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매 1호

덤프버전 :


문서가 있는 각국 국가원수·행정수반 전용기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통령 전용기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대만 총통 전용기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에어 포스 원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참매 1호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정부전용기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왕실 전용기



파일:북한 국기.svg 현대의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항공병기

[ 펼치기 · 접기 ]
조선인민군
朝鮮人民軍

회전익기
경헬기
500MD
다목적 헬기
Mi-8(MT), Mi-17, Mi-2, Mi-4/Z-5
수송헬기
Mi-26
공격헬기
Mi-24U
전투기
1세대
MiG-15/J-2, MiG-17/J-5
2세대
MiG-19/J-6, Su-7U
3세대
MiG-21(F/PF/PFM/bis), J-7, MiG-23ML
4세대
MiG-29A/C/UB
공격기
Su-25, Su-17?, Q-5?
폭격기
Il-28/H-5
수송기
An-2, An-26, An-24, Il-76
무인기
SUAV
Pchela-1T, 방현-1/2, VR-3 레이
훈련기
프롭
Yak-18/CJ-5, CJ-6, 세스나 172
제트
MiG-15UTI(FT-2), MiG-21U, L-39C?
※ 윗첨자U: 전량 비행불가 ※ 윗첨자?: 존재 여부 확인 불가





1. 개요
2. 운용 기체
3. 역사
4. 여담
5. 기체 역량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김정은전용기. 2015년 7월 31일 북한발 뉴스 보도를 통해 북한에서 부르는 명칭은 참매 1호라는 사실이 공개됐다. 참매북한국조이다. 김정은 이외의 사람이 탑승할 때에는 참매 2호라고 부른다.


2. 운용 기체[편집]


Ilyushin Il-62M, P-882 참매 1호

Ilyushin Il-62M, P-618 참매 2호 [1]

기종은 구 소련 일류신 설계국이 제작한 여객기 Il-62M이며 고려항공 소속 VIP 수송용 기체로, 해당 기체의 개발년도는 1974년으로 상당히 노후화된 기종이다. 고려항공은 한때 총 5대를 보유했었으며, 그 중 2대(P-882, P-618)를 VIP기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2]

원래 김정일Il-62 기종이 아닌 보잉 757이나 A310[3] 같은 서방 기체를 구입해 전용기로 사용하려 했으나 당연히 미국은 북한에게 자국 항공기를 팔지 않았고, 유럽연합 역시 핵과 인권 문제로 제재를 가하여 항공기를 구입하지 못하고 기존의 Il-62를 사용하게 되었다.

참매 1호와 참매 2호의 구분은 김정은의 탑승 여부에 따르는 것으로 보이나 2018년 이후 참매의 도색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체 중간에 인공기가 도색된 기체(P-618)가 참매 2호, 인공기 대신 북한 국무위원회의 국무위원장 휘장이 도색된 기체(P-882)가 참매 1호인 듯.# 상단 사진 참고.


3. 역사[편집]


파일:external/img.etoday.co.kr/20140511083541_447481_500_317.jpg

파일:/image/421/2014/05/11/854690_article_59_20140511153706.jpg

2014년 5월 9일 열린 북한판 탑건 대회인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비행지휘성원들의 전투비행술경기대회-2014'에 김정은, 리설주 부부가 참석한 것을 북한 언론이 보도하면서 처음 알려졌다.

업계의 분석으로는, 고소공포증이 있어 모스크바까지도 전용 열차 태양호를 이용한 김정일[4]과는 달리, 김정은 자신은 비행을 두려워하지 않을 정도로 건강하고 힘차다는, 권위를 과시하는 측면에서 공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일:external/i2.media.daumcdn.net/20140531215704969.jpg

2014년 5월 31일에는 북한 방송을 통해 전용기 내부도 살짝 공개되었다.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40820040831_2.jpg

Il-62가 하도 구형기라 아무래도 안전 문제가 제기되어서인지, 2014년 8월에는 고려항공이 보유하고 있는 기종 중 가장 새 기종인 An-148을 타고다니는 모습도 북한 방송에 나왔다. An-148의 경우, 북한 고위 당국자 뿐만 아니라 주북 외국 대사들이 외교 친선 관련 행사에 참여할 때 국내선 항공편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파일:/image/081/2014/10/04/SSI_20141004161701_V_99_20141004194608.jpg
2014년 10월 4일 인천 아시안 게임 폐막식 참석을 명분으로 대한민국에 온 북한 특사단(황병서, 최룡해, 김양건)이 이 Il-62 기체를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에 착륙하였다. 북한 영토도 헌법상 우리 영토로 치기 때문에 터미널 배정은 대한민국 국적사에 준한다. 대한항공 소속 A380, 보잉 747 등의 대형 여객기 속에서 위화감이 드는 장면.

파일:screen18-02-09-08-19-37.jpg

2018년 2월 9일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참석을 위해 대한민국에 온 북한 고위급 대표단(김영남, 김여정, 최휘, 리선권)이 이 기체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에 착륙해 제1터미널에 주기했다. 이번에도 화물 터미널에 주기되어 있는 아시아나항공페덱스 익스프레스보잉 777, 보잉 747 등의 대형 화물기들 사이에서 위화감이 드는 장면.

남쪽으로 올 때 임시로 사용한 편명은 PRK-615, 다시 북한으로 갈 때 사용한 임시 편명은 PRK-616이다.

현지시찰에도 전용기를 이용했다.

2018년 5월 8일김정은이 참매 1호를 타고 다롄으로 날아가 시진핑을 회동한 것이 언론에 의해 보도되었다. 그리고 그해 6월 19일부터 6월 20일 1박 2일의 3차 방중 때도 이용되었다.


4. 여담[편집]


외국 언론에서는 '에어 포스 '으로 부른다. '원'을 '김정은'의 '은'으로 바꾼 패러디명.


5. 기체 역량[편집]


Il-62의 최대 항속거리(약 9200km)를 고려할 때, 이론상 대한민국, 중국, 일본 등 주변국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물론이고 이란, 시리아서아시아 국가들에도 운항이 가능하다. 미국의 경우 하와이알래스카까지는 가능하나 미국 본토는 무리이다. 평양 기준으로 워싱턴 주, 오리건태평양 연안 지역까지는 아슬아슬하게 닿지만 항속 거리의 여유가 부족해서 직항이 곤란하다. 유럽 지역의 경우 모스크바 등 '유럽 러시아'나 폴란드, 벨라루스동유럽 국가까지는 가능하지만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등의 중~서유럽 국가들은 역시 항속거리 문제 때문에 직항이 곤란하다. 남아메리카 지역은 직항이 전혀 불가능하며, 아프리카의 경우 이집트, 에리트리아, 에티오피아 등이 닿지만 위의 미국 본토와 같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항공기의 노후화 문제까지 생각하면 직항이 가능한 지역은 이보다 더 줄어들 수 있다.

싱가포르에서 열린 2018년 북미정상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북한 사절단이 탄 기체가 2018년 6월 10일 평양싱가포르 노선을 성공적으로 운항하면서 동남아까지 운항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작 김정은 본인은 중국국제항공 소속 보잉 747-400 여객기를 통해 싱가포르로 이동했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9:39:26에 나무위키 참매 1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8년 2월 9일 ~11일 김여정 부부장이 방남했을 때 인천국제공항에서 찍힌 사진이다.[2] 나머지 3대는 비운항 중인것으로 보인다.[3] 동구권에서는 구 동독의 국영 항공사였던 인터플루크가 독일 재통일 직전인 1989년에 A310 3대를 도입해 베를린 - 베이징 직항에 취항한 바 있다. 다만 운항 개시 직후 독일이 통일된 관계로 1991년에 4대 모두 전용기로 개조되어 독일 공군에서 운용되다 퇴역했다.[4] 쿠데타 미수 사건으로 항공기를 기피하게 되었다고 한다. 김일성도 이와 같은 이유로 항공기 이용을 꺼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