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숙도

덤프버전 :

사기(史記)

[ 본기(本紀)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 1권 「오제기(五帝紀)」 ||<-2><width=33%> 2권 「하본기(夏本紀)」 ||<-2><width=33%> 3권 「은본기(殷本紀)」 ||
||<-2><rowbgcolor=#fff,#191919> 공손헌원 · 전욱 · 제곡 · 방훈 · 중화 ||<-2>
[ 펼치기 · 접기 ]
||<-2>
[ 펼치기 · 접기 ]
||
||<-2> 4권 「주본기(周本紀)」 ||<-2> 5권 「진본기(秦本紀)」 ||<-2> 6권 「진시황기(秦始皇紀)」 ||
||<-2><rowbgcolor=#fff,#191919>
[ 펼치기 · 접기 ]
||<-2>
[ 펼치기 · 접기 ]
^^
진(秦)나라
^^
비자 · 진후 · 공백 · 진중
장공 · 양공 · 문공 · 헌공(憲公)
출자 · 무공 · 덕공 · 선공
성공 · 목공 · 강공 · 공공
환공 · 경공 · 애공 · 혜공
도공 · 여공공 · 조공 · 회공
영공 · 간공 · 후혜공 · 출공
헌공(獻公) · 효공 · 혜문왕 · 무왕
소양왕 · 효문왕 · 장양왕 }}} ||<-2> 시황제 · 이세황제 · [[영자영|{{{#000,#e5e5e5 진왕 자영
]] ||
||<-2> 7권 「항우기(項羽紀)」 ||<-2> 8권 「고조기(高祖紀)」 ||<-2> 9권 「여후기(呂后紀)」 ||
||<-2><rowbgcolor=#fff,#191919> 항우 ||<-2> 유방 ||<-2> 여치 ||
||<-2> 10권 「효문제기(孝文帝紀)」 ||<-2> 11권 「효경제기(孝景帝紀)」 ||<-2> 12권 「효무제기(孝武帝紀)」 ||
||<-2><rowbgcolor=#fff,#191919> 유항 ||<-2> 유계 ||<-2> 유철 ||
||<-6><width=1000> 보사기(補史記) 「삼황본기(三皇本紀)」 ||
||<-6><bgcolor=#fff,#191919> 복희 · 여와 · 신농 ||
※ 13권 ~ 22권은 表에 해당, 23권 ~ 30권은 書에 해당. 사기 문서 참고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세가(世家)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 31권 「오태백세가(吳太伯世家)」 ||<-2><width=33%> 32권 「제태공세가(齊太公世家)」 ||<-2><width=33%> 33권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 ||
||<-2><rowbgcolor=#fff,#191919>
[ 펼치기 · 접기 ]
||<-2>
[ 펼치기 · 접기 ]
||<-2>
[ 펼치기 · 접기 ]
||
||<-2> 34권 「연소공세가(燕召公世家)」 ||<-2> 35권 「관채세가(管蔡世家)」 ||<-2> 36권 「진기세가(陳杞世家)」 ||
||<-2><rowbgcolor=#fff,#191919>
[ 펼치기 · 접기 ]
||<-2>
[ 펼치기 · 접기 ]
||<-2>
[ 펼치기 · 접기 ]
||
||<-2> 37권 「위강숙세가(衛康叔世家)」 ||<-2> 38권 「송미자세가(宋微子世家)」 ||<-2> 39권 「진세가(晉世家)」 ||
||<-2><rowbgcolor=#fff,#191919>
[ 펼치기 · 접기 ]
^^
희성 위씨(姬姓 衛氏)
^^
강숙 · 강백 · 고백 · 사백 · 첩백 · 정백
기백 · 경후 · 희후 · 공백 · 무공
장공 · 환공 · 주우 · 선공 · 혜공
검모 · 의공 · 대공 · 문공 · 성공(成公)
위군 하 · 목공 · 정공 · 헌공 · 상공
양공 · 영공 · 출공 · 후장공 · 반사
· 도공 · 경공 · 소공 · 희공
신공 · 성공(聲公) · 위왕
^^
희성 자남씨(姬姓 子南氏)
^^
평후 · 사군 · 희군 · 원군 ·
||<-2>
[ 펼치기 · 접기 ]
||<-2>
[ 펼치기 · 접기 ]
||
||<-2> 40권 「초세가(楚世家)」 ||<-2> 41권 「월왕구천세가(越王勾踐世家)」 ||<-2> 42권 「정세가(鄭世家)」 ||
||<-2><rowbgcolor=#fff,#191919>
[ 펼치기 · 접기 ]
||<-2>
[ 펼치기 · 접기 ]
||<-2>
[ 펼치기 · 접기 ]
||
||<-2> 43권 「조세가(趙世家)」 ||<-2> 44권 「위세가(魏世家)」 ||<-2> 45권 「한세가(韓世家)」 ||
||<-2><rowbgcolor=#fff,#191919>
[ 펼치기 · 접기 ]
^^
삼진 분립 전
^^
조숙 · 성자 · 선자 · 장자 · 문자
경자 · 간자 · 양자 · 환자 · 헌자
^^
삼진 분립 후
^^
열후 · 무후 · 경후 · 성후 · 숙후
무령왕 · 혜문왕 · 효성왕 · 도양왕 · 유목왕
^^
대나라(代)
^^
대왕 가
||<-2>
[ 펼치기 · 접기 ]
^^
삼진 분립 전
^^
위필만 · 위망계 · 무자 · 도자
장자 · 헌자 · 간자 · 양자 · 환자
^^
삼진 분립 후
^^
문후 · 무후 · 혜왕 · 양왕
소왕 · 안희왕 · 경민왕 · 위왕 가
||<-2>
[ 펼치기 · 접기 ]
^^
삼진 분립 전
^^
무자 · 구백 · 정백 · 자여
헌자 · 선자 · 정자 · 간자
장자 · 강자 · 무자
^^
삼진 분립 후
^^
경후 · 열후 · 문후 · 애후
의후 · 소후 · 선혜왕 · 양왕
희왕 · 환혜왕 · 한왕 안
||
||<-2> 46권 「전경중완세가(田敬仲完家)」 ||<-2> 47권 「공자세가(孔子世家)」 ||<-2> 48권 「진섭세가(陳涉世家)」 ||
||<-2><rowbgcolor=#fff,#191919>
[ 펼치기 · 접기 ]
규성 전씨(嬀姓 田氏)

진완 · 전맹이 · 전맹장 · 전문자
전환자 · 전희자 · 전성자 · 전양자
전장자 · 전도자 · 태공 · 제후섬
환공 · 위왕 · 선왕 · 민왕
양왕 · 제왕 건}}} ||<-2> 공자 ||<-2> 진승 · [[오광(초한쟁패기)|{{{#black,#e5e5e5 오광
]] ||
||<-2> 46권 「외척세가(外戚世家)」 ||<-2> 50권 「초원왕세가(楚元王世家)」 ||<-2> 51권 「형연세가(荊燕世家)」 ||
||<-2><rowbgcolor=#fff,#191919> 박태후 · 두태후 · 왕태후 · 위황후 · 구익부인 ||<-2> 유교 · 유수 ||<-2> 유고 · 유택 ||
||<-2> 52권 「제도혜왕세가(齊悼惠王世家)」 ||<-2> 53권 「소상국세가(蕭相國世家)」 ||<-2> 54권 「조상국세가(曹相國世家)」 ||
||<-2><rowbgcolor=#fff,#191919> 유비(劉肥) ||<-2> 소하 ||<-2> 조참 ||
||<-2> 55권 「유후세가(留侯世家)」 ||<-2> 56권 「진승상세가(陳丞相世家)」 ||<-2> 57권 「강후주발세가(絳侯周勃世家)」 ||
||<-2><rowbgcolor=#fff,#191919> 장량 ||<-2> 진평 · 왕릉 · 심이기 ||<-2> 주발 ||
||<-6><width=1000> 58권 「양효왕세가(梁孝王世家)」 ||
||<-6><bgcolor=#fff,#191919> 유무 ||
||<-6> 59권 「오종세가(五宗世家)」 ||
||<-6><bgcolor=#fff,#191919> 유덕 · 유알우 · 유영 · 유여 · 유비(劉非) · 유단(劉端) · 유팽조 · 유승(劉勝) · 유발 · 유기 · 유월 · 유승(劉乘) · 유순 ||
||<-6> 60권 「삼왕세가(三王世家)」 ||
||<-6><bgcolor=#fff,#191919> 유굉 · 유단(劉旦) · 유서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열전(列傳) ]
61권 「백이전(伯夷傳)」
62권 「관안전(管晏傳)」
63권 「노자한비전(老子韓非傳)」
백이 · 숙제
관중 · 안영
노자 · 장자 · 신불해 · 한비
64권 「사마양저전(司馬穰苴傳)」
65권 「손자오기전(孫子吳起傳)」
66권 「오자서전(伍子胥傳)」
사마양저
손무 · 손빈 · 오기
오자서
67권 「중니제자전(仲尼弟子傳)」
안회 · 민손 · 염경 · 염옹 · 염구 · 중유 · 언언 · 복상 · 전손사 · 증삼 · 담대멸명 · 복부제 · 원헌 · 공야장 · 남궁괄 · 공석애 · 증점 · 안무요 · 상구 · 고시 · 칠조개 · 공백료 · 사마경 · 번수 · 자유 · 칠조개 · 공서적 · 양전 · 안행 · 염유 · 조휼 · 백건 · 공손룡
68권 「상군전(商君傳)」
69권 「소진전(蘇秦傳)」
70권 「장의전(張儀傳)」
상앙
소진
장의
71권 「저리자감무전(樗里子甘茂傳)」
72권 「양후전(穰侯傳)」
73권 「백기왕전전(白起王翦傳)」
저리질 · 감무
위염
백기 · 왕전
74권 「맹자순경전(孟子荀卿傳)」
75권 「맹상군전(孟嘗君傳)」
76권 「평원군우경전(平原君虞卿傳)」
맹가 · 순경
전문
조승 · 우경
77권 「위공자전(魏公子傳)」
78권 「춘신군전(春申君傳)」
79권 「범수채택전(范睢蔡澤傳)」
위무기
황헐
범수 · 채택
80권 「악의전(樂毅傳)」
81권 「염파인상여전(廉頗藺相如傳)」
82권 「전단전(田單傳)」
악의
염파 · 인상여
전단
83권 「노중련추양전(魯仲連鄒陽傳)」
84권 「굴원가생전(屈原賈生傳)」
85권 「여불위전(呂不韋傳)」
노중련 · 추양
굴원 · 가의
여불위
86권 「자객전(刺客傳)」
87권 「이사전(李斯傳)」
88권 「몽염전(蒙恬傳)」
조말 · 전저 · 예양 · 섭정 · 형가
이사
몽염
89권 「장이진여전(張耳陳餘傳)」
90권 「위표팽월전(魏豹彭越傳)」
91권 「경포전(鯨布傳)」
장이 · 진여
위표 · 팽월
영포
92권 「회음후전(淮陰侯傳)」
93권 「한신노관전(韓信盧綰傳)」
94권 「전담전(田儋傳)」
한신
한신 · 노관 · 진희
전담
95권 「번역등관전(樊酈滕灌傳)」
번쾌 · 역상 · 하후영 · 관영
96권 「장승상전(張丞相傳)」
장창 · 주창 · 임오 · 왕릉 · 신도가 · 위현 · 병길 · 전문 · 황패 · 위현성 · 광형
97권 「역생육가전(酈生陸賈傳)」
98권 「부근굉사전(傅靳蒯成傳)」
99권 「유경숙손통전(劉敬叔孫通傳)」
역이기 · 육가 · 주건
부관 · 근흡 · 주설
유경 · 숙손통
100권 「계포난포전(季布欒布傳)」
101권 「원앙조조전(袁盎鼂錯傳)」
102권 「장석지풍당전(張釋之馮唐傳)」
계포 · 난포
원앙 · 조조
장석지 · 풍당
103권 「만석장숙전(萬石張叔傳)」
104권 「전숙전(田叔傳)」
105권 「편작창공전(扁鵲倉公傳)」
석분 · 장숙
전숙
진월인 · 순우의
106권 「오왕비전(吳王濞傳)」
107권 「위기무안후전(魏其武安侯傳)」
108권 「한장유전(韓長孺傳)」
유비(劉濞)
두영 · 전분
한안국
109권 「이장군전(李將軍傳)」
이광
110권 「흉노전(匈奴傳)」
흉노
111권 「위장군표기전(衛將軍驃騎傳)」
112권 「평진후주부전(平津侯主父傳)」
위청 · 곽거병
공손홍 · 주보언
113권 「남월전(南越傳)」
114권 「동월전(東越傳)」
115권 「조선전(朝鮮傳)」
조타
추무제 · 추요
위만
116권 「서남이전(西南夷傳)」
야랑 · 전국 · 공도 · 백마국
117권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
사마상여
118권 「회남형산전(淮南衡山傳)」
119권 「순리전(循吏傳)」
120권 「급정전(汲鄭傳)」
유장 · 유안 · 유사
손숙오 · 자산 · 공의휴 · 석사 · 이리
급암 · 정당시
121권 「유림전(儒林傳)」
신공 · 원고생 · 한생 · 복생 · 동중서 · 호무생
122권 「혹리전(酷吏傳)」
질도 · 후봉 · 영성 · 주양유 · 조우 · 장탕 · 의종 · 왕온서 · 윤제 · 양복 · 감선 · 두주
123권 「대완전(大宛傳)」
대완 · 강거 · 오손 · 엄채 · 대월씨 · 대하 · 조지 · 안식국
124권 「유협전(遊俠傳)」
125권 「영행전(佞幸傳)」
곽해 · 주가 · 극맹 · 전중
등통 · 한언 · 이연년
126권 「골계전(滑稽傳)」
순우곤 · 우맹 · 우전 · 동방삭 · 서문표 · 동곽선생 · 왕선생 · 곽사인
127권 「일자전(日者傳)」
128권 「귀책전(龜策傳)」
129권 「화식전(貨殖傳)」
사마계주
점복
범려 · 자공 · 백규 · 의돈 · 정정 · 도한
130권 「태사공자서(太史公自序)」
사마천


채 국군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초대}}}}}}[br][[채숙도|{{{#000,#e5e5e5 채숙 도}}}]] ||
||<width=2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2대}}}}}}[br][[채중호|{{{#000,#e5e5e5 채중 호}}}]] ||<width=2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3대}}}}}}[br][[채백황|{{{#000,#e5e5e5 채백 황}}}]] ||<width=2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4대}}}}}}[br][[채궁후|{{{#000,#e5e5e5 궁후}}}]] ||<width=2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5대}}}}}}[br][[채여후|{{{#000,#e5e5e5 여후}}}]]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6대}}}}}}[br][[채무후|{{{#000,#e5e5e5 무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7대}}}}}}[br][[채이후|{{{#000,#e5e5e5 이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8대}}}}}}[br][[채희후|{{{#000,#e5e5e5 희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9대}}}}}}[br][[채공후|{{{#000,#e5e5e5 공후}}}]]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10대}}}}}}[br][[채대후|{{{#000,#e5e5e5 대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11대}}}}}}[br][[채선후|{{{#000,#e5e5e5 선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12대}}}}}}[br][[채환후|{{{#000,#e5e5e5 환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13대}}}}}}[br][[채애후|{{{#000,#e5e5e5 애후}}}]]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14대}}}}}}[br][[채목후|{{{#000,#e5e5e5 목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15대}}}}}}[br][[채장후|{{{#000,#e5e5e5 장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16대}}}}}}[br][[채문후|{{{#000,#e5e5e5 문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17대}}}}}}[br][[채경후|{{{#000,#e5e5e5 경후}}}]]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18대}}}}}}[br][[채영후|{{{#000,#e5e5e5 영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19대}}}}}}[br][[채평후|{{{#000,#e5e5e5 평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20대}}}}}}[br][[채도후|{{{#000,#e5e5e5 도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21대}}}}}}[br][[채소후|{{{#000,#e5e5e5 소후}}}]]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22대}}}}}}[br][[채성후|{{{#000,#e5e5e5 성(成)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23대}}}}}}[br][[채성후(23대)|{{{#000,#e5e5e5 성(聲)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제24대}}}}}}[br][[채원후|{{{#000,#e5e5e5 원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75A64A; font-size: .7em;"
{{{#ece5b6 말대}}}}}}[br][[채후제|{{{#000,#e5e5e5 채후 제}}}]] ||
||<-4><bgcolor=#ffffff,#191919>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 solid 2px #fff; padding: 0px 15px; font-size: 0.8em; width: 50%; height: 10px; text-align: left;"
{{{#000,#e5e5e5 [[틀:역대 주 국왕|{{{#da3f3a,#c52a25 '''← 주 국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 solid 2px #fff; padding: 0px 15px; font-size: 0.8em; width: 50%; height: 10px; text-align: right;"
{{{#000,#e5e5e5 [[틀:역대 초 군주|{{{#008000,#7fff7f '''초 국왕 →'''}}}]]}}}}}} ||
||<-4><bgcolor=#75a64a> {{{#ece5b6 {{{-2 [[틀:삼황오제|{{{#ece5b6 삼황오제}}}]] · [[틀:역대 하 국왕|{{{#ece5b6 하}}}]] · [[틀:역대 상 국왕|{{{#ece5b6 상}}}]] · [[틀:역대 주 국왕|{{{#ece5b6 주}}}]] · [[틀:춘추시대 왕조|{{{#ece5b6 춘추시대}}}]] · [[틀:전국시대 왕조|{{{#ece5b6 전국시대}}}]] · [[틀:역대 진(영성) 군주|{{{#ece5b6 진(秦)}}}]] · [[틀:역대 한 황제|{{{#ece5b6 한}}}]][br][[틀:역대 중국 삼국시대 황제|{{{#ece5b6 삼국시대}}}]] · [[틀:역대 사마진 황제|{{{#ece5b6 진(晉)}}}]] · [[틀:오호십육국 왕조|{{{#ece5b6 오호십육국}}}]] · [[틀:역대 북조 황제|{{{#ece5b6 북조}}}]] · [[틀:역대 남조 황제|{{{#ece5b6 남조}}}]] · [[틀:역대 수 황제|{{{#ece5b6 수}}}]] · [[틀:역대 당 황제|{{{#ece5b6 당}}}]][br][[틀:오대십국 왕조|{{{#ece5b6 오대십국}}}]] · [[틀:역대 송 황제|{{{#ece5b6 송}}}]] · [[틀:역대 서하 황제|{{{#ece5b6 서하}}}]] · [[틀:역대 요 황제|{{{#ece5b6 요}}}]] · [[틀:역대 금 황제|{{{#ece5b6 금}}}]] · [[틀:역대 원 황제|{{{#ece5b6 원}}}]] · [[틀:역대 명 황제|{{{#ece5b6 명}}}]] · [[틀:역대 청 황제|{{{#ece5b6 청}}}]][br][[틀:역대 중화민국 국가원수|{{{#ece5b6 중화민국 국가원수}}}]] · [[틀:역대 대만 총통|{{{#ece5b6 중화민국 총통}}}]] · [[틀: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ece5b6 중화인민공화국}}}]]}}}}}} ||




채(蔡)나라 초대 국군
채숙 도
蔡叔 度


희(姬)

채(蔡)

도(度)
아버지
주문왕(周文王) 희창(姬昌)
생몰 기간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재위 기간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중국 주나라의 제후국 채나라의 초대 군주. 문왕의 오남. 무왕주공의 동복 아우. 삼감 중 한명이다. 주무왕이 상나라를 멸한 뒤 채 땅에 봉해졌다. 성왕 대에 관숙 선, 곽숙 처[1]상나라 주왕의 아들인 무경의 반란에 협력했으나 주공단에 의해 진압되었다.[2] 무경과 관숙은 처형되고 곽숙과 채숙은 유배된다. 채숙 도는 유배지에서 죽었고, 아들인 공자 호 대에 나라가 복국되어 채나라를 이어나가니 그가 바로 채중호다.


2. 생애[편집]


채숙 도는 주 문왕의 오남으로 태어났다. 주 문왕이 죽은 뒤 둘째 형인 주 무왕이 뒤를 이었다.[3]

주 무왕 원년, 주 무왕이 상나라를 멸해 주나라가 천하의 패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주 무왕은 정권을 공고하게 하기 위해 봉건제를 실시했다. 큰 공을 세운 신하들, 종실의 어른의 후손과 공로를 세운 형제들에게 분봉을 하였다. 무왕은 주왕의 아들 무경으로 하여금 상나라 유민을 다스리게 하고 무경을 감시하기 위해 관숙 선, 채숙 도, 곽숙 처를 무경의 주위에 봉건한다.. 이들을 삼감(三監)이라고 한다.[4]

몇 년 뒤 주 무왕이 죽고 주 성왕이 즉위했는데, 그가 어려서 주공 단이 정사를 대신 돌보았다. 그러나 채숙 도, 관숙 선, 곽숙 처는 이것에 불만을 품고 주공 단을 모함했다.

주 성왕 2년, 채숙 도는 무경, 관숙 선, 곽숙 처와 함께 반란을 일으킨다.[5] 이것을 삼감의 난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2년 뒤인 주 성왕 4년, 주공 단이 이들의 반란을 진압하고 동쪽 이민족을 정벌한다(주공의 동정).[6] 무경과 관숙 선은 처형되고 채숙 도는 곽령 땅으로 유배되었다. 채숙 도는 유배지에서 죽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2:56:04에 나무위키 채숙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곽숙은 논란이 있다.[2] 주공이 진압했는지도 논란이 있다. 기록이 상충되기 때문이다.[3] 그 형인 백읍고는 주왕에게 잡혀 살해되었기 때문이다.[4] 3명의 감시자라는 뜻.[5] 앞서 말했듯이 곽숙은 논란이 있다.[6] 다만 주공이 권력에서 쫓겨났다는 기록도 있기 때문에 실제로 주공이 반란을 진압한 것인지 논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