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소 광학계

덤프버전 :

분류

Reduction Optical System

1. 개요
2. 원리
3. 장점
4. 단점
5. 현재



1. 개요[편집]


카메라에 들어온 빛을 축소해서 센서의 크기에 맞춰 결상시키는 광학계. 쉽게 말하면 돋보기
디지털 카메라의 극초기에는 기술적인 한계로 큰 센서를 만들 수 없어서 35mm 필름에 비해 사이즈가 아주 작았기 때문에, 렌즈의 화각을 손해보거나 축소 광학계를 사용하여 35mm와 비슷한 화각을 맞추어야 했다.


2. 원리[편집]


파일:external/www.mir.com.my/opticalillus.jpg
니콘 E2/E2s (1995)의 축소 광학계.

원래 35mm 필름 등이 위치해야 할 위치에 스크린을 설치하고, 이 스크린에 모인 빛을 다시 모아 센서에 입사시킨다. 예시로 든 니콘 E2/E2s는 2/3" 판형을 사용하는데, 이 센서의 대각선 길이는 35mm 필름의 1/4에 불과하고 면적비도 대략 1/16 정도가 되므로 빛을 4배 모아 주어야만 같은 화각을 얻을 수 있다.


3. 장점[편집]


빛을 모아 주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밝기는 크게 상승한다.돋보기니까 예를 들어 35mm 판형에서 2/3" 판형으로 빛을 모을 경우, 단위면적당 밝기는 4스탑 = 16배 상승하며 이는 같은 노출을 얻기 위해 1/16의 셔터 속도를 가하거나, 혹은 감도를 16배 높일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실제로 니콘 E시리즈는 90년대 중반 당시로써는 초월적인 ISO 800-3200의 감도를 지원했는데, 축소 광학계를 통해 단위면적당 광량이 4배 증폭되었기 때문에 원래는 ISO 50-200에 해당하는 게인 값으로 ISO 800-3200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축소 광학계는 작은 센서에서 35mm 필름의 화각을 유지하면서 감도도 올릴 수 있는 기술이었다.


4. 단점[편집]


이와 같은 축소 광학계는 카메라를 매우 두껍게 만들었으며[1], 렌즈의 광학적인 특성에 따라 사용이 불가능한 렌즈군도 있었다. 또한, 센서 제조 기술이 향상되면서 APS필름과 비슷한 사이즈의 센서까지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자 제조사들은 크고 불편한 축소 광학계 시스템을 버리고 일반적인 형태의 디지털 판형 DSLR로 이행하게 된다.


5. 현재[편집]


일반적인 35mm 필름을 이용하는 SLR과 같은 구조로 만들어지는 현재의 DSLR에 이와 같은 어댑터를 이용하려는 시도 또한 있었다. 사비를 들여 열성적으로 개발하던 분 또한 있었으나, 특허가 걸려 있어서 흐지부지됐다.

한편 미러리스의 등장과 함께 기존 SLR용 마운트의 렌즈를 위한 2~2.5cm 정도의 넉넉한 두께를 가지는 마운트 어댑터들이 각광받게 되었고, DSLR용으로는 개발하기 매우 어려웠던 축소 광학계 어댑터 또한 비교적 쉽게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스피드 부스터'나 '렌즈 터보' 등으로 현재 시판 중인 제품들은 대부분 빛을 1스탑가량 농축하여(이미지 서클의 크기를 0.71배 정도로 줄여서) 1.5~1.6x의 환산 비율을 가지는 미러리스 바디에 사용시 풀프레임 기준으로 1.1배 정도의 배율 - 거의 풀프레임에 근접하는 넓은 시야를 가지며, 광량을 1스탑가량 더 확보하고, 부수적으로 어댑터가 보다 짧아지는 효과까지 가지고 있다. 구형 수동 렌즈를 사용하는 정지 영상 촬영뿐만 아니라 AF 등의 전자식 제어가 덜 필요한 영상 촬영 시에 사용하는 등의 용도로 쓸모가 늘어나고 있다.

[1] 축소 광학계는 필름면부터 배치된다. 즉, 렌즈가 필름면 뒤에 하나 더 달려 있고, 그 뒤에 센서가 위치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6:04:12에 나무위키 축소 광학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