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문

최근 편집일시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철창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감옥에 대한 내용은 교도소 문서
교도소번 문단을
교도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blog.s1.co.kr/6901727326.jpg



1. 개요
2. 재료
3. 냉난방
4. 형태
5. 방향
6. 자동차에서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 window
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이 시설은 내부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이 그들에게 필요로 할 때, 외부와 내부의 공간이 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일종이다.

대부분의 건물[1]이나 밀폐형 교통수단은 보온이나 실내 안전을 위하여 외부와 격리되는 설계를 가지는데, 완전밀폐의 경우 환기가 되지 않고 햇볕이 들지 않아[2]서 건강에 좋지 않다.

일부 국가에서는 이 시설의 갯수나 크기로 세금을 메기기도 했을 정도로 중요하다. 따라서 건물과 자동차의 필수요소이며 이게 없으면 주거용 건물이 아니라고 해도 될 중요한 요소이다. 최소한의 컨테이너 박스 집이라도 창문은 달려있다.

한밤중에 오줌이 마려운데 싸러 가기 귀찮을 때 창문 밖으로 고추를 내밀고 오줌발싸를 외쳐 보자. 시원함과 스릴을 동시에 느낄 수 있을 것이다.

2. 재료[편집]


과거에는 종이나 천, 나무 등으로 만들었고, 현대에서는 대부분 유리로 만들어 유리창이라고 부른다. 이 유리창에 미적 요소를 추가하면 스테인드 글라스가 된다.

유리창의 경우 태풍이 올 경우 깨질 수 있어 좀 강한 태풍이 온다면 테이프나 신문지 등으로 보강을 해줘야 한다. 흔히 알려진 X자 테이핑은 유리가 깨졌을 때 유리파편이 사방에 흩어지는 걸 방지하는 효과는 있지만, 보강하는 효과는 없으며, 굳이 보강을 한다면 테두리에 테이핑을 해서 틈새를 완전히 틀어막거나, 신문지나 박스 등을 틈새에 끼워 창문이 최대한 흔들리지 않게 하는게 보강하는데 도움이 된다.

카페 같은 가게에선 여기에 페인트 마카로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써서 디자인 소품으로 활용한다. 은근 싸면서, 쓰고 지우기 편해서 개성을 드러내는데 편한 모양. 시안은 물론, 관련 책도 있다. 단, 뭔가 하기 앞서 깨끗하게 닦은 다음에 하는 건 당연.

대개 최외부에 방충망이 달려 있다. 유럽권은 한여름에도 벌레가 상대적으로 드문 기후라 방충망이 없는 경우도 많다. 또한 무단 침입이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방범창 또는 안전 방충망을 달아두기도 한다.

감옥이나 보안시설에서 쓰이는 철봉을 이용해 만든 철창도 있다. 방범창도 철창의 일종이다.


3. 냉난방[편집]


아무래도 각 방이나 집 전체 냉방/난방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 기밀 세공으로 창문을 만들 경우에는 상당히 좋다. 물론 돈이 더 들겠지만. 창문도 오래된 알루미늄 새시[3]로 시공된 경우 햇빛에 오래 노출되면 형태가 일그러지고 이로 인해 열고 닫을 때 소음이 상당히 나며 빈틈이 생겨 방음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외부의 소음공해로무터 매우 취약하다. 냉난방에도 취약하다. 미서기 방식은 위 아래 레일쪽이 기밀이 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은 물론이고 벌레나 작은 쥐등도 들어올 수 있다. 풍지판으로 보완하나 그래도 부실하다. 최근에는 창문이 2중 유리, 3중 유리에 아르곤 가스를 써서 단열에 강화된 경우도 많으며 효과가 엄청 좋다. 거기에 보통 창문 틈새로 들어오는 냉기를 막고자 시스템 창호라고 하여 복잡하게 안이 이뤄져서 냉기를 막아주는 것도 나왔다. 다만 역시 이런 것들도 돈이 꽤 든다. 하지만 제아무리 비싼 유리나 시스템 창호라고 해도 첫 시공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효과가 팍 줄어듦을 알아두자. 최신 시스템 창호라도 벽에 비하면 열관류률이 5배 수준으로 높지만 남향일 경우 들어오는 햇빛이 열을 훨씬 많이 올려주기 때문에 창이 클수록 난방에 유리하다. 여름은 해의 고도가 높아 처마나 어닝으로 햇빛을 막을 수 있다.


4. 형태[편집]


일반적으로 동양에서는 미서기가 일반적이고, 서양에서는 방문처럼 여닫이 형태이거나 미서기라도 위로 올려서 여는 형태가 일반적이다.[4] 세로로 올려서 여는 경우에는 옆에 도르래와 추를 달아서 창문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인데, 당연히 줄이 끊어지면 열 수 없다.

1990년대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아파트와 일반 빌딩을 막론하고 소위 '시스템 창호'라고 하는 조그맣게 밀어서 반쯤만 열 수 있게 되어 있는 창문을 많이 설치하고 있다.[5] 일반 창호에 비하면 미관상 보기도 좋고, 단열 효과도 좋은데다 추락사고나 투신자살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아파트에 들어가는 창문은 미서기 방식의 이중창이나 시스템 창호라 하더라도 안쪽으로 열리고 완전히 개방되는 창호를 주로 사용하며 커튼월 공법으로 지어지는 일부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에 빌딩과 비슷한 타입의 밀어서 반쯤 열리는 창문을 설치한다.


5. 방향[편집]


  • 남향 : 낮에만 햇살이 들어온다. 계절에 상관없이 쾌적한 채광이 이뤄진다. 이런 이유로 대한민국을 비롯한 북반구에서는 주로 남쪽을 향한 창문을 크게 만든다. 반대로 남반구에서는 대한민국의 북향 특징을 가지게 됨에 따라 최악의 배치가 되어 오스트레일리아 같은 곳에서는 남향 창을 작게 만든다.
  • 동향 : 아침에 햇살이 들어온다. 아침부터 온기가 들어와 겨울에 따뜻하나 여름에는 아침부터 더워진다. 겨울에는 저녁부터 추워지기 시작한다.
  • 서향 : 저녁에만 햇살이 들어온다. 저녁이 되어서야 온기가 들어와 겨울에 춥고 여름에는 저녁 이후 밤 늦게까지 열이 남아있어 열대야에 최악이라고 할 수 있다.
  • 북향 : 해의 복사광이 직접 들어오지 않고 반사광만 들어온다. 연중 서늘하고 습기도 많이 찬다. 이런 이유로 대한민국을 비롯한 북반구에서는 북향창을 작게 만든다. 반대로 남반구에서는 대한민국의 남향 특징을 가지게 되어 쾌적한 채광이 이루어지므로 오스트레일리아 같은 곳에서는 북향 창을 크게 만든다.


6. 자동차에서[편집]


승용차용 창문은 수동 개폐식 창문과 파워 윈도우[6]로 나누어져 있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차량들이 파워 윈도우를 장착하고 나오지만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대한민국을 포함한 개발도상국에서는 수동 개폐식 창문을 장착한 차량도 많았다.[7] [8]예를 들어 대우 티코, 현대 엑센트(1세대 한정)[9]가 있다. 현재도 경차 중에 승용밴/마이너스 옵션으로 뒷좌석만 수동 개폐식 창문을 선택할 수 있다.

버스의 창문은 대부분 손잡이를 젖혀 좌우로 열 수 있다. 그러나 현대 유니버스, 기아 그랜버드 중 전세버스, 고속버스 사양은 창문을 열 수 없게 통유리로 제작된다[10].

여담으로 위기탈출 넘버원 38회(2006년 4월 22일)에서는 자동차 창문 끼임 사고를 방영한 적이 있다. 자동차 창문에 신체가 얼굴을 내밀면 운전자가 모르고 창문을 닫아 끼일 수가 있기 때문에 절대로 창문 밖으로 내밀면 안된다. 기함급 최고급차의 경우 "원터치 파워윈도우"[11]가 전좌석 기본인 경우가 있으나 아직까지 대부분의 차량들의 경우 원가절감을 이유로 운전석 윈도우 또는 조수석까지만 원터치고, 1, 2열 모두에 적용된 차는 많지 않아 자동차 창문 신체끼임사고에 유의해야한다.


7. 관련 문서[편집]


  • 윈도우
  • 깨진 유리창 이론
  • 창문세
  • 방충망[12]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0:38:33에 나무위키 창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방공시설이나 지하시설 등의 경우 창문이 없을 수도 있으며 임시 가건물의 경우에는 벽이 뚫려있는 등 밀폐가 안되었을 수도 있다.[2] 유리궁전 건물은 제외[3] 창문이 진한 갈색이나 구릿빛이 도는 회색이라면 대부분 알루미늄 창인 경우가 많다.[4] 한국과 일본에서 창호 전반을 가리키는 '새시'(sash)가 원래는 이 형태만을 가리키는 단어였다.[5] 영어로는 'awning window'라고 한다.[6] 수동 개폐식 창문은 자동차 마니아들 사이에서 속칭 '닭 다리'라 불리는 손잡이를 돌려 열고 닫는 창문이다. 손잡이를 잡고 한참 돌려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파워 윈도우는 스위치를 누르거나 젖히는 것만으로도 창문을 제어할 수 있다.[7] 때문에 2000년대생 이후로는 이게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제너럴 모터스등을 주축으로 1950년대 초반부터 파워 윈도우의 상용화가 시작되기도 했다.[8] 운전면허학원가면 현재까지도 수동식 레버를 쓰는 차들이 많이 있다.[9] 현대 엑센트는 뒷좌석만 수동 개폐식이며, 앞좌석은 파워 윈도우이다.[10] 북미에서 생산되는 코치는 비상시 아래쪽 창틀에 있는 바를 위쪽으로 젖혀 창문을 위쪽으로 열 수 있게 되어 있다. 국내 도입이 시급한 부분.[11] 버튼을 살짝 누르거나 당기면 그 만큼만 윈도우가 움직이지만 힘 있게 한번에 딸각 누르거나 당기면 한번에 창문이 내려가거나 올라가는 기능으로 톨게이트에서 통행권 수령이나 요금정산 시 편리하다. 그리고 원터치로 창문을 닫을 때 신체가 끼이면 다시 내려가는 기능이 있어 원가절감이 우선인 차량의 경우 아직까지도 원터치 파워 윈도우를 적용하지 않는 모델이 많다.[12] 해당 문서에도 서술되어있다시피 창문의 형태에 따라 존재여부 자체가 갈리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