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덤프버전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51~1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01~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51~2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01~2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51~3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301~336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 번호 없음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220호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靑磁 象嵌龍鳳牡丹文 盒 및 托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수량/면적
1조
지정연도
1984년 8월 6일
제작시기
고려시대(13세기)

파일:국보220호청자상감용봉모란문합및탁.jpg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4. 국보 제220호


1. 개요[편집]


靑磁 象嵌龍鳳牡丹文 盒 및 托.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고려청자 대접 세트로 대접과 뚜껑, 대접 받침, 숟가락까지 해서 한 세트를 이룬다.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이라는 이름은, 상감 기법으로 봉황, 모란 무늬를 새겨 넣은 청자로 된 대접과 그 받침이라는 것이다.

삼성 이병철 전 회장이 소유하고 있던 골동품 가운데 국보 등과 같은 국가 지정 문화재로 지정된 대다수 유물들이 그렇듯이,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도 정확한 입수경위나 출토 위치는 현재로선 전혀 알 수 없다. 하지만 본 청자 대접 세트는 대접과 대접 뚜껑, 대접 받침에다가 수저까지해서 온전하게 한 세트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대단히 높다. 또한 이 뿐만 아니라, 대접과 뚜껑, 받침의 내부와 외부에 조형된 장식들도 수준이 아주 높고 대단히 호사스럽다는 점에서 고려의 지배층이 사용한 식기구로 보이는데, 화려했던 고려 귀족 사회의 한 단면을 드러내는 유물이기도 하다.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은 전체 세트로 묶여서 국보 제22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현재 삼성 리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2. 내용[편집]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은 전체 높이 약 19cm, 대접의 입지름은 18.5cm 크기이다. 문화재명에서 가리키는 합(盒)은 뚜껑이 달린 음식을 담는 그릇을 말하는데, 본 유물은 숟가락까지 세트로 온전히 전해진다는 점에서 실제로도 음식을 담는 그릇 용도로 만들어져 쓰였을 것으로 본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세트를 이루는 각 기구들에 새겨진 장식은 상감 기법으로 조형된 것이다. 상감 기법이란 흙으로 도자기를 빗어낸 뒤에 칼로 흙 표면에 홈을 파서 문양을 새기고 이 홈을 백토(하얀 흙)나 흑토(검은 흙)와 같이 색이 있는 흙으로 채우고 유약을 발라 도자기를 구워서 완성시키는 방식의 세공 기술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주로 백토 상감이 쓰였지만 흑토도 간간히 섞어서 쓰고 있다. 그리고 이 상감 장식은 대접, 뚜껑, 받침에 모두 섬세하게 새겨져 있다.





대접 내부
본체인 대접은 운두가 큰 그릇으로, 그릇의 내부와 외부에는 모두 상감 기법으로 꾸민 화려한 장식이 새겨져 있다. 대접 내부 표면은 백토 상감 기법으로 번개 무늬 띠와 구름 사이를 날고 있는 네 마리의 봉황이 장식됐고 대접 밑바닥에는 둥근 원 모양의 모란 무늬와 원 안에는 봉황 두 마리가 새겨져 있다.

대접 외부 표면은 상하로 나눌 수 있는데, 상부에는 띠를 두르고 띠 아래에는 구름 무늬를 새겨넣었고, 하부에는 전체적으로 국화 무늬가 장식되어 있으며, 두 겹의 원 안에 들어간 모란 문양으로 포인트를 줬는데 이 모란도 백토와 흑토로 상감(흑백상감)하여 또 포인트를 줬다. 외부 표면 역시 모두 상감 기법으로 장식되어 있다.





대접 뚜껑 외부
대접의 뚜껑은 대접과는 다른 문양이지만 역시나 섬세하고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우선 뚜껑 표면의 맨 위에는 짐승형의 꼭지가 달려있는데, 이 짐승은 다람쥐 또는 작은 용으로 보고 있다. 뚜껑은 꼭지를 중심으로 해서 동심원을 그리며 여러 띠가 구성되어 있는데, 꼭지에서 가장 가까운 동심원은 흑백상감으로 연꽃 무늬 띠를 이루고 있다. 다음 동심원은 백토로 물결 무늬 띠를, 물결 무늬 띠 밖으로는 용 두 마리와 봉황 두 마리가 구름 사이를 날고 있는 모습(용봉문)을 역시 백토로 조형하였고 테두리를 원점 무늬(안에 작은 점이 찍힌 원의 모양) 띠로 달았으며, 뚜껑 가장자리는 번개 무늬 띠를 새겨놨다.





대접 뚜껑 내부
또한 뚜껑도 외부 표면 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문양을 장식했다. 뚜껑 내부 천장에는 흑백상감으로 장식된 모란 꽃 한 송이가 있고, 이 주위로 두 겹의 동심원을 그리면서 내부 원에는 연꽃 무늬 띠를, 외부 원에는 원점 무늬 띠를 만들어놨다. 동심원 밖으로는 두 마리 씩 쌍을 지은 총 여덟 마리가 구름 사이를 날고 있으며 그 사이에는 두 겹의 원 안에 들어간 모란 문양 네 개가 학 한 쌍과 번갈아가며 배치되어 있다.

이외에도 뚜껑에서 한 가지 눈길을 끄는 부분은 가장자리 한 쪽 구석의 이가 빠져 있다는 것인데, 이 부분은 소실된 것이 아니라 원래부터 빠져 있던 것으로 뚜껑을 덮은 상태로도 그릇에 숟가락을 꽂아 넣을 수 있도록 편의성을 살린 것이다. 이를 통해 숟가락 역시 원래의 한 세트임이 드러난다.





파일:국보220호청자상감용봉모란문합및탁받침상면.jpg
대접 받침 윗면
대접 받침은 안이 비어 있는 굽 위에 쟁반형의 받침이 올라가 있는 형태인데, 받침에도 역시 상감 장식이 새겨져 있다. 받침의 윗면의 장식은 대접 뚜껑 표면 장식과 흡사한데, 용 두 마리와 봉황 두 마리가 구름 사이를 날고 있는 모습이다. 가장 테두리에는 번개 무늬 띠가 있고 띠 안쪽으로는 용봉문이 새겨져 있다. 안이 비어 있는 굽의 내부의 중심에는 모란 꽃 한 송이가 있으며 모란 주위로 물결 무늬를 새겨놨다.





대접 받침 아랫면
받침 아랫면은 대접 내부 표면과 비슷한 장식을 해놨는데 여기는 번개 무늬 띠와 구름 사이를 날고 있는 네 마리의 봉황이 새겨져 있다. 아랫면에 붙어 있는 굽의 몸통에도 연꽃 무늬를 장식해놨다.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에 딸려있는 숟가락은 금속제로 손잡이 부분은 구부러져 있고 그 끝에 꽃봉오리 모양으로 마무리를 해서 포인트를 주었다.

파일:국보220호청자상감용봉모란문합및탁전체.jpg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전체 세트
이와 같이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은 전체적으로 상감 장식이 되어 있고, 그 문양과 장식도 대단히 다양하여 당시 존재하던 문양이 모두 보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이렇게나 섬세한 조형 정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본 청자 대접 세트는 최소 고려의 귀족층 또는 왕족이 사용할 목적으로 특별히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은 세트가 모두 갖추어져 있다는 점에서 보존상태가 아주 우수하고, 미적인 아름다움과 고려시대의 높은 청자 제작 공예 수준을 보여주며, 화려한 고려 귀족 문화를 보여준다는 점 등의 가치를 인정 받아 1984년 8월 6일 국보 제220호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편집]




4. 국보 제220호[편집]



고려시대 만들어진 뚜껑있는 청자대접으로 높이 19.3㎝, 아가리 지름 18.5㎝, 밑 지름 6.8㎝이다.

뚜껑과 받침, 수저까지 완전하게 갖추어진 유물로서, 뚜껑에 다람쥐 모양의 꼭지를 만들었다. 다람쥐를 중심으로 그 아래에 흑백상감의 겹 연꽃무늬 띠와 물결무늬 띠를 두었고 그 밑으로 봉황과 용을 새겼다.

그릇 안에 수저를 꽂았을 때 뚜껑과 사발의 사이가 뜨지않도록 뚜껑의 한쪽 귀퉁이에 홈을 파 놓았으며, 대접 아가리의 가장자리에는 번개무늬 띠를 두르고 그 아래로 학과 구름무늬를 규칙적으로 새겼다. 표면에는 두 겹의 원을 그리고, 그 안에 모란을 흑백상감으로 장식하였으며 나머지 여백은 국화 무늬로 메우고 있다. 유약은 부분적으로 황록색을 띠지만 대체로 맑은 편이다.

뚜껑, 대접, 받침 전면에 걸쳐 상감되어 있는 문양 표현이 돋보이며, 당시의 상감문양이 거의 망라되어 있어 이 유물이 왕족 계층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1:22:50에 나무위키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