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정부대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해당 부대
4. 악용 및 투입사례



1. 개요[편집]


수도권에서 대(對)정부 전복 시도와 각종 소요사태를 진압하기 위한 작전에 투입되는 부대들이다.


2. 상세[편집]


과거 [5.16군사반란] 이후 수도권에서 수도경비사령부 병력만으로는 진압이 힘든 쿠데타와 4.19 혁명과 같은 대규모 시위가 서울과 같은 수도권 핵심도시에서 발생할 경우를 상정하여 유사시 수도권에 투입되어 작전을 수행하는 임부를 부여받은 부대들이다. 과거 대한민국 육군에 기계화보병사단이 1개뿐일 때는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이 충정부대에 해당되었다.

1979년 12.12 군사반란 당시 장태완 수도경비사령관국방장관, 육참차장, 3군사령관에게 병력 출동을 요청한 부대가 26사단과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이었던 이유가 바로 서울 인근에 주둔한 충정부대이기 때문이다.

작전 목적에 쿠데타군을 제압하는 것도 있어 그만큼 강력한 부대들로 편성이 되었지만, 그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대들이 주 임무에서 차출되어 작전을 수행한다면 그만큼 전력에 공백이 생길 것이다. 당장에 투입되는 3개 기계화보병사단들은 모두 수도권으로 들어오는 주요 길목에 배치되어 북한군의 기갑전력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방사단들이다.


3. 해당 부대[편집]


작전의 목표가 수도 서울을 비롯해 수도권에서의 쿠데타소요사태를 진압하는 것이다 보니 목록에 있는 수도권 인근 4개 사단[1]은 유사시 수도방위사령관배속받아 지휘할 수 있다.



4. 악용 및 투입사례[편집]


이들은 역사상 본 목적인 대(對)정부 전복 저지 임무는 아직까지 제대로 수행해낸 적이 없으며, 주로 군사정권 시기 민주항쟁을 진압하는 임무에 투입되었다.


4.1. 12.12 군사반란[편집]


당시 반란 진압을 맡아야 했던 26사단과 수기사단은 지휘부인 육군본부의 애매한 대응을 비롯해 핵심적으로 군에 출동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대통령과 국방부장관, 육군참모총장의 공백으로 출동준비 상태에서 대기만 하였다. 그와중에 30사단은 중간에 반란군에게 포섭되었고, 특전사의 1, 3, 5 공수여단[2]은 오히려 12.12 반란의 핵심부대로 타격조 임무를 수행하는 치욕적인 역사를 남겼다.


4.2. 5.18 민주화운동[편집]


5.18 당시 신군부는 해당 지역에 주둔하는 31사단과 광주 보병학교, 육군기갑학교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주를 짓밟기 위해 상당한 강도의 충정훈련을 시킨 충정부대[3]들을 투입한다. 결국 이들은 광주의 비극을 낳게 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5:43:46에 나무위키 충정부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부대들이 절대적으로 충정부대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20기계화보병사단은 제2신속대응사단으로 부대가 개편되었고 과거에는 보병사단이었던 부대들이 지금은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 되었기 때문에 작전계획은 목적에 따라 계속해서 바뀔 수 있다.[2] 당시엔 현 국제평화지원단이 5공수여단이었으며 1, 3, 5, 9 공수여단이 충정부대에 해당되었다. 이중 12.12 당시 공식적 군 지휘 계통 체계를 따라 충정부대로 기능한 것은 9공수여단이 유일했다. 나머지는 죄다 군내 사조직 하나회에 넘어갔다.[3] 제20보병사단(당시에는 보병사단이었다.), 제 3, 7, 11 공수특전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