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차량 관련 정보

(♥ 0)




1. 개요
2. 종류
3. 용어
3.1. 기술/장치
3.2. 승무시설
3.3. 제작사
4. 차량 목록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철도차량과 관련된 정보들을 정리하는 문서이다. 크게 분류하면, 철도차량기술기준에 따르면 선로를 200km/h 이상의 최고속도로 주행하는 차량을 고속철도차량, 선로를 200km/h 미만의 최고속도로 주행하는 차량을 일반철도차량, 도시교통권역에서 운영하는 철도차량을 도시철도차량이라 한다.


2. 종류[편집]


열차의 등급, 관광열차 등 목적별 분류는 철도 관련 정보 참조.

  • 기관차
    • 증기 기관차[1](퇴역)
    • 디젤 기관차
    • 전기 기관차
    • 가스터빈 기관차
    • 수소 열차



  • 무동력차
    • 객차
    • 화차
    • 발전차
      • 스테인리스 발전차(장대형)
      • 직각형 발전차[2](퇴역)
      • 유선형 발전차[3](퇴역)
    • 소화물차(퇴역)
    • 우편차(퇴역)
    • 보수용 열차
    • 검측차
    • SUV: 승용차체에 철로용 바퀴를 단 것. 강원도 삼척에 위치한 추추하이원파크의 레일바이크에서 현대 테라칸이 한대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자세한 것은 링크를 참고. 사진을 보려면 사진으로.


3. 용어[편집]




3.1. 기술/장치[편집]




3.2. 승무시설[편집]




3.3. 제작사[편집]


철도차량/제작사 문서 참조.


4. 차량 목록[편집]




4.1. 대한민국[편집]



4.1.1. 한국철도공사[편집]




4.1.1.1. 고속열차 등급 차량[편집]





4.1.1.2. 새마을호, ITX-새마을마음 차량[편집]

  • 새마을호 유선형 객차(퇴역)
  • 새마을호 장대형 객차(퇴역) - 유선형 객차를 기반으로 1990년~1991년에 제작하였으며 차량의 완성도가 상당히 높아졌다.
  • 새마을호 직각형 객차(퇴역)
  • DHC 디젤동차(일명 PP동차)[5](퇴역)
  • ITX-새마을
  • 새마을호 리미트 객차
  • ITX-마음


4.1.1.3. 무궁화호, 누리로 차량[편집]

  • 무궁화호 대수선 객차[6], 무궁화호 장대형 객차[7], 구 2x3객차, 대수선객차[8](퇴역)
  • 무궁화호 클래식 객차(나뭇결 객차 초기형, 클래식 객차)[9]
  • 무궁화호 나뭇결 객차(나뭇결 객차) - 대차가 새마을호에 사용되는 그것으로 교체되었고 일부 차량은 배리어 프리에 어느 정도는 대응하게끔 설계되었지만, 저상홈 객차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
  •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
  • 무궁화호 유선형 객차( 용 편성 객차)(퇴역)
  • 무궁화호 해태중공업 특실 객차(해태중공업 제작 특실전용 신형 객차)
  • 무궁화호 유선형 특실 객차(새마을호 객차형 일반실 격하차량)
  • DEC 디젤동차[10](퇴역)
  • NDC 디젤동차(일명 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11](퇴역)
  • RDC 디젤동차[12](퇴역)
  • 누리로


4.1.1.4. ITX-청춘 차량[편집]



4.1.1.5. 통근열차, 통일호 차량[편집]

  • CDC 디젤동차, 통일호[13](퇴역) 항목을 참조.


4.1.1.6. 비둘기호 차량[편집]



4.1.1.7. 증기 기관차[편집]

  • 4륜형 증기기관차[14](퇴역)
  • 미카형 증기기관차[15](퇴역)
  • 파시형 증기기관차(퇴역)
  • 터우형 증기기관차(퇴역)
  • 아메형 증기기관차[16](퇴역)
  • 모가형 증기기관차(퇴역)
  • 푸러형 증기기관차(퇴역)
  • 발틱형 증기기관차(퇴역)
  • 고로형 증기기관차(퇴역)
  • 사타형 증기기관차[17](퇴역)
  • 소리형 증기기관차[18](퇴역)
  • 마터형 증기기관차[19](퇴역)
  • 혀기형 증기기관차[20](퇴역)
  • 630호대 증기기관차 : 630호대(퇴역)
  • 660호대 증기기관차 : 660호대(퇴역)
  • 700호대 증기기관차 : 700호대(퇴역)
  • 810호대 증기기관차 : 810호대(퇴역)
  • 900호대 증기기관차 : 900호대[21](퇴역)
  • 901호 증기기관차(일명 SY-11형(상유형) 증기기관차)[22](퇴역)


4.1.1.8. 디젤 기관차[편집]





4.1.1.8.1. 소형 기관차[편집]

  • EMD SW8 : 2000호대(2001호 제외 퇴역) - 국내 최초의 디젤기관차
  • EMD SW1001 : 2100호대(2101호, 2116호, 2122호 제외 퇴역)
  • 9100호대 디젤기관차 : 9100호대[23](퇴역) - 일제. 액압식 입환기로써 껍데기는 기관차인데 엔진은 동차의 것을 재활용. 원형은 키하52 동차.


4.1.1.8.2. 중형 기관차[편집]

  • EMD G8 : 3000호대[24](3010호, 3016호 제외 퇴역)
  • ALCO RS8 : 3100호대, 3200호대(3102호 제외 퇴역)
  • EMD G12 : 4000호대(4001호, 4007호 제외 퇴역)
  • EMD G12 : 4100호대[25](4102호 제외 퇴역)
  • EMD G22 : 4200호대(4201호, 4216호, 4217호 제외 퇴역)
  • EMD G12 : 4300호대[26](퇴역)
  • EMD GT18B-M : 4400호대


4.1.1.8.3. 대형 기관차[편집]

  • EMD SD9 : 5000호대[27](5025호 제외 퇴역)
  • EMD SD18 : 6000호대[28](퇴역)
  • EMD SDP28 : 6100호대(퇴역)
  • EMD SDP38 : 6200호대(6230호 제외 퇴역)
  • EMD G26CW : 6300호대[29](퇴역)


4.1.1.8.4. 특대형 기관차[편집]

  • EMD FT36HCW-2 : 7000호대[30](7001호 제외)(퇴역)
  • EMD GT26CW : 7100호대, 7200호대, 7500호대(7500호대 재생기관차 제외 퇴역)
  • EMD GT26CW-2 : 7300호대, 7400호대, 7500호대(후기형)
  • GE 파워홀 : 7600호대

4.1.1.8.5. 기타 기관차[편집]

  • EMD GT22CW : 사유기관차 [31](퇴역)

4.1.1.9. 전기 기관차[편집]



4.1.1.10. 디젤동차[편집]


  • CDC 디젤동차(통근열차)(퇴역)
  • RDC 디젤동차(무궁화호)(퇴역)
  • DEC 디젤동차(퇴역)
  • DHC 디젤동차(PP 동차)[32](퇴역)
  • NDC 디젤동차(우등형 디젤 액압 동차)[33](퇴역)
  • 경복호(대한민국 대통령 특별 열차)
  • DC 디젤동차(퇴역)
  • 3등형 디젤동차(퇴역)


4.1.1.11. 전기동차[편집]





4.1.1.11.1. 고속철도용 차량[편집]



4.1.1.11.2. 간선철도용 차량[편집]


4.1.1.11.3. 광역전철용 차량[편집]



4.1.1.12. 기타 차량[편집]

  • 시그형 증기동차[38](퇴역)
  • 게하형 가솔린동차[39](퇴역)
  • 니게하형 가솔린동차[40](퇴역)

4.1.1.13. 자기부상열차[편집]


4.1.2. 서울교통공사[편집]







4.1.3. 서울시메트로9호선[편집]




4.1.4.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편집]




4.1.5.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편집]




4.1.6. 네오트랜스주식회사[편집]




4.1.7. 김포골드라인운영[편집]




4.1.8. 의정부경전철주식회사[편집]




4.1.9. 용인경량전철주식회사[편집]




4.1.10. 인천교통공사[편집]






4.1.11. 공항철도주식회사[편집]






4.1.12. SG레일[편집]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차량


4.1.13. 인천공항공사[편집]




4.1.14. 대전교통공사[편집]






4.1.15. 부산교통공사[편집]






4.1.16. 부산김해경전철운영주식회사[편집]




4.1.17. 대구교통공사[편집]






4.1.18. 광주교통공사[편집]






4.1.19. 한국철도기술연구원[편집]


파일:한국철도기술연구원 로고.svg
한국철도기술연구원개발 전동차






  • VHST-600X(한국형 레일방식 초고속 철도)[42]


4.2. 북한[편집]


  • 태양호 - 북한지도자 특별 열차
  • 주체호 전동차 - 북한산 러시아 ER200형 전동차를 참조 70년대에 제작된 특급형 전동차, 김종태전기기관차연합기업소 제작
  • 화성-11가


4.3. 일본[편집]




4.4. 중국[편집]




4.5. 대만[편집]



4.6. 호주[편집]




4.7. 미국[편집]



4.7.1. 증기 기관차[편집]




4.7.2. 디젤 기관차[편집]




4.7.3. 전기 기관차[편집]


  • ACS-64
  • EMD AEM-7
  • GE E60
  • GE 제네시스 시리즈[43]
  • HHP-8
  • PRR GG1


4.7.4. 가스터빈 기관차[편집]




4.7.5. 전기동차[편집]





4.8. 캐나다[편집]




4.9. 영국[편집]



4.9.1. 증기 기관차[편집]




4.9.2. 디젤 기관차[편집]




4.9.3. 전기동차[편집]




4.10. 독일[편집]



4.10.1. 증기 기관차[편집]




4.10.2. 전기 기관차[편집]




4.10.3. 디젤동차[편집]




4.10.4. 전기동차[편집]




4.10.5. 기타[편집]




4.11. 프랑스[편집]



4.11.1. 전기동차[편집]




4.12. 러시아[편집]



4.12.1. 증기 기관차[편집]


  • P36급 증기 기관차
  • L급 증기 기관차


4.12.2. 디젤 기관차[편집]




4.12.3. 전기 기관차[편집]




4.12.4. 전기동차[편집]


  • 삽산 - 독일 지벤스 벨라로 자매기


4.13. 스페인[편집]



 S-100 · S-102 · S-112 · S-103
S-104 · S-114 · S-121
S-120 · S-130 · S-730
퇴역차량
Renfe S-101



4.14. 유럽[편집]




5. 관련 문서[편집]



[1] 퇴역했다고 되어 있지만 아직 저개발국가에서는 잘 이용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도 관광용으로 간혹 운행하기도 한다. 실제로는 증기기관차보다 아래의 가스터빈 기관차가 연비 문제로 인해 사실상 퇴역상태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가스가 남아도는 러시아에서는 여전히 현역이다.[2] 간선철도용과 지선철도용이 있다.[3] 무궁화 도색으로 칠해져 있다.[4] 증기 기관차 기타 문단에 자세히 나오는데 간단하게 말하면 범퍼 비슷한 장애물을 밀어내는 보호대이다.[5] PP동차 퇴역 이후 현재는 모두 개조공사를 받아 견인형 객차화되었다. 참고로 이 개조공사는 처음에는 돈이 많이 드니 차를 완전히 들어내야 하느니 어쩌니 하면서 동호인 간에서 논란이 있었던 부분인데, 코레일은 이런 논란을 비웃기라도 하듯 곧바로 멀쩡한 PP동차를 뜯어내서 견인형 객차화를 시키는 위엄을 보여주었다.(...)[6] 장대형 객차 (일명 폭탄) 이전의 객차다.[7] 폭탄객차다. 구 2x3객차에서 좌석 교체 및 대수선을 거치지 않고 좌석만 2x2 형태로 재배열한 객차.[8] 구 2x3객차에서 좌석 및 내장재를 클래식 객차 나뭇결 초기형 내장재에 준하게 전면 개조한 객차.[9] 단, 2009년 이후 실시된 내장재 개조 사업 중 전면개조를 받은 차량은 두 차량 간의 차이가 없다. 이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화물 적재용 선반의 색깔이다. 은색으로 되어 있으면 클래식 객차, 주황색으로 되어 있으면 나뭇결 협창형이다.[10] EEC 디젤동차와 비슷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11] RDC 디젤동차가 나오기 전에 운행했던 디젤동차로 으르렁거리는 소리가 특징이다.[12] CDC 디젤동차를 개조하여 운용했던 차량이다.[13] KTX가 개통되기 전에 운행했던 열차[14] 바퀴가 4개나 있는 증기 기관차[15] 현재 의왕 철도박물관에 보존 중이다.[16] 미국식 증기 기관차[17] 탱크식 증기 기관차[18] 1950년대 말에 폐차되었다.[19] 6.25 전쟁중 중공군의 참전으로 후퇴하다가 장단역에서 노획을 우려해 소총으로 파괴시켰다.[20] 혀기 11형 12호가 삼성화재교통박물관에 보존 중이다.[21] 한국전쟁 이후 혀기 11형으로 변경되었다.[22] 1994년에 중국 장춘에서 도입한 증기기관차로 무궁화호 객차를 사용하였다.[23] 이 차는 다른 디젤 기관차와는 다른 유압식 디젤기관차이다. 차번대도 동차와 같이 노는 것을 보면 족보에도 없는 차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게 아니다. 2007년을 끝으로 2대 모두 폐차되었다.[24] 3016호가 단양역에 보존되어 있다.[25] 대전철도차량정비단에 5000호대 기관차와 함께 전시되어 있다.[26] 4301호가 미국으로 매각되었다.[27] 대전철도차량정비단에 1대가 보존되어 있다.[28] 5000호대 기관차와 비슷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29] 도입 초기 7000호대였으나 FT36HCW-2 도입으로 6300호대로 변경.[30] 기관차의 형태가 승합차와 비슷하게 생겨서 '봉고기관차'라고도 한다.[31] 국내 단1량 밖에 없다. 폐차는 X[32] 현대중공업과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새마을호 디젤동차[33] 의왕 철도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34] 광역본부 소속이지만 일반여객열차 지위를 갖고 있어 여기로 분류가 가능하다.[35] 일부 편성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에서 임시 운행 중이다.[36] 일부 편성은 1호선에서 임시 운행 중이다.[37] 일부 편성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서 임시 운행 중이다.[38] 일제강점기에 도입된 한국철도 역사상 유일한 증기동차[39] 대한민국에서 운행된 유일한 표준궤 전용 가솔린동차[40] 대한민국에서 운행된 유일한 협궤 전용 가솔린동차[41] 2호선 개통 초기 2호선에서도 잠시동안 운행한 적이 있다.[42] LSM(Linear Synchronous Motor / 선형 동기 모터) 방식을 사용하는 차량으로 구동 방식의 일종이며 자기부상과는 관계가 없다.[43] P32AC-DM 한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9-06 00:09:12에 나무위키 철도차량 관련 정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