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제안

덤프버전 :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문하시중

[ 펼치기 · 접기 ]
고려 초기
(918~981)

광평시중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무신정권
(1170~1270)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원 간섭기
(1270~1356)

김방경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김일봉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대한민국 국무총리




순공공 최제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경주 최씨 가문 출신 배향공신
최승로 가문
문정공 최승로
충의공 최숙
순공공 최제안
기타 가문
광빈공 최량
절의공 최항





고려국 문하시중
최제안

시호
순공공(順恭公)
삼사
태사(太師)
본관
경주 최씨(慶州 崔氏)
이름
제안(濟安)
아들
최계훈(崔繼勳)
아버지
최숙
출생
?
사망
음력
1046년 11월 12일
양력
1046년 12월 12일
1. 개요
2. 생애
3. 일화



1. 개요[편집]


중기 고려왕조의 문관. 경주 최씨 문벌귀족 출신으로 할아버지가 그 유명한 최승로다. 당대 최고의 명문가 중 하나로 할아버지, 아버지, 본인이 다 문하시중을 지내고 배향공신이 되었다.[1]


2. 생애[편집]


현종 11년(1020) 고려에서 거란송나라에 동시에 사신을 보내는데, 최제안은 거란에 가서 천령절(千齡節)을 하례한다. 현종 17년(1026) 태자궁의 관리인 태자우서사에 임명된다. 이 때 태자궁에 함께 임명된 관리가 황주량(당시 태자소첨사)과 최충(당시 태자중윤)인데, 이들도 최제안과 마찬가지로 훗날 배향공신에까지 이른다. 최제안은 현종 21년(1030) 중추사, 덕종 3년(1034)에 형부상서에서 정종이 즉위한 뒤 이부상서, 정종 3년(1037)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중추사를 거쳐 정종 9년(1043)에 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 판상서호부사에 오른다.

정종 12년(1046)부터 국가적 종교행사인 가구경행(街衢經行)을 시작하는데, 당시 문하시중이었던 최제안이 이를 주관한다. 같은 해 8월 문종이 즉위한 뒤 평장사 최충과 함께 선정전에 불려가 정사를 논의했으며, 10월에는 6위의 각 군에 선봉군을 편성할 것을 제안하기도 한다. 11월에 병을 앓았는데, 문종이 직접 병문안을 올 정도였다. 그러나 이틀 뒤 죽으니 문종은 사흘 동안 조회를 멈추고 애도했다. 사후 순공(順恭)의 시호를 받는다. 최제안의 어린 아들은 계훈(繼勳)[2]이란 이름을 받고, 아직 관직에 나아갈 나이가 아니었음에도 이듬해인 정종 13년(1047) 8품 관직을 받는다. 선종 3년(1086)에 문종의 묘정에 배향된다.


3. 일화[편집]


최제안의 열전에 따르면 건국군주 태조 왕건이 직접 작성한 훈요 10조여요전쟁으로 인해 사라졌는데, 이를 먼 친척인 최량의 집에서 다시 찾아낸 자가 바로 최제안이다. 최제안 덕분에 현대의 후손들이 태조의 유훈을 보고 분석할 수 있게 된 것.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2:52:11에 나무위키 최제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삼대가 배향공신이라는 점은 이천 서씨 가문인 서필, 서희, 서눌과 정주 류씨 류소, 류홍, 류인저도 같다.[2] 이름의 뜻은 '명예, 훈작을 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