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국지연의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최우(삼국지) 문서
최우(삼국지)번 문단을
최우(삼국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무신정권

[ 펼치기 · 접기 ]
연립정권
제1대
제2대
이고 · 이의방 · 정중부
이의방
정중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경대승
이의민
최충헌
최우
최항
제8대
문신
제9대
제10대
제11대
최의
류경
김준
임연
임유무

기타
  조원정 · 두경승 · 안경공
고려 국왕



최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hite 제6대 무신 집권자 / 제2대 최씨 집권자'''
崔瑀 | 최우}}}
시호
광렬공(匡烈公)
작위
진양후(晉陽侯)
진양공(晉陽公)
이름
최우(崔瑀) → 최이(崔怡)
본관
우봉 최씨
배우자
변한국대부인(卞韓國大夫人) 정씨(鄭氏)[1]
정안택주(靜安宅主) 서련방(瑞蓮房)[2]
부인 대씨(大氏)[3]
부인 사씨(史氏)[4]
아들
최항(만전), 만종
아버지
최충헌
동생
최향
생몰연도
1166년~1249년 11월 5일 (향년 83세)
1. 개요
2. 생애
2.1. 정권 계승
2.2. 몽골 침입과 강화 천도
2.3. 말년
2.4. 사후
3. 평가
4. 기타
5. 대중매체에서
6. 같이보기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오늘 같은 날이 다시 있겠는가!"

復有如今日者乎!

임금을 위해 큰 잔치를 열고 만족하며 외친 말. [5]


고려무신으로, 무신정권의 제6대 집권자. 이름은 '우'(瑀)로 후에 '이'(怡)로 개명했으며 무신정권 100년의 역사를 통틀어 집권자들 중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집권했다.


2. 생애[편집]



2.1. 정권 계승[편집]


무신 정권 기구
정치 기구
사병 기구
친위 겸 정규군 기구
연립 ~ 최충헌
최충헌
최우 ~ 임연
경대승 ~ 임연
최우 ~ 임유무
중방(重房)
교정도감(敎定都監)
교정도감 & 정방(政房) & 서방(書房)
도방(都房)
삼별초(三別抄)



1219년 아버지 최충헌이 사망하자 뒤를 이어 정권을 장악하고 최씨 정권의 2대 집권자가 되었다.[6] 아버지가 축재한 금은보화를 고종에게 바치고 부당하게 탈취했던 공사의 밭을 주인들에게 돌려주었으며 가난한 선비를 등용했다. 친동생 최향과 지윤심, 최준문, 류송절, 김덕명 등 최향의 측근들, 아버지에게 아첨하며 백성을 괴롭힌 관리를 유배 및 파면시켰다. 1221년 진양후에 봉해졌지만 이를 사양했으며 몽골의 사신 저가(這可) 등이 오자 돌려보낸 후 남쪽 지방 주군의 정용군, 보승군 등에서 군사를 징발하여 의주, 화주, 철관 등에 성을 쌓아 몽골군의 침공에 대비하도록 지시했다.

1222년 참지정사, 이병부상서, 판어사대사가 되어 집권자로서의 위치를 굳건히 했다.

1223년 황라성을 수축하면서 성 밖으로 겹쳐서 쌓은 개경 나성의 도랑을 수리하기 위해 자신들의 군사를 동원했고, 13층 탑과 화병을 만들어 흥왕사에 두는 등 각종 비용을 지출했다. 상장군 최유공, 추밀부사 오수기, 장군 김계봉, 낭장 고수겸 등이 문신들을 모두 학살하기 위해 모의하자 오수기를 백령진장으로 강등시켰다가 사람을 보내어 살해했다.

또한 최유공을 거제현령, 김계봉을 명주부사로 삼았으며 고수겸을 해도로 유배보냈다. 1224년에 최유공이 김계봉, 대장군 이극인과 함께 자신을 죽이려고 하자 최유공, 이극인, 김계봉, 산원, 박희도, 이공윤 등을 죽였다. 또한 그 일당 50여 인을 섬으로 귀양보냈으며 추밀부사 김중구, 상장군 함연수, 상장군 이무공, 대장군 박문비가 관련되었음을 알아내면서 이들도 먼 섬으로 귀양보냈다.

1225년에 자택에 도방을 설치하여 '정방'(政房)으로 불렸다. 정방으로 인사권을 장악하고, 문사 등을 뽑아 소속시키면서 이를 '필자적'(비칙치)이라 했는데 고종은 허락만 할 정도로 권세가 막강했고, 노비의 아들인 안석정을 어사증승으로 삼았다. 또한 전 유마장교를 어전을 호위하는 자로 임명했으며 경상도 안찰사인 권응경이 왜인의 형상을 그린 그림을 바쳤다.

1226년 종기를 앓아서 2품관 양부부터 7품관 연리에 이르기까지 기도하여 제사를 설치할 정도였다. 임정의 처가 독을 빨아내는 고약을 발라서 효험이 있자 고종이 임정을 공부낭중으로 제수하여 위로받았다고 하며 이 때 '광벽익대공신'호가 되었다.

1227년 '서방'(書房)을 설치하여 문객 중 유명한 선비나 유학자들을 포섭하고, 도방을 확대하여 사병을 증강시켰다. 이 때 삼계현 사람인 최산보(주연지)가 소를 도둑질하여 현관이 이를 잡으려고 했지만 개경에서 점술로 사람들을 미혹하는 것을 보고, 최우가 최산보를 칭찬하면서 신임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최산보를 함부로 건들 수 없었으며 앞다투어 뇌물을 주었다.

그러나 최산보가 '고종은 왕을 잃을 상'이라고 말하자 비밀리에 장군 김희제에게 이 얘기를 하여 김희제가 이 얘기를 한 적이 있냐고 묻는 식으로 최산보에게 얘기하도록 한다. 어느날 최우는 최산보가 상장군 노지정, 대장군 금휘, 대장군 김희제와 함께 폐주 희종(제21대)을 복위시키고 자신을 죽일 것이라는 것을 듣는다.

최산보를 남해, 노지정과 금휘 등을 여러 곳에 유배시켰으며 최산보의 가산을 몰수하다가 희종이 최산보에게 준 글을 얻었다. 장군 조시저를 보내서 희종을 강화도에서 교동도로 옮겼고, 최산보를 바다에 빠뜨려 죽였으며, 그 일족을 몰살시켰다. 또한 최산보의 제자 도일을 붙잡아 자백시킨 후 노지정, 금휘, 중랑장 아윤위(牙允偉), 별장 신작정, 김희제와 아들 3명 등을 바다에 빠뜨려 죽이고, 그들의 처자와 형제들을 먼 곳으로 나누어 유배보냈다.

자연도에서 유배된 문대순이 근읍의 군사를 일으켜 반란을 일으킨다는 소식을 듣고, 낭장 이괴를 보내 문대순 등 5인을 잡아죽였다. 그리고 남경 사람으로 도적인 인걸이 개성으로 들어가자 기병 10여명을 보내어 잡아 죽였다.

1228년에는 '오대진국공신'이 되었으며 서도에서 모반하는 자가 있다는 것을 듣고 병마사를 보냈지만 찾지 못하여 이를 알린 자를 압송했는데 이 때문에 북쪽 사람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이를 알린 자에게 각종 물품을 주면서 제위의 산원에 임명하여 교위방에 소속시켰다. 또한 급제 박인이 일본에 화친을 하자 각종 물품을 주어 포상했다.

자혜원을 지으려고 하는 중이 강음현에서 나무를 베려다가 감무 박봉시가 이를 금지하면서 몰수하자 대장군 대집성을 통해 부탁하여 편지를 보내 청하였다. 이를 듣고 교정소를 통해 다른 곳으로 알렸지만 박봉시가 이를 따르지 않자 대집성의 부탁으로 박봉시를 먼 곳으로 귀양보냈다.

임피현령인 전승우가 상장군 김현보의 논밭에 있는 조를 모두 거두어 밭을 백성에게 주었고, 김현보가 안찰사 최종유에게 다시 그 조를 징수하려고 했지만 전승우가 법사를 통해 이 둘을 탄핵하자 그 편지를 빼앗고 이를 그만두게 하였다. 그리고 국학박사 김정립, 국학박사 백양필 등이 학록 염수장, 직학 경유 등이 시정을 비방한다고 하자 이들을 가구옥에 가뒀다가 염수장을 신초도, 경유를 거제도에 유배보냈다.

1229년에는 이웃집 100여 채를 빼앗은 다음 헐어서 격구장을 만들고[7] 56일 동안 잔치를 벌였으며, 격구를 장려하여 이를 열었는데 격구에 능한 자들에게는 상을 주면서 격구장에 있는 다락 3간을 증축[8]했다. 그리고 곡식이 크게 가물었다고 하여 5도에 사자를 보내어 손실을 검사하게 했다.

1231년 나라에서 고종의 어련(임금의 가마)을 끌고 다닐 도구를 구하기 위해 남송의 상인에게 물소 뿔을 사오게 했지만 그 때 남송에서는 고려에서 물소 뿔로 활을 만든다는 것을 알고 이를 금지했다. 하지만 남송 상인이 최우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기 위해 산 채로 물소를 바치자 남송 상인에게 인삼과 포를 주면서 사사로이 어련을 만들어 고종에게 바쳤다.


2.2. 몽골 침입과 강화 천도[편집]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여몽전쟁/무신정권 비판


1231년은 기나긴 여몽전쟁이 시작되는 해였다. 몽골의 제2대 오고타이 칸은 사신 저고여(착고여)가 국경, 즉 고려의 압록강변에서 피살당한 저고여 피살 사건을 빌미로 삼아 권황제 잘라이르 살리타이로 하여금 고려를 침공하도록 했고(제1차 침입), 개경이 포위당하자 위협을 느낀 최우는 재추회의를 열어 강화도 천도를 논의했다. 이에 조정 신하의 대부분이 반대하자 본보기로 자신의 사병인 삼별초중 야별초의 지유인 김세충을 죽이고 수도를 강화도로 천도했다. 수도를 강화도로 천도한 것 때문에 분노한 몽골에서는 1232년에 살리타이가 이끄는 몽골군을 파견하여 홍복원을 대동해서 제2차 침입을 개시했으며, 살리타이가 용인에서 벌어진 처인성 전투에서 김윤후가 이끄는 의병에게 사살당한 것을 계기로 강화를 체결하게 된다.

강화가 이루어지자 최우는 성을 쌓아 몽골군에 대비했고 그 공으로 진양후로 책봉되자 대대적으로 개인 사저를 건축하기 시작했으며, 서북면의 여러 성에 머물러 있는 다루가치들을 제거하려고 했으나 실패했다. 내시 윤복창이 북계에 있는 다루가치들의 무장을 해제하려다가 다루가치에게 선주에서 사살당했던 것이 그것이다. 강화도로 천도하면서 또다시 다루가치 제거를 계획했지만 몽골군이 보복할까 두려웠던 백성들의 반발을 사게 된다.[9]

수도를 강화도로 천도하게 되자 개경과 충주, 경주 등에서 민란이 일어나게 되었고 처음에는 회유책을 사용했다. 그러나 회유책을 사용한 충주에서 또다시 민란이 일어나자 군사들을 보내어 강경 진압을 단행했다.

짐(朕)이 보니 옛부터 이성(異姓)으로 후(侯)가 된 자는 종실의 예(宗室之例)[10]

로 봉해진 것이 아니다. 반드시 운명을 타고나 세상에 걸출함을 보이고 공을 쌓고 덕망이 높아야 책봉되었다. 그렇기에 세상엔 그들이 적은 것이다.

나라가 있고난 후, 공을 쌓고 덕망이 높은 자가 경(卿)말고 몇 명이나 있는가? 그러니 짐이 경에게 모토(茅土)[11]

를 분봉해주고 싶어 소봉의 명(疏封之命)을 내렸으나 경이 겸양하여 명령을 돌려 보냈도다.

일국의 모두에게 내가 책봉을 하지 않으려 하는게 아니라 경이 거부했다는 것을 알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는 짐의 뜻을 알려 백성을 안정시킬 수 없으니 모두의 마음을 착잡하게 만드는 것이다.

경은 심지어 여일인(予一人)[12]

을 옹립해 정책을 정하고 보좌의 책임을 다하니 짐이 절대 잊을 수 없는 공로이다.

짐승의 풍습을 가진 자들이 찾아왔을 때 적을 알고 제도를 바꾸니 지기가 마치 신(神)과 같도다. 민(民)을 통솔해 천도[13]

하여 사직을 완전히 보존하여 반역이 일어나도 조강(朝綱)[14]을 부활시키니 이는 삼한의 공로(三韓之功)다.

천하가 모두 미워하는 자는 달단통군(達旦統軍) 살리타이(撒里打)이다. 경의 기묘한 계산으로 화살 한 발로 죽여버리니[15]

만국(萬國)이 다같이 기뻐했도다. 아(噫)! 짐에게도, 삼한에게도, 천하에게도 이런 기묘하고 위대하고 비범한 공렬은 고금에도 구할 수 없다. 내가 만일 경의 겸양의 뜻을 거부하지 않는다면, 삼한 뿐 아니라 천하가 짐에게 뭐라고 하겠는가?

이미 원대한 이치에 따라 아버지의 작위[16]

를 세습하라 했는데도 겸양하니 착하도다. 스스로 공을 세워 당당히 자신의 힘으로 받는 것이 세상에 없는 덕이로다. 세습하지 않고 자신의 공덕으로 받는다면 전례와 같고 천년의 미담(千載美談)이 될 테니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17]

좋은 때를 놓치면 안되니 중외의 마음(中外之心)을 보낸다. 지금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18]

수태위(守太尉)[19]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20] 공부상서(工部尙書)[21] 최종준(崔宗峻)을 봉책사로,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22]추밀원사(知樞密院事) 병부상서(兵部尙書)[23] 상장군(上將軍)[24] 김숙용(金叔龍)을 봉책부사로 지절과 예의를 갖추어 보내니, 널(爾) 진양후(晉陽侯)로 책봉한다.[25]

경의 덕업을 널리 알리기 위해 아름다운 글을 보내니 가문의 보배에 화려함을 더하라. 관료를 배정해 연꽃과도 같은 부(府)[26]

를 크게 설치해 제후의 집을 연이어 빛나게 해라. 겸하여 별록에 기록하여 보낸 하사품을 받도록 하라.

- 《동국이상국집》 제33권 中. 최우를 진양후로 봉하는 고종의 칙서(勅)이다. 이규보가 칙령을 받들어 썼다.

1234년에 고종이 강화로 천도한 공으로 후에 봉하지만 칙서에 맞을 예물이 준비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거부했으며, 여러 주군에서 다투어 선물을 보내자 진양후에 봉해졌다. 1월에 전국의 장정들을 징발하여 관아 및 공공건물을 건축하여 왕도의 기반 시설을 마련하고 사병인 도방과 국가 상비군 4,000명을 동원하여 자신의 사택을 지었다.

또한 2,000명을 동원하여 고종이 거처할 궁궐을 지으면서 사사로이 얼음을 저장하기 위해 서산에서 백성들을 징발했다. 후작이 된 뒤, 가지게 된 관저는 진양부인데, 자신의 관저가 완성된 이후에도 여러 기화•요초들을 옮겨와 심었으며 운반하는 섬의 주민들까지 강제 동원하여 주민들이 집을 버리고 산으로 도망쳤다. 죽을 때까지 틈틈이 자신의 사저를 조영하여 확장 공사를 했다.

1235년에 교위인 조보수가 고종형인 대장군 송백공이 반란을 일으킨다고 하자 송백공을 붙잡아 강에 던져 죽이고 조보수를 낭장으로 삼았다.

진양이 최우의 식읍이 되었기 때문에 고종이 창별감 왕중선의 벼슬을 박탈하려고 하자 왕중선을 용서해달라고 청했다. 대사성 송국첨, 간의 홍균 등을 보내서 안남의 지세를 살피고 개천을 파서 바다에 통하려고 하다가 불가능하므로 중지했으며, 울릉도에 백성들을 옮겼다.

이때 수도를 강화도로 천도한 것을 몽골이 추궁하자 최우는 이에 대한 답변을 회피했다. 그러자 1235년부터 탕우타이가 이끄는 몽골군이 제3차 침입을 하여 세 차례에 걸쳐 공격했다. 1238년에 영녕공 왕준을 인질로 보내어 화친을 하게 되었으나, 이후에 최우는 전횡을 자행하여 백성들의 원성을 샀다.

몽골군의 침공이 없었던 1243년에는 국자감을 수축하고 쌀 300곡을 양현고에 시주로 바쳤으며, 또한 장학에 힘쓰면서 사재를 털어 《재조대장경》을 완성하게 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몽골군의 침공에 대비하지 않고 성대한 잔치나 연회만 계속 벌였다.

1244년에 낭장 신착을 안찰사로 삼았는데, 정신 이선이 이를 탄핵하자 이선을 연주부사로 강등시켰으며, 대경 임경순의 아들인 임환이 글씨를 잘 쓰자 아들로 삼고, 성을 '최'로 고쳐서 장군에 제수했다. 사사로이 짠 노란 비단으로 강안전 후벽의 장지문을 장식하면서 임환에게 <무일편>을 쓰게 했으며, 고종으로부터 매우 많은 상을 받았다.

2.3. 말년[편집]


1245년 4월 8일연등회를 벌이면서 5월에는 종실과 사공 이상의 관원들에게 대접하는 잔치를 벌여 음악을 담당하는 관아인 팔방상에게 백금을 3근씩 주었으며, 음악 관원들과 중서, 추밀원의 기생, 재주꾼 등에게 금백을 주었다고 한다.

1246년에는 고종과 3품 이상의 관원들을 대접하는 잔치를 벌였으며, 또 일찍이 여러 관원과 여러 장군들을 대접했다가 음악 관원들에게 음악을 하도록 지시했지만 갑자기 하늘에서 천둥과 번개가 치자 이를 중지했다.

1247년 제3대 귀위크 칸의 명령으로 아무칸이 이끄는 몽골군 선발대가 홍복원을 대동하여 제4차 침입을 단행했는데 황해도 연안의 염주란 곳에 주둔하여 강화도에 있는 고려군을 위협하면서 동주, 춘주, 양근, 양주 등을 공격했다. 이에 사신을 파견하여 전면전을 피하고 몽골군을 물러가게 하려고 했는데 고려의 사신이 파견된 이후인 1248년 3월에 몽골에서 귀위크 칸이 병사했기 때문에 몽골군이 철수하게 되었다.

최우는 일찍이 적자가 없었고 폐출된 기생인 창기 출신 서련방(瑞連房)을 통해 얼자(천출)인 만종과 만전을 낳았다. 원래는 사위인 김약선[27]을 자신의 후계자로 낙점해두고는 두 아들이 반란을 일으킬 것을 염려하여 전라도 송광사에 보내 머리를 깎게 하고(삭발 출가) 만종을 단속사, 만전을 쌍봉사에 거주하게 했다. 그러나 두 아들이 무뢰승을 모아 문도로 삼으면서 재물 불리기에만 일삼아 경상도의 쌀을 함부로 징수했으며 그들의 문도들이 함부로 행패를 부리자 보다 못한 형부상서 박훤이 이를 고하였고, 경상도 순문사 송국첨이 이를 글로 올렸다. 이에 최우는 박훤의 조언에 따라 만종, 만전을 소환하여 순문 안찰사를 시키고 그 문도들을 모두 가두도록 하면서 어사 오찬, 행수 주영규 등을 쌍봉사, 단속사에 보내 전곡을 내서 그 주인들에게 모두 돌려주었다. 하지만 만종과 만전은 개경으로 와서 누이인 송서의 처와 함께 아버지인 최우에게 자신들을 핍박하여 죽을 곳을 알지 못한다고 호소하자 이를 후회하면서 박훤이 부자를 이간한다는 죄목으로 흑산도로 귀양을 보내고, 송국첨을 동경 부유수로 강등시켰으며, 만전을 환속시키면서 이름을 '최항'이라 고쳤다. 그런데 김약선의 처인 최우의 딸이 종과 간통을 하다가 탄로날까봐 두려워 아버지 최우에게 무고하였고, 딸의 말을 믿은 최우는 사위 김약선을 제거하고 최항을 후계자로 삼았다.[28] 만종은 그 후에도 계속 중으로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1249년 11월에 병사하여 최우는 강종(제22대)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아들인 최항이 뒤를 이었다.


2.4. 사후[편집]


최우의 무덤은 어딨는지 알 수 없으나 강화도 고려산 일대에 안장되었다고 추측된다. 그가 죽은 지 13년 후인 1262년에 '천도공신'으로 공신당 벽상에 도형되었다고 한다.

1258년(고종 재위 45년)에 해양후 김준최의를 살해하여 최씨 정권을 붕괴시킨 무오정변 이후, 그때까지 유지되고 있었던 작위와 공신 등의 관작은 모두 취소되었다. 그리하여 강종의 배향공신에서도 탈락되었다.


3. 평가[편집]


자기 이름자도 못 쓰는 이들이 수두룩했던 기존의 무신들과 달리 공부를 많이 하여 교양 수준이 높았고, 글을 잘 지며 글씨를 잘 쓰는 덕분에 문신들의 호감을 받았다. 최우 역시 아버지인 최충헌과는 달리 문신들을 우대하는 정책을 펼치는 듯 했으나 결국 이것도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사용했을 뿐이었다. 자택에 서방이라는 기관을 설치하여 사대부들을 본격적으로 등용한 것도 바로 이 때였다.

최우가 새로운 정치적 세력을 등용하기 시작하자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무신 세력들은 최우에게 반감을 나타내었고, 최우는 이를 철저하게 진압하는 한편 정규군을 믿지 못하겠다고 판단하여 단순한 경호대에 불과했던 '별초'를 재편하여 야별초를 창설하는데 야별초의 크기가 비대해지자 좌별초와 우별초로 나누어 재편성하였고, 몽골과의 전쟁에서 포로가 된 자들 중 탈출한 자들을 모아 신의군을 창설하여 이에 편입시킨 것이 삼별초였다. 그러나 최씨 가문의 경호대 수준이었던 야별초가 최우에게 총애를 받으면서 삼별초로 변해 정예화되자 고려 정규군은 심각한 질적 저하를 맞게 되었다. 특히 몽골과의 전쟁에서 극심한 혼란을 가져왔는데 최씨 정권 친위대의 성격을 띠고 있었던 삼별초와 고려 정규군의 명령 체계는 다를 수밖에 없었고, 정규군의 명령을 삼별초가 따르지 않든가, 삼별초의 명령을 정규군이 따르지 않는 등의 내부 분열이 끊임없이 일어났다. 덕분에 여몽전쟁 시기의 고려군은 이전의 여요전쟁여진정벌에서 보였던 야전에서 대규모로 격돌하는 등의 전투는 커녕 제대로 반격조차 못하고, 임기응변으로 대응하다 몽골군한테 각개격파당했다. 당시 고려군이 문벌귀족들이 설친 덕분에 전투력이 막장이 되어있었다고는 하나 최충헌 생전에 김취려의 지휘로 고려로 침입한 거란의 잔당을 야전에서 격파하는 등 고려군은 전투에 있어서만큼은 프로들이었다.[29] 몽골과의 전쟁이 격렬해졌으나 고려 정규군이 사실상 붕괴해버렸고, 이후 삼별초 이외에는 몽골군과 싸울 수 있는 군대가 거의 없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임유무의 죽음으로 무신정권이 끝나자(경오정변) 삼별초가 숙청을 두려워해 봉기를 일으킨 것도, 몽골과 연합했다고는 하나 고려 진압군이 그렇게 삼별초를 몰아댔던 이유도 바로 이것 때문이었다. 재미있는 것은 삼별초가 정작 최씨 정권기에는 오로지 강화도에만 짱박혀 있었다는 것이다. 최씨 정권을 유지하는 실질적인 무력 집단이었기에 강화도 수비에만 투입했으며, 정작 삼별초 장교들이 "우리도 나가 싸우겠다!"라고 외치자 겨우 수십~수백 단위의 소부대만 보내 유격전을 치루는가 하면 그나마도 몽골의 공세가 계속되어 강화도의 보급로가 위협받자 조금씩 내보낸 것에 불과했다. 훗날 최씨 정권이 무너지자 그때서야 삼별초가 육지로 나가 교전을 벌였는데 이 때쯤 되면 수천 명 단위의 야전을 벌이기도 했다.

개경을 버리고 강화도로 천도한 것이 결정타였는데 도성이 위급해서 피난한 것까지는 좋았으나 강화도에서 자신의 저택을 조성하여 이름을 '진양부'라고 지어 자신만의 정부 기관을 만들어 버리는 등 장기적으로 생활을 하려고 했다. 게다가 몽골의 계속된 사대 요구와 출륙을 끝까지 거부했는데 당연히 이는 몽골을 빡치게 만들어 침공의 명분을 제대로 주었다. 몽골군은 고려 본토를 개발살내며 미쳐 날뛰었고, 본토의 정규군들과 민병들은 필사적으로 저항했으나 조정과의 연계가 제대로 되지 않고 보급도 못 받다보니 몽골군에게 처참하게 패배하면서 붕괴되어 갔다. 특히 고려 전체가 박살이 나버린 몽골군의 제3차 침공 이후에는 자포자기했는지 나라가 작살이 난 상황에서도 파렴치하게 연회를 벌이는 등 전쟁을 끝낼 별다른 비전도 없었으며, 그 와중에도 본인의 권력 유지를 위해 신변 호위만 강화하고 안주하는 등 왕의 천도마저도 본인의 권력 강화를 위해 사용했던 것이다. 특히 몽골의 사대 요구를 받아들이고 항쟁을 포기하자는 의견은 탄압하고 막았는데 한마디로 나라백성이 망하든지 말든지 본인과 우봉 최씨 가문만 무사하면 된다는 식이었다. 이러니 대몽 항쟁에 지친 민중과 지배층들한테 최우는 철저하게 증오를 받았으며, 고종 역시 전쟁에 염증이 나 몽골의 요구를 받아들여 전쟁을 끝내려 했지만 최우의 반대와 협박으로 번번이 실패하는 바람에 최우를 증오했으나 힘이 없다보니 울화만 삭혀야 했다. 최우는 비전없이 강화도에 처박혀 버리고 많은 사람들에게 증오를 받아 권력 기반도 불안하여 상황이 암울하게 느껴졌는지 틈만 나면 사찰에 시주하거나 대장경을 만드는 일을 했는데 《팔만대장경》 같은 경우는 몽골의 침입으로 《초조대장경》이 불타버린 상황에서 고려 백성들의 모랄빵을 막기 위한 측면이 있기도 했다. 그러나 거란의 침입을 이기는데 기여했다고 굳게 믿던 《초조대장경》이 몽골의 침입에 법력을 발휘하기는커녕 허무하게 불타는 것을 본 불교를 믿던 당시의 고려 민중 및 지배층의 심리적 쇼크는 상당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이전의 무신정권 집정자들과 마찬가지로 나라의 안정을 생각하는 대신 여몽전쟁이라는 희대의 국난 속에서도 자신의 권력 유지만을 생각하던 간신배였으며, 말년에는 아들인 최항에게 권력을 물려주어 대를 잇게 하여 결국에는 최충헌의 전철을 밟았던 인물이었다.


4. 기타[편집]


  • 아버지가 '은문상국'(恩門相國)이었던 것처럼 본인은 '청하상국'(淸河相國)이라는 상국명으로 불렸다.

  • 생전에 진주의 공작 최충헌의 아들이자 후계자로서 진주의 후작으로 봉해졌다.[30] 사후에는 아버지부터 아들까지 3부자가 모두 시호를 받았다. 아버지 최충헌은 '경성'(景成), 최우 본인은 '광렬'(匡烈), 아들 최항은 '광정'(光正)이었다. 최이(최우)는 아버지도 못한 배향공신이 되는 명예까지 차지했으며, 강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지만 최씨 정권의 몰락으로 인해 그의 존재도 흑역사로 처리되어 태묘에서 신위가 빠졌다.

  • 글을 매우 잘 썼다고 하는데 이규보[31]의 《동국이상국집》에 따르면 신라김생, 고려의 유신, 탄연과 함께 신품 4현(神品四賢)으로 꼽혔다고 한다.

  • 집권 초기의 최우는 선불교에 매료되어, 수선사의 혜심을 몸소 찾아가거나 그와 편지를 교환하면서 간화선을 지도받았다. 강화 천도 이후인 1234년 혜심의 입적 이후로 최우는 더욱 타락했으며, 제조대장경을 완성하는 등의 물질적인 불사는 했지만 초발심은 잃어갔던 것으로 보인다.

  • 일제강점기 중기에 도굴꾼 야마모토에게 최이의 무덤도굴되었다고 한다. 도굴된 고려청자는 수집가 스즈키 다케오에게 당시 기와집 1채 값이던 돈 1,000원[32]에 팔렸다. 이후 대구의 치과의사 신창재에게 4,000원에 팔렸고 자금 압박을 받은 신창재는 서울의 골동품상 마에다 사이이치로를 찾아가서 6,000원에 팔았다. 감탄을 연발하며 바라보던 마에다 사이이치로는 실제 도자기에 새겨진 학은 69마리였지만 이것을 빙빙 돌리면 1,000마리의 학이 나는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천학매병'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마에다 사이이치로가 엄청난 유물을 가졌다는 소문을 들은 조선총독부는 마에다 사이이치로에게 10,000원을 주겠으니 팔라고 했는데 거절한 마에다 사이이치로는 후환이 두려워 얼른 팔아치우기 위해 수집가들에게 연판을 돌렸다. 이 소식을 들은 1935년 봄 간송 전형필은 당시 기와집 20채 값이던 20,000원에 사들인다고 했으나 마에다 사이이치로는 이를 비웃었다. 하지만 전형필은 한 푼도 깎지 않고 이것을 사들였고, 오사카에 있던 대소장가 무라카미가 이 소문을 듣고 현해탄을 건너 찾아왔다. 나이가 50세가 넘은 일본인 무라카미는 30세의 조선인 전형필에게 정중하게 예의를 갖추며 구입한 가격의 2배를 줄테니 팔라고 청했다. 이에 전형필은 이것보다 더 좋은 청자를 준다면 시세대로 주고, 동시에 20,000원에 그대로 팔겠다고 하니 무라카미는 이것보다 좋은 청자는 찾을 수가 없다며 웃으며 포기하고 돌아갔다고 한다. 이것이 오늘날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국보 제68호인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이다.[33]


5. 대중매체에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최우(무인시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2년작 MBC 드라마 <무신>에서는 배우 정보석[34]이 연기했다. 사극 역사상 최우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건 <무신>이 처음인데 <무인시대>의 경우에는 포커스 자체가 최우가 아닌 최충헌인 탓에 비중은 없는 역할이었으나 <무신>의 경우에는 중반까지 극 흐름을 좌우하는 비중이며 어떤 의미에서는 <무신>의 또다른 주인공이다. <무신>에서는 정치력이 뛰어난 인물로 묘사되는데 정보석 특유의 샤프한 인상과 합쳐서 매우 매력적인 인물로 그려졌으며 사리 분별력이 있고 지혜가 있으며 능력있는 인물들을 발탁하여 쓰는 용인술도 보여준다. 물론 권력을 위해서는 인명 살상은 기본에다가 가족도 서슴없이 해치는 냉혹한 모습도 내보이는데 후계자가 될 재목이 못 된다고 판단하자 사위 김약선을 가차없이 죽이고 심지어 자신의 조차도 결국 사약을 내려서 죽인다.[35] 죽기 직전에 최항의 집권에 방해가 될 것임을 예상하고 신진 무장 세력들이나 이에 동조하는 조정 중신들을 모조리 살해하고 심지어 자기 자식이기도 한 최항의 형인 만종을 살해하라는 명을 내릴 정도로 잔혹한 모습도 보인다.[36][37] 패기 넘치게 덤볐으나 일방적으로 패배당하면서 자신에게 처음으로 쓴 맛을 보게 한 제1차 여몽전쟁 이후 몽골과의 전쟁을 총지휘하면서 강화도 천도라는 극약 처방까지 쓰면서까지 저항했으나 결국 몽골의 벽을 넘지 못하여 임종 직전 최항에게 몽골을 이겨내라고 자신의 의지를 이을 것을 당부하기도 하는데 제44회에서 사망하면서 퇴장한다. 최우가 사망하고 최항이 등장하면서 최씨 정권에 암흑기가 도래한다는 설명이 나오는데 최우를 미화한 것으로서 최충헌 일가를 포함한 무신정권 전체가 흑역사. <무신>에서 계속 지적되는 사항인 최씨 정권의 미화 문제와 최우 자신이 여몽전쟁에 대처하는 자세[38], 몽골과의 전쟁 준비가 엉망이라고 한탄하는 장면[39], 백성을 위한다는 모습[40]을 보면 문제가 많다. 중후반부로 넘어가면서 이런 부분이 수정된 듯한 모습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그래도 아쉬운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6. 같이보기[편집]




7. 둘러보기[편집]



고려사(高麗史)

[ 세가(世家) ]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성종 · 목종
현종 · 덕종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문종 · 순종
선종 · 헌종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숙종 · 예종
인종 · 의종 · 명종
신종 · 희종 · 강종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고종
원종
충렬왕
33·34·35권
36권
37권
충선왕 ·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 충정왕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 ※ [ 열전 ]
45·46권
공민왕
우왕 · 창왕
공양왕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표(表) ]
86·87권 「연표(年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열전(列傳) - 후비·종실·공주 ]
88·89권 「후비(后妃)」
90·91권 「종실(宗室)」 · 「공주(公主)」
태조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성무부인 소생 공주)
혜종
정종
광종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
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
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
경춘원군 · (문성왕후 소생 공주)
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경종
성종
목종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
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
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
원정왕후 · 원화왕후
-
현종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덕종
정종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문종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순종
선종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숙종
예종
명의태후 유씨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승덕공주 · 흥경공주
인종
의종
명종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
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
광정태후 김씨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
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
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신종
희종
선정태후 김씨
성평왕후 임씨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
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강종
고종
원종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
안혜태후 유씨
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수령궁주
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
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
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
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
세자 왕감 · 덕흥군
용산원자
충혜왕
공민왕
공양왕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
휘의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
순비 노씨
석기 · 장녕공주
-
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열전 - 제신(諸臣) ]
92권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93권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94권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95권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96권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97권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98권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99권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100권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101권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102권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103권
104권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
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105권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106권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107권
108권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
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109권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110권
111권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
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112권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113권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114권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115권
116권
117권
이색 · 우현보 · 이숭인
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
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118권
119권
120권
조준
정도전
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121권
「양리(良吏)」
「충의(忠義)」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효우(孝友)」
「열녀(烈女)」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122권
「방기(方技)」
「환자(宦者)」
「혹리(酷吏)」
김위제 · 이녕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
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
송길유 · 심우경
123권 「폐행(嬖幸)」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124권 「폐행(嬖幸)」
윤수 윤길보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125권 「간신(姦臣)」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126권 「간신(姦臣)」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127권 「반역(叛逆)」
128권 「반역(叛逆)」
129권 「반역(叛逆)」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정지상)
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
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130권 「반역(叛逆)」
131권 「반역(叛逆)」
한순 다지 · 홍복원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
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132권 「반역(叛逆)」
신돈
133·134·135·136·137권
신우(우왕) (신창(창왕))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2:19:31에 나무위키 최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숙첨의 딸. 시호는 경혜(敬惠). 사망했을 때 제17대 인종의 모후 문경태후 이씨의 제사 의례를 따라 제사지냈다고 한다.[2] 창기 출신의 첩. 《고려사》에 따르면 최항의 친모.[3] 대집성의 딸로 최우와는 재혼했다.[4] 최항은 자신이 첩의 자식이라는게 부끄러웠는지 본인 묘지명에 자신의 어머니는 양정공 사홍기의 딸이라고 적었다.[5] 당시 고려몽골의 침입으로 생지옥이었다.고려사》 <최이 열전> 중 발췌. [6] 권력 계승 때문에 아버지 최충헌의 문병조차 하지 않은건 부자간의 사이가 나빠서가 아닌 냉혹한 최충헌이 직접 그렇게 하라고 가르쳤기 때문. 최충헌이 몸져 누워 오늘내일 하는 상황이라면 당연히 반란의 불씨가 싹틀 것이고 최충헌의 문병을 올 때가 최우가 가장 위험할 것이기 때문. 최준문, 지윤심, 유송절 등이 최우가 문병오는 틈을 타 죽이려다 실패하는 등 최충헌의 우려가 맞아떨어지게 된다.[7] 참고로 최우의 집 주변에 살았다면 어지간한 집이지, 일반 백성이 사는 초가집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런 집 100여 채를 헐어버리고 격구장을 지은 것이다. 당시 최우가 만든 격구장의 크기가 얼마다 거대했냐면 승려 30,000명이 동시에 입장해 앉아서 밥을 먹으며 격구를 구경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을 정도다. 고려판 콜로세움.[8] 이때 최우가 반농담식으로 다락을 3칸 더 증축하라고 지시했는데 이때가 오밤중 술자리였다. 그런데 정작 증축공사는 다음날 아침에 끝났다. 한마디로 그날 밤을 새워 미친 듯이 공사를 벌인 것이다.[9] 특히 최우 자신의 개인 재산을 옮기려고 수레 100대를 강제로 빼앗아서 백성들이 분노하게 되었고, 또 서경에서는 민희와 최자온이 다루가치들을 제거하려 했으나 서경 백성들이 반란을 일으켜 최자온을 가두었고, 최임수 일행은 저도로 도주했다.(《고려사》에서는 암살 계획만 나왔으나, 《동사강목》에서는 모살하다가 백성들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기록이 나왔다. 또 《원사》에서는 72인의 다루가치가 모두 죽임을 당했다고 나와 있다. 이를 통해 드라마 <무신>에서처럼 다루가치들 전체가 죽지는 않았지만 다루가치들의 대부분이 주살당했음을 알 수 있다.)[10] 천자의 가족으로써 제후에 봉해지는 것을 의미한다.[11] 봉국, 봉지를 달리 부르는 말.[12] 서주 문왕 희창의 자칭으로 짐(朕)과 같이 천자만이 사용할 수 있는 자칭이다.[13] 강도(江都)로 천도한 것을 이른다.[14] 조정의 기강, 나라의 기강.[15] 최우가 죽인 것이 아니다. 최우의 기분에 맞춰주기 위해 한 말이다.[16] 진강공으로 진주(진강)의 공작이다.[17] 고려는 공식적으론 작위와 봉지 세습을 인정하지 않았다. 고종은 최우에게 최충헌의 진강공 작위를 이으라고 했지만 전례가 없는 일이라 최우가 거부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세습이 아닌 자신의 공로로 작위를 받는다고 운운한 것이다.[18] 종 2품 문산계 품계.[19] 수직. 태위는 삼공 중 최고위 직위.[20] 중서문하성의 차관.[21] 상서성 공부의 장관.[22] 정 3품 문산계 품계.[23] 상서성 병부의 장관.[24] 고려 무관직 중 최고위 직위. 정 3품이다. 고려 문관직 중 최고위 직위인 문하시중은 종 1품이니 고려의 무신 차별이 보인다.[25] 고려는 공식적으론 작위와 봉지 세습을 금지했지만 동일한 지역을 다른 지역명으로 봉하는 편법을 써서 작위 세습을 하였다. 진강, 진양은 모두 진주의 다른 명칭이다.[26] 제후에게 설치해주는 관저. 고려는 부명을 제후의 봉지에 따왔기에 최우의 부명은 진양부(晉陽府)이다.[27] 최우의 외손녀인 정순왕후의 아버지가 이 사람이다.[28] 이러면 김약선이 억울한 것 같지만 김약선의 행실도 만만치 않았다(...). 항목 참조. 이후 최우는 무고라는 것을 안 뒤 김약선을 복권시키고 딸과 간통한 종은 죽인 후, 딸은 다시는 보지 않았다고 한다.[29] 특히 명령 체계의 통일성 문제뿐만 아니라 주력이 강화도를 지킨답시고, 본토로 돌아와 조직적인 방어를 하지 못했다는 문제도 있다. 이후 삼별초의 항쟁을 보면 이들의 규모가 상당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런 규모의 병력이 정규군과 따로 놀고 있었는데다 최우의 친위대로서 강화도에 묶여있었다.[30] 최항은 생전에는 우봉군 개국공이었다가 사후에 최충헌과 최이(최우)처럼 진주를 분봉받았다.[31] 이규보 자체가 최충헌, 최우 부자에게 총애를 받은 어용 문인인지라 걸러볼 필요가 있다.[32] 1930년대 중반 금 1돈의 값이 8원~10원이었고 가죽구두가 5원이었다. 금은 현재 1돈에 15만원~20만원, 가죽구두는 10만~20만원 정도이니 당시 1,000원은 현재 2,000만원 정도라 보면 될 것이다.[33] 《두산백과사전》에는 청자진사연화문표형주자도 최이의 무덤에서 출토되었다고 했지만 잘못된 정보이다. 주전자는 아들 최항의 무덤에서 나온 것이다.[34] 2017년작 MBC 드라마 <왕은 사랑한다>에서 최우의 외증손인 충렬왕을 연기했다.[35] 자신의 딸이 김준을 기다리며 사약을 돌려보내자 일말의 주저함도 없이 다시 사약을 보내는데 이 때 최우의 잔혹함에 질린 대씨 부인의 표정이 일품이다.[36] 이 부분에서 배우 정보석의 전작 중 한국 드라마 역사상 최강, 최흉, 최악의 악역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다.[37] 실제 만종은 최의가 죽은 뒤 전 재산을 몰수당한다.[38] 강화도에서 장수들을 선발해 몽골군과의 유격전을 벌이라고 하는데 사실 말이 안되는 전술이다. 강화도에서 뽑아봤자 얼마나 뽑을 것이며 그들 자체가 삼별초 소속이라서 정규군과의 연대는 당연히 힘들다. 고로 죽어 나가는건 고려 백성들밖에 없는 무식한 전술이다.[39] 고려가 그 꼬라지로 작살나는 데는 아버지인 최충헌을 비롯하여 자신의 책임이 매우 크다.[40] '도방이 곧 백성'이라고 하는 부분을 보면 대략 정신이 멍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