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여자교도소

최근 편집일시 :

파일:교정본부 엠블럼.svg 대한민국 교정본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교정본부장_계급장.svg
법무부 교정본부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서울지방교정청
교도소
안양교도소 · 의정부교도소 · 화성직업훈련교도소 · 화성여자교도소(예정) · 여주교도소 · 서울남부교도소 · 춘천교도소 · 원주교도소 · 강릉교도소 · 영월교도소 · 강원북부교도소 · 태백교도소(예정)
구치소
서울구치소 · 서울남부구치소 · 서울동부구치소 · 수원구치소 (평택지소) · 인천구치소 · 경기북부구치소(예정)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대구지방교정청
교도소
대구교도소 · 경북북부제1교도소 · 경북북부제2교도소 · 경북북부제3교도소 · 경북직업훈련교도소 · 부산교도소 · 창원교도소 · 포항교도소 · 안동교도소 · 김천소년교도소 · 경주교도소 · 진주교도소 · 상주교도소
구치소
부산구치소 · 대구구치소 · 울산구치소 · 밀양구치소 · 통영구치소 · 거창구치소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대전지방교정청
교도소
대전교도소 (논산지소) · 공주교도소 · 홍성교도소 (서산지소) · 천안개방교도소 · 천안교도소 · 청주교도소 · 청주여자교도소
구치소
충주구치소 · 대전구치소(예정)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광주지방교정청
교도소
광주교도소 · 전주교도소 · 순천교도소 · 목포교도소 · 장흥교도소 · 군산교도소 · 제주교도소 · 해남교도소 · 정읍교도소 · 남원교도소(예정)
구치소
광주구치소(예정)
국군교도소 (국방부) · 소망교도소 (민영) · 국립법무병원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1. 개요
2. 역대 소장
3. 수용자
4. 여담
5. 대중매체에서
6. 관련 문헌



1. 개요[편집]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산남동에 1989년 10월 16일에 설립된 국내 유일 여성 전용 교도소이다.[1] 개소 당시부터 구 청주보안감호소[2] 건물에 있었다가 2003년 10월 신축 이전했다.

현재까지 전국 유일의 여자교도소라는 점으로 모든 여성 수감자들은 다 이 청주여자교도소에 있다는 착각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일반 교도소에도 여성 수형자를 위한 별도 구역이 있다. 일반 교도소의 여성 사동은 1년 남짓의 단기수, 구치소의 여성 사동은 사형수와 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고 있는 여성 피고인들만이 쓰고 1년 이하의 여성 수형자들은 이곳에 수감되며 남성 수형자들은 이곳으로 보내지지 않는다. 그리고 경비교도대 존속시절 타 교도소와 달리 부대가 설치되지 않았다.[3]

또한 이곳에선 아기를 가진 여성 재소자들이 교도소 내에서 육아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4] 아기가 출생하자마자 1년 6개월 동안은 교도소 내에서 엄마 재소자와 같이 지내는 것이 가능하며, 그 이후엔 밖에 있는 가족(혹은 친인척)들에게 보내진다. 가족들이 아기를 거부할 경우 보육 시설로 보내진다. 단 아기가 1년 6개월이 지난 상태인데 엄마도 출소일이 최대 1개월가량 정도 남은 경우, 교정직 공무원을 통한 청원을 통해서 아기가 최대 1개월가량을 더 지내고 엄마와 함께 같은 날짜에 출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역대 소장[편집]


  • 민경화 (1989~1990)
  • 윤덕근 (1990~1993)
  • 이갑준 (1993~1994)
  • 이천영 (1994~1995)
  • 최상하 (1995~1996)
  • 강봉학 (1997~1998)
  • 이종대 (1998~1999)
  • 김한철 (1999~2001)
  • 강보원 (2002)
  • 이재명 (2002~2003)
  • 이기복 (2003~2005)
  • 송영삼 (2005)
  • 황순일 (2005~2006)
  • 정유철 (2006~2007)
  • 박성식 (2007)
  • 김혁년 (2007~2008)
  • 김응분 직무대리 (2008)
  • 남광재 (2008)
  • 최효숙[5] (2008~2009)
  • 이경영 (2009~2011)
  • 송인섭 (2011~2012)
  • 최제영 (2012~2013)
  • 신경우 (2013~2014)
  • 권민석 (2014~2015)
  • 이언담 (2015)
  • 이우용 (2015~2016)
  • 박태원 (2016~2017)
  • 주점숙 (2017~2019)
  • 홍순철 (2019~2020)
  • 윤순풍 (2020~2021)
  • 서수원 (2021~2022)
  • 강기천 (2022~2023)
  • 이규성 (2023~)


3. 수용자[편집]


5년 이상의 형을 선고받은 피고인이 여성일 경우 대부분은 청주여자교도소에 수감된다. 물론 단기수도 없지는 않다.

4. 여담[편집]


한국에서는 악명높은 여자 교도소로 유명하다. 물론 교도소 자체에 무슨 문제가 있어서 악명이 높다는 뜻은 아니고, 전국적으로 알려진 여성 흉악범들이 이곳에 다 모여있기 때문에 악명이 높다고 봐야 한다. 징역 1년 이하가 선고되는 웬만한 잡범들은 청주여자교도소로 올 일이 없기 때문이다.[7]반대로 일반 교도소 혹은 구치소 기결수 사동에 수감되는 사람들은 사형수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죄질이 그리 나쁘지 않다. 중범죄 여성 죄수가 지내는 해당 교도소 특성상 나쁜 범죄를 배워서 나올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악명이 높은 곳이라 했을 것이다.

나 제법 젠틀해요 드립 원본에서 언급하는 교도소는 이곳을 말한다. 다만 오타로 인해 원본에서는 '청추여자교도소'라고 쓰여있다.

방 내에 싱크대가 설치되어 있고 1인당 보장되는 공간도 다른 교도소보다는 크다. 청주여자교도소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가 있으니 찾아볼 것. 인터뷰 자세가 제각각인 것으로 보아 다른 곳에서 기본인 정좌 자세가 지켜지지 않는 듯 하다.


5. 대중매체에서[편집]


유일한 여성전용교도소라는 점 때문에 영화나 드라마에서 자주 등장하는 편.

  • 하모니
  • Sense8 - 시즌1 후반~시즌2 초반 주인공 박선이 횡령을 저지른 동생 대신 누명을 쓰고 복역하다가 탈옥한다.
  • 다큐멘터리 3일 - 다큐멘터리 3일에 방영된 적이 있다. 2008년 경으로 추정되는데, 모자이크를 한 수감자들의 인터뷰 중에 징역 15년을 받은 여성[8]이 "사회에 나가면 뭘 하고 싶냐"는 질문에 "연애하고 싶다"고 웃으면서 말했다. 무섭네 그 짤은 인터넷에 꽤 유명해졌다고.
  • 친절한 금자씨 - 주인공 이금자가 여자교도소에서 13년을 복역한다. 극중에서는 '경주여자교도소'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 노란복수초[9] - 주인공 설연화가 누명을 쓰고 5년[10]을 복역한 뒤 모범수로 출소한다. 설연화가 옥중 출산을 하고 1년 6개월간 교도소 내에서 육아가 가능한 수칙을 극중에서 반영하였다.
  • 나인룸
  • 전설의 마녀 주인공 4인방이 이 교도소 출신이라는 설정이 붙는다.
  • 펜트하우스 시리즈 - 천서진


6. 관련 문헌[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교정본부 문서의 r19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교정본부 문서의 r19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07 23:03:04에 나무위키 청주여자교도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2:40:53에 나무위키 청주여자교도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러나, 화성여자교도소가 신축 예정됨에 따라 이 타이틀은 곧 깨질 것이다. 그리고, 경북 청송군, 강원 태백시에서 여성교도소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2] 현재는 그 자리에 청주외국인보호소가 들어섰다.[3] 단 청주교도소 경비교도대에서 외정문, 정문에 한해 지원근무를 나갔다.[4] 원칙적으로는 모든 교정시설에서 가능은 하다(형집행법 53조 참조).[5] 국내 최초 여성 교정기관장.[6] 2018년 12월 SBS 보도로 구속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니 2022년중 출소했을 것이다.[7] 형집행법상 형 확정 시점 형기가 6개월 이하로 남은 경우 그냥 구치소에서 형을 다 살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항소심, 상고심을 거치며 구속기간으로 형을 다 채우는 경우도 있다.[8] 여성의 당시 나이나 징역 15년형임을 추정하여 화순 서라아파트 모녀 살인 사건 범인 4인방 중 하나로 추정된다는 얘기가 많았다.[9] 실제 촬영은 익산 교도소 세트장에서 했으나 극중에는 청주여자교도소로 언급된다.[10] 원래는 3년형이었으나 탈옥(...)을 하다가 붙잡히는 바람에 형이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