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버스

덤프버전 :



아성고속 계열사
시외버스
아성고속천마고속
농어촌버스
영덕버스청송버스


파일:청송부남감연.png
파일:안덕노래리.png
구도색.[1]
현재 도색.[2]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노선
5. 차량
5.1. 현재 보유 차량
5.2. 과거 보유 차량


1. 개요[편집]


청송군 농어촌버스를 담당하고 있는 버스 회사로, 차고지는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중앙로 184 (월막리)[3]다.


2. 역사[편집]


1985년 8월 12일에 설립했다.

1991년부터 좌석버스를 운행했다.

2017년 3월 1일에 노선체계를 개편하면서, 일부 노선이 신설되거나 경유지가 변경되었다. 노선이 신설되면서, 일부 노선은 운행횟수가 줄어들었다. 청송군 보도자료 관련 게시물 청송~길안(안동) 노선도 생기고 삼자현을 넘는 청송~현동 노선도 신설되었다.[4]


3. 특징[편집]


영덕군 농어촌버스 업체인 영덕버스와 더불어 아성고속 계열사임에도 불구하고, 관계에 대해서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 심지어 청송군민 중에서도 모르는 사람이 있을 정도이다. 자세히 보면 알겠지만 차량의 행선지 표기의 글씨체가 아성/천마와 동일하다.

청송 사과 축제 기간에는 그쪽으로만 차를 편성하고 있다.


4. 노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청송군 농어촌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차량[편집]


전 차량 자일대우버스로만 운용한다. 다만 1980년대에 현대 FB버스를 출고, 운행한 이력이 있다. 도색은 이전에는 입석버스는 아이보리색 바탕에다가 남색 줄로 구성된 경북 공통 구도색[5], 1991년부터 운행한 좌석버스는 여기에 붉은색 가는 줄이 추가된 경북 공통 좌석버스 구도색을 사용했다.[6]

2009년경 입석·좌석 공용으로 현재의 붉은 바탕의 도색으로 바뀌었는데, 도색이 상당히 깔끔하고 예쁜 편이다. 일반·좌석버스 요금 일원화는 사실상 이때부터 예고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회사에서 운용중인 몇몇 차량(주로 좌석버스)에는 저상버스처럼 슬로프가 달려 있다.

순차적으로 전 차량 전기버스로 교체할 계획이 있으며, 2024년에 3대 첫 도입 예정이다. #


5.1. 현재 보유 차량[편집]



5.1.1. 자일대우버스[편집]




5.2. 과거 보유 차량[편집]



5.2.1. 자일대우버스[편집]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F/L 디젤
  • 대우 BF101 디젤
  • 대우 BF101Q 디젤
  • 대우 BF105 디젤[7]
  • 대우 BS105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5.2.2. 현대자동차[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1:11:05에 나무위키 청송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진보와 청송을 기점으로 북부지역을 주로 운행하는 좌석조 차량이다.[2] 안덕터미널을 기점으로 삼아 남부 지역을 주로 운행하는 시내B조 차량이다.[3] 청송버스터미널[4] 다만 1일 2회 뿐이고(청송 ↔ 안덕, 진보 ↔ 현동), 청송에서 안덕 이서로 가는 농어촌버스 노선이 없어 동대구 ↔ 청송 시외버스가 여전히 애용된다.[5] 현재는 의성, 문경에서만 볼 수 있다.[6] 경북 내에서 좌석버스를 운행한 지역은 청송 이외에 구미, 상주, 문경, 성주, 영주, 안동, 김천, 영양 등이 있는데, 문경, 상주, 영주는 초기부터 자체도색을 사용해서 이 도색을 사용한 지역은 청송, 구미, 안동, 성주, 영양뿐이다. 그마저도 구미와 성주는 90년대 초에, 김천, 안동은 90년대 후반에 자체도색을 도입해서 경북 공통 좌석 구도색을 2000년대 이후까지 사용한 지역은 청송이 유일하다.[7] 경상북도에서 영주여객, 영양버스와 더불어서 BF105를 좌석버스로 운용한 몇 안되는 곳이기도 하다. 물론 비슷한 년식의 BS105, BS106 좌석버스와 혼용 운용했다. 좌석버스로 BF105는 남부지역을, BS105와 BS106은 북부지역을 주로 운행했다. 또한 예천, 봉화, 의성과 더불어 출입문이 각진 1996년식도 입석형으로 운용했다. 다만 내장재가 회색 톤으로 바뀐 1997년식은 예천, 봉화와 달리 의성처럼 운용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