니었다. 이 시기에 오스트리아인과 결혼해 딸을 낳았는데 훗날 오스트리아의 대학의 경제학 교수가 되었다.

파일:wwii greater east asia confedence.jpg

(1943년 11월 일본의 영향 하에 있었던 아시아의 국정 최고 책임자들을 초청하여 열린 '대동아회의'의 기념사진. 제일 앞줄 맨 오른쪽이 찬드라 보스이다. 왼쪽에서 첫번째는 버마국 수상 바모, 만주국 수상 장징후이, 왕징웨이 정권 주석 왕징웨이, 일본 제국 총리 도조 히데키, 타이 왕국 왕자 완 와이타야콘, 필리핀 제2공화국 대통령 호세 라우렐.[7])

私ハ日本ノ新自由亞細亞創建ノ使命ガ十二分ニ完遂セラレンコトヲ所ル次第デアリマス

나는 일본의 신자유아세아 창건에 대한 사명이 십이분 완수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찬드라 보스, 대동아회의.


이후 보스는 싱가포르에서 자유 인도 임시정부를 세우고 주로 말레이 반도싱가포르 전투에서 포로로 잡혀 전향한 인도인들을 모아 4만 5천 명의 인도 국민군을 조직했다. 다만 전후 기록에 의하면 위장 전향한 사람들도 꽤 있었고 적어도 3명 이상의 인도군 장교가 영국군 진지로 탈출했다. 사실 인도 국민군은 2차 대전 이전부터 일본 제국에 의해서 구상된 바 있어 실제로도 보스가 도착하기 전부터 이미 군 조직을 갖추었지만 내부 사정으로 탄압받고 수장이 수마트라 섬으로 유배를 가는 지경에 이르자 일본 측에서는 반쯤 포기하고 있었는데 유명한 반영 운동가 찬드라 보스가 재규합했다. 그리고 일본군과 함께 공동 전선을 폈는데 하필 그것이 임팔 작전이라서 작은 땅이나마 자국민으로 인도를 해방시키려던 그의 꿈은 좌절되고 작전에 실패한 인도 국민군들도 철수 과정에서 와해에 가까운 타격을 입었다. 이후 대만에 머물던 보스는 1945년 독일에 이어 일본까지 항복하게 되자 연합군을 피해 소련으로 망명하기 위해 타이베이 쑹산 국제공항에서 비행기를 타고 출발했으나 비행기가 추락하여 숨졌다.

그가 조직한 인도 국민군은 어쨌든 연합국에 맞서서 추축국 편에 붙었으므로 전후 영국에 의해 포로로 생포되었으며 반역, 고문, 살인죄로 재판장에 서게 된다.(인도 국민군 재판) 그러나 당사자인 대영제국이 머잖아 인도에서 손을 떼려고 했기에 재판에 적극적이지 않았고 무엇보다 보스의 동지인 자와할랄 네루가 INA 변호 위원회를 조직하여 이들을 변호했기 때문에 거의 불기소무죄 처분을 받았다. 그것과는 별개로 인도 국민군 출신 인원들은 차후 조직된 인도군에 입대하지 못했다.

3. 평가[편집]


파일:external/www.dollsofindia.com/subhash-bose-GA65_l.jpg
인도 학교에 흔히 걸려 있는 초상 중 하나.

None of those who have written on Bose's Indian national army has investigated whether, while they were trained by the Japanese army, they were permitted to share in the "comfort" provided by thousands of kidnapped Korean young women held as sex slaves by the Imperial Japanese Army at its camps. This might have provided them with some insight into the nature of Japanese, as opposed to British, colonial rule, as well what might be in store for their sisters and daughters.

일본군에게 훈련받던 보스의 인도 국민군이 일본군에게 납치당해 병영에 성노예로 끌려왔던 수천 명의 어린 한국인 위안부들의 "위안"도 제공받았는지에 대해서는 이들에 대해서 다룬 연구자들 그 누구도 다루지 않았다. 이는[8]

아마 인도 국민군들이 일본의 식민통치와 영국의 식민통치가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점, 그리고 그들 자신의 누이와 딸들에게 어떤 일이 닥치게 될 지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제러드 와인버그, 2차세계대전사.



3.1. 긍정적 평가[편집]


인도에서는 마하트마 간디, 자와할랄 네루, 빔라오 람지 암베드카르와 함께 추앙받는 독립 영웅이다.[9] 당장 서벵골 주 캘커타 국제공항의 정식 명칭은 그의 이름을 딴 네타지 수바스 찬드라 보스 국제공항(Netaji Subhas Chandra Bose International Airport)이고 안에 보스의 대형 초상이 있다. 뿐만 아니라 콜카타 시내에도 곳곳에 보스의 초상과 조각상이 산재하여 쉽게 볼 수 있으며 인도 학교에도 이 사람의 초상이 마하트마 간디, 자와할랄 네루, 빔라오 람지 암베드카르와 함께 꼭 걸려 있다. 찬드라 보스의 이름은 캘커타 국제공항에도 사용될 정도로 존경받고 있으며 벵골 무슬림들이 독립해 세운 이웃 국가인 방글라데시에서도 세속주의자들 사이에서 사실상 국부에 준하는 대우를 받고 있다. 인도의 대문호이자 벵골인들의 대문호인 라빈드라나트 타고르와 함께 동시대에 인도의 독립과 벵골인의 민족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친 위대한 벵골인으로써 존경받는 인물이다.

보스가 인도의 독립을 위해 일본과 손을 잡아 당시 많은 인도인들이 일본을 형제의 나라마냥 옹호하고 지지서명을 하였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도쿄 전범 재판 당시 무죄 판결로 일관한 라다비노드 팔 판사다. 지팡구에서도 꽤나 간지나게 등장하고 2007년에는 아베 신조 총리가 인도를 방문했을 때 보스의 후손과 만나기도 했을 정도였다.

1938년에는 나치의 인종정책과 유대인 박해를 비판하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찬드라 보스의 반유대주의는 어디까지나 로스차일드 가문을 비롯한 적성국, 영국의 전쟁 수행에 도움을 주는 유대계 자본가들을 비판하는 선에서 그쳤다.

알아두어야 할 점은 당시 인도는 조선과 달리 일본 제국의 식민지가 아닌 영국령 인도 제국으로써 영국의 식민지였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도의 독립을 위해서는 영국의 적과 손을 잡아야 한다는 생각에서 일본 제국과 손을 잡은 것이다. 영국과 대립하고 있었고 이들을 몰아낼 만한 힘이 있어 보였던 일본에 접근했던 것이다. 물론 일본도 이를 이용하여 대동아 공영권이 정당했다는 명분을 내세우긴 하였지만 같은 친일파라도 개인의 영달만을 추구하거나 회유에 넘어가 핍박받는 동포들을 배반한 게 아니었기 때문에 인도에서는 독립 영웅으로 숭상된다. 대한민국의 독립운동사에서 친소 공산주의자로 소련 공산당과 연합해 만주에서 무장투쟁을 벌였던 공산주의 독립운동가들과 비슷한 위치에 해당하는 사람이 이들인 셈이다.

3.2. 부정적 평가[편집]


아민 알후세이니스테판 반데라가 독립운동가임에도 왜 비난받는지 생각해 보면 마냥 옹호할 수는 없다. 당시 일본은 전쟁범죄 수준이 나치와 다르지 않았다. 최소한 영국은 연합국의 일원이었고 나치일제에 준하는 전체주의 국가는 아니였다. 비슷한 위치였던 아웅 산과 수카르노의 경우, 아웅 산은 반영투쟁에 일본을 이용하는 선에서 끝냈고, 수카르노는 상대적으로 일본 제국이 조선이나 중국만큼 폭압적인 통치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 제국과의 심각한 충돌이 없던 채, 일본 제국이 패망하자 바로 손절하고 인도네시아 독립을 선언해 상대적으로 친일 이미지가 적다. 반면 보스는 인도에서도 독립 운동세력의 주류에서 밀려났고 반영 투쟁에 간디가 비폭력주의로 일관한 탓에 투쟁을 위해 극단적인 선택도 마다하지 않고 추축국과 손잡고 피를 묻힌 만큼 그 역사적 책임도 지는 것이다.

당시 인도가 영국 식민지였고 인도에서 위대한 독립운동가로써 존경받는 점도 전혀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게, 우크라이나도 당시 소련에게 점령당한 상태였기 때문에 파시스트가 아닌 우크라이나인들 중에도 소련에 맞서 싸운 스테판 반데라를 독립운동가로써 존경하는 사람이 상당히 많다. 그렇다고 이들에게 학살을 당한 폴란드인이나 유대인이 반데라를 악마라고 비난하는 것이 잘못된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10]

보스는 나치즘을 진지하게 지지하였고 독립국 인도가 나치즘과 공산주의혼합에 기반한 사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실제로 인도에서 영웅시되는 것과 별개로 서구권을 비롯한 학계에서는 보스를 파시스트라고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11]

그가 이끄는 괴뢰 정권은 본부가 있던 안다만니코바르 제도에서 원주민들을 상대로 강압적인 동화 정책 및 학살을 저질러 현재까지도 원주민들이 외부인들에게 폐쇄적으로 대응하도록 단초를 제공하기도 했다.

위에 제러드 와인버그의 언급처럼 한국인 위안부에게 위안을 제공받았을 가능성도 아예 부정할 수도 없는 노릇이며 설령 본인은 그런 문제에서 결백하더라고 하더라도 다른 인도 국민군들 중 단 한 명도 위안부와 접촉하지 않았을 가능성은 매우 적을 것이다. 심지어 그 인도 국민군들 모두가 한 명도 빠짐없이 결백하다고 하더라도, 제 아무리 인도의 탈식민화가 목적이라고 해도 나치와 일제와 협력한 것 자체가 절대적인 악행이며 어떠한 명분으로도 정당화 될 수는 없다. 찬드라 보스와 일본군이 승리했다면 인도는 만주국과 마찬가지로 독립국 행세만 하는 식민지로 전락했을 것이며 일본이 행한 마닐라 대학살의 사례에서 보듯이 영국과는 비교할 수조차 없는 대학살이 이어졌을 것이다.

추축국 옹호자였기 때문에 반유대주의자로 비판받기도 한다. 그는 종종 유대인들이 영국을 도와 인도를 착취했다며 '유대인'과 '유대자본'을 비난했는데 이에 대해 보스 지지자들은 로스차일드 가문 등 영국 후원 유대계 자본을 비난한 것이지 반유대주의라고 볼 수 없다고 두둔하기도 하지만 그러면 애초에 유대인, 유대교라는 민족적 정체성으로 비난할 게 아니라 단순히 '친영 자본' 혹은 유대교와 연관짓지 않고 않고 로스차일드 가문을 비난하면 될 일이다. 그러나 보스는 유대인이라는 점으로도 그들을 비난했다. 비록 보스가 나치의 유대인 학살을 비판한 것은 분명 사실이지만 이조차도 정작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전부터 나치 독일에 박해를 피해 온 유대인 난민들의 인도 망명을 강하게 반대한 행적 등을 보았을 때 보스가 반유대주의자가 아니라고 보긴 어렵다.

애초에 일본이 독일과 달리 적극적으로 역사를 부정 및 미화하는 데다 한국인들이 이런 부분에서 유대인들만큼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내지 못하기 때문에[12] 보스의 명백한 악행이 독립운동이라는 미명하에 미화되는 것뿐이다. 따라서 보스를 제대로 청산되지 못한 파시스트 전범의 일부라고 볼 여지가 충분하다. 실제로 찬드라 보스의 행동에 감명받은 한 판사가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일본인 전범들에게 무조건 무죄 판결을 때렸는데 그가 라다비노드 팔이다. 그 결과 찬드라 보스는 라다비노드 팔과 함께 일본이 저지른 전쟁범죄를 미화하거나 일본의 역사왜곡에 좋은 사례로 사용되고 있다.

4. 음모론[편집]


갑작스런 폭사 때문에 그의 죽음에 대한 음모론이 몇 가지 있다. 찬드라 보스가 사고를 당한 비행기에는 군자금으로 쓰던 막대한 금괴와 일본인 고문들이 함께 타고 있었다고 한다. 당연히 찬드라 보스는 행방불명되고 금괴의 행방도 묘연한데 왠지 그 고문들은 그 뒤에 어디서 얻은 것인지 알 수 없는 자금으로 잘 먹고 잘 살았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건 그냥 음모론에 불과하다.

그리고 다른 하나로는 보스는 사실 죽지 않았고 지금 타이완에 있는 유골은 DNA 검사 결과 가짜라는 것이다. 즉 무사히 일본 고문들의 도움으로 러시아로 갔지만 아직 연합국과의 친교가 필요했던 이오시프 스탈린이 보스를 시베리아로 보냈고 거기서 최후를 맞이했다는 것이었다. 실제로 소-인 외교 관련 회의 때 니키타 흐루쇼프가 인도에서 원한다면 48시간 내에 보스를 귀국시키겠다거나 생존 확인을 해 주겠다라고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런 이야기도 1956년 이후에는 사라졌다. 인도 정부에서 수차례 이 설을 조사했지만 아직도 명확한 진상은 밝혀지지 않았다.

인도인들사이에 퍼져 있는 또 다른 음모론에 따르면 보스의 정치적 라이벌이었던 자와할랄 네루가 손을 써서 보스를 암살(혹은 시베리아에 있는 걸 알고 모른 체)하여 경쟁자를 제거했다는 주장도 있다. 독립운동의 세 거두 중 마하트마 간디는 세속적 권력에는 관심이 없는 구름 위에 있는 사람이니 경쟁 자체가 성립하지 않았고 최대 경쟁자였던 네루와 보스의 대립이 암살이라는 형태로 드러났다고 하지만 이 설도 사실이 아니다.

5. 둘러보기[편집]



추축국

[ 펼치기 · 접기 ]
#ccc 
||<tablewidth=100%><tablebgcolor=#000> || {{{#fff '''국가'''}}} | {{{#fff '''지도자'''}}} ||
|| {{{#fff '''유럽'''}}} ||<colbgcolor=#838383,#191919>[[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3]] [[나치 독일|{{{#fff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fff 아돌프 히틀러}}}]] · [[헤르만 괴링|{{{#fff 헤르만 괴링}}}]] · [[파울 요제프 괴벨스|{{{#fff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에리히 레더|{{{#fff 에리히 레더}}}]] · [[빌헬름 카이텔|{{{#fff 빌헬름 카이텔}}}]] · [[하인리히 힘러|{{{#fff 하인리히 힘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23]] [[이탈리아 왕국|{{{#fff 이탈리아 왕국}}}]]^^[[파일:change_pos.png|width=12px]]^^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fff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베니토 무솔리니|{{{#fff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fff 피에트로 바돌리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width=23]]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fff 살로 공화국}}}]]^^[[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 [[베니토 무솔리니|{{{#fff 베니토 무솔리니}}}]]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width=23]] [[헝가리 왕국(1920~1946)|{{{#fff 헝가리 왕국}}}]] | [[호르티 미클로시|{{{#fff 호르티 미클로시}}}]]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width=23]] [[헝가리 국민단결정부|{{{#fff 헝가리 국민단결정부}}}]]^^[[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 [[살러시 페렌츠|{{{#fff 살러시 페렌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3]] [[루마니아 왕국|{{{#fff 루마니아 왕국}}}]]^^[[파일:change_pos.png|width=12px]]^^ | [[미하이 1세|{{{#fff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fff 이온 안토네스쿠}}}]]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3]] [[불가리아 왕국|{{{#fff 불가리아 왕국}}}]]^^[[파일:change_pos.png|width=12px]]^^ | [[보리스 3세|{{{#fff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fff 시메온 2세}}}]]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width=23]]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fff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 [[요제프 티소|{{{#fff 요제프 티소}}}]]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width=23]]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fff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 [[에밀 하하|{{{#fff 에밀 하하}}}]]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width=23]] [[크로아티아 독립국|{{{#fff 크로아티아 독립국}}}]]^^[[이탈리아 왕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width=12px]]]] [[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 [[안테 파벨리치|{{{#fff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fff 토미슬라브 2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3]] [[크비슬링 정권|{{{#fff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 [[비드쿤 크비슬링|{{{#fff 비드쿤 크비슬링}}}]]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width=23]] [[비시 프랑스|{{{#fff 비시 프랑스}}}]]^^[[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 [[필리프 페탱|{{{#fff 필리프 페탱}}}]]
[[파일:모나코 국기.svg|width=23]] [[추축국 점령하 모나코|{{{#fff 모나코 공국}}}]]^^[[이탈리아 왕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width=12px]]]] [[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파일:change_pos.png|width=12px]]^^ | [[루이 2세(모나코)|{{{#fff 루이 2세}}}]]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width=23]] [[세르비아 구국정부|{{{#fff 세르비아 구국정부}}}]]^^[[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 [[밀란 네디치|{{{#bbb 밀란 네디치}}}]]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23]] [[바르다르 마케도니아|{{{#fff 바르다르 마케도니아}}}]]^^[[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 [[이반 미하일로프|{{{#bbb 이반 미하일로프}}}]]
[[파일:러시아 해군기.svg|width=23]]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fff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파일:whattheydo.png|width=12px]]^^ | [[안드레이 블라소프|{{{#fff 안드레이 블라소프}}}]]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width=23]] [[로코트 자치국|{{{#fff 로코트 자치국}}}]]^^[[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fff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width=23]] [[벨라루스 중앙 라다|{{{#fff 벨라루스 중앙 라다}}}]]^^[[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bbb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
[[핀란드|{{{#fff 핀란드}}}]]^^[[파일:change_pos.png|width=12px]] | [[그리스국|{{{#fff 그리스국}}}]]^^[[이탈리아 왕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width=12px]]]] [[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 [[이탈리아령 알바니아|{{{#fff 알바니아}}}]] [[알바니아 왕국(1943~1944)|{{{#fff 왕국}}}]]^^[[이탈리아 왕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width=12px]]]][[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 [[핀도스 공국|{{{#fff 핀도스 공국}}}]]^^ [[이탈리아 왕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width=12px]]]]^^ | [[류블랴나 주|{{{#fff 류블랴나 주}}}]]^^[[이탈리아 왕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width=12px]]]] [[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 [[덴마크 보호령|{{{#fff 덴마크 보호령}}}]] [[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파일:whattheydo.png|width=12px]]^^ ||
|| {{{#fff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3]] [[일본 제국|{{{#fff 일본 제국}}}]] | [[쇼와 덴노|{{{#fff 쇼와 덴노}}}]] · [[고노에 후미마로|{{{#fff 고노에 후미마로}}}]] (전쟁 이전) · [[도조 히데키|{{{#fff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fff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fff 스즈키 간타로}}}]]
[[파일:만주국 국기.svg|width=23]] [[만주국|{{{#fff 만주국}}}]]^^[[틀:일본 제국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_jap.png|width=12px]]]]^^ | [[선통제|{{{#fff 아이신기오로 푸이}}}]] · [[장징후이|{{{#fff 장징후이}}}]]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width=23]] [[몽강연합자치정부|{{{#fff 몽강연합자치정부}}}]]^^[[틀:일본 제국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_jap.png|width=12px]]]]^^ | [[데므치그돈로브|{{{#fff 데므치그돈로브}}}]] · [[운왕|{{{#fff 운왕}}}]]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width=23]] [[왕징웨이 정권|{{{#fff 왕징웨이 정권}}}]]^^[[틀:일본 제국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_jap.png|width=12px]]]]^^ | [[왕징웨이|{{{#fff 왕징웨이}}}]] · [[천궁보|{{{#fff 천궁보}}}]]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width=23]] [[자유 인도 임시정부|{{{#fff 자유 인도 임시정부}}}]]^^[[틀:일본 제국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_jap.png|width=12px]]]]^^ | [[찬드라 보스|{{{#fff 찬드라 보스}}}]]
[[파일:Flag_of_the_Empire_of_Vietnam_(1945).svg.png|width=23]] [[베트남 제국|{{{#fff 베트남 제국}}}]]^^[[틀:일본 제국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_jap.png|width=12px]]]]^^ | [[바오다이 황제|{{{#fff 바오다이 황제}}}]]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png|width=23]] [[캄보디아 왕국(괴뢰국)|{{{#fff 캄보디아 왕국}}}]]^^[[틀:일본 제국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_jap.png|width=12px]]]]^^ | [[노로돔 시아누크|{{{#fff 노로돔 시아누크}}}]]
[[파일:버마국 국기.svg|width=23]] [[버마국|{{{#fff 버마국}}}]]^^[[틀:일본 제국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_jap.png|width=12px]]]]^^ | [[바 우|{{{#bbb 바 우}}}]]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width=23]] [[필리핀 제2공화국|{{{#fff 필리핀 제2공화국}}}]]^^[[틀:일본 제국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_jap.png|width=12px]]]]^^ | [[호세 라우렐|{{{#fff 호세 라우렐}}}]]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width=23]] [[라오스 왕국(괴뢰국)|{{{#fff 라오스 왕국}}}]]^^[[틀:일본 제국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_jap.png|width=12px]]]]^^ | [[시사방봉|{{{#bbb 시사방봉}}}]]
----
[[이라크 왕국|{{{#fff 이라크 왕국}}}]]^^[[파일:change_pos.png|width=12px]]^^ |[[태국|{{{#fff 태국}}}]]^^[[파일:change_pos.png|width=12px]]^^ ||
||<width=10%><colbgcolor=#000> {{{#fff '''이념'''}}} ||[[파시즘|{{{#fff 파시즘}}}]] · [[전체주의|{{{#fff 전체주의}}}]] · [[권위주의|{{{#fff 권위주의}}}]] · [[군국주의|{{{#fff 군국주의}}}]] · [[반공주의|{{{#fff 반공주의}}}]] ||
|| {{{#fff '''영토 확장 계획'''}}} ||[[레벤스라움|{{{#fff 레벤스라움}}}]] · [[이탈리아 통일#s-5|{{{#fff 이탈리아 이레덴타}}}]] / [[스파치오 비탈레|{{{#fff 스파치오 비탈레}}}]] · [[대동아공영권|{{{#fff 대동아공영권}}}]] ||
||<-2> {{{-3 {{{#white [[파일:change_pos.png|width=12px]] 전쟁 도중 연합국으로 전향 [[파일:whattheydo.png|width=12px]] 간접적 지원 및 여부 논란[br] [[틀:나치 독일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png|width=12px]]]] [[틀:나치 독일의 괴뢰국|{{{#fff 나치 독일의 괴뢰국}}}]] / [[틀:일본 제국의 괴뢰국|[[파일:pupet_state_jap.png|width=12px]]]] [[틀:일본 제국의 괴뢰국|{{{#fff 일본 제국의 괴뢰국}}}]] / [[이탈리아 왕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width=14px]]]] [[이탈리아 왕국|{{{#fff 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 ||
||<-2><#000> {{{#!wiki style="margin: -0.5px -0px; font-size: 0.76em"
[[틀:추축국의 주요 지도자들|{{{#FFF ※ 추축국 주요 지도자 둘러보기}}}]]}}} ||




BBC 방글라 선정 위대한 벵골인


[ 펼치기 · 접기 ]

1위
2위
3위
4위
5위
셰이크 무지부르 라흐만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카지 노즈룰 이슬람
아불 카셈 파즐룰 후크
수바스 찬드라 보스
6위
7위
8위
9위
10위
베굼 로케야 사카와트 호사인
자가디시 찬드라 보스
압둘 하미드 칸 바샤니
이슈와르 찬드라 비댜사가르
람 모한 로이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8:07:45에 나무위키 찬드라 보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벵골어. 외래어 표기법상 '슈바시 촌드로 보수'. '바'의 'a' 모음은 역사적인 장모음이지만 벵골어 모음 장단 구별이 사라지는 과정에서 /aː/→/a/의 모음추이를 겪었고 '촌'(Chôn)의 'ô' 모음은 /a/→/ɔ/로의 모음추이를 겪었다.[2] 힌디어. 외래어 표기법상 '수바스 천드르 보스'. '바'의 'a' 모음은 장모음이므로 /aː/가 되고 '천'(Chan)의 'a' 모음은 중설모음화한 단모음이므로 어중에서 /ə/가 됨. 'Chandra'에서 마지막 'a' 모음은 어말 단모음 'a'이므로 힌디어 발음 규칙 상 탈락되지만 산스크리트어 원음을 존중하여 /ə/ 모음을 넣어 '천드러'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 산스크리트 원음을 존중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다음에서 인용했다. Manjari Ohala, Aspects of Hindi Phonology (Delhi: Motilal Banarsidass, 1983), 138.[3] 외래어 표기법 용례집. 보스(O), 보세(X), 보우즈(X), 보우스(X)[4]대만 타이베이[5] All India Forward Bloc. 보스의 주도로 1939년에 창당되었다.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며 좌파 민족주의 성향을 띄고 있다.[6] 오스트리아 사람이었다.[7] 이 명단을 보면 알겠지만 조선의 대표가 없는데 조선은 한일합방으로 일본 영토로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이뿐만 아니라 대동아 공영권 선전 포스터 등에도 조선을 상징하는 인물은 없다. 단, 조선의 대표자가 없을 뿐 조선인 중 이 회의에 참관한 사람은 있는데 바로 대표적 친일파 문인인 이광수최남선이다. 이광수, 최남선은 대동아회의의 세부 회의 중 하나인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조선인 대표로 참석해 조선 청년들을 일본 제국을 위한 자원입대 운동에 참여해야 한다고 선동했다.[8] 그랬거나 또는 한국인 위안부의 존재를 목격한 것.[9] 인도인들 사이에서는 비폭력으로 일관한 간디보다는 실제로 독립 투쟁을 전개한 보스를 더 존경하는 사람이 적지 않은 듯하지만 당시의 주류였던 북인도의 인도아리아계 힌디들은 암리차르 학살 사건의 트라우마로 인해 무장 투쟁에 소극적인데다 보스는 동인도의 주류인 벵골족이었던 데다 세속주의자였던 탓에 힌두 극단주의자들은 사르다르 발라브바이 파텔을 더 추앙하고 있다.[10] 스테판 반데라 문서의 '우크라이나 내의 평가' 문단에도 나온 내용이지만 우크라이나 자유주의 정치인이자 반데라가 저지른 유대인 학살의 피해자의 후손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조차도 반데라를 나쁜 놈라고 말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오히려 우크라이나 내의 우호적 시각을 고려해 우크라이나의 자유를 수호한 영웅이였다고 평가하면서도 우리는 현대의 영웅, 예술의 영웅, 문학의 영웅, 우크라이나의 모든 영웅을 기억해야 한다면서 그에 대한 지나친 옹호를 경계했을 뿐이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우크라이나 입장이고 폴란드, 이스라엘 입장에서는 정치성향을 초월해서 사악한 파시스트로만 인식된다.[11]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보스를 파시스트, 나치 협력자 카테고리로 분류했고 이에 대한 근거로 수많은 학술 논문과 서적을 각주로 달아 놨다.[12] 일부 유대인들도 보스를 반유대주의자라고 비판하기도 하지만 스테판 반데라나 아민 알 후세이니와 달리 유대인 학살에 직접적으로 관여한 바가 없기 때문에 보스에 대한 유대인들의 관심도가 훨씬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게다가 보스도 분명 나치 협력자로 분류되긴 하지만 반데라나 후세이니와 달리 주 협력 대상은 (유대인들을 주로 박대한) 나치 독일이 아닌 (조선인, 중국인들을 주로 박대한) 일본 제국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