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위생사

덤프버전 :




파일:external/www.dtnews24.com/347653_2013052910340223_0.png

1. 개요
2. 간호사와의 차이
3. 역사
4. 되는 법
5. 치위생(학)과 설치 현황
6. 기타
7. 나무위키에 등재한 치위생사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의료기사 직종의 하나로 치과 진료 협조, 구강보건교육, 치과 예방처치, 치아 홈메우기, 건강보험 청구, 병원 경영 관리, 치석 등 침착물(沈着物) 제거(스케일링)[1], 불소 도포, 임시 충전, 임시 부착물 장착/제거, 치아 본뜨기, 교정용 호선의 장착/제거 치과방사선 사진 촬영 등의 업무를 한다. 줄여서 '치위생사'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정식 명칭은 '치과위생사'다.

이름에 나와 있듯 당연히 주로 치과에서 근무하게 되는데, 치과병원이 전국적으로 많은 편은 아니기 때문에[2] 대부분 치과의원으로의 취업이 많다.

치과에 가서 치료를 받으면 술자인 치과의사의 지시 및 지도에 따라 진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조해주는 분들이 치과위생사라고 보면 된다.


2. 간호사와의 차이[편집]


간혹 병원 관련 종사자를 제외한 일반인 중에는 치과위생사가 치과에서 일하는 간호사[3]인 줄로 아는 사람들이 있는데, 엄연히 다른 분야의 직종으로 치위생(학)과(3년제 or 4년제)를 나와서 ‘치과위생사 면허증’을 취득하며, 당연히 치과위생사 국가고시도 따로 존재한다.
치과의사의 진료 보조 또한 의료법에서 지정한 간호사의 업무 중 하나이기 때문에 실제 치과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도 있으나 외래만 하는 의원급에서 보기는 어렵고 대학병원이나 입원실이 있는 병원 정도 되면 볼 수 있다. 구강악안면외과처럼 응급 관련 분과에서 주로 일하며 수술 전, 중, 후 간호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3. 역사[편집]


한국 최초의 치위생학 교육기관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 세워진 의학기술과 치과위생사 과정으로 세브란스병원의 7대 치과과장이었던 지헌택 교수 주도로 1965년 개설되었다.

이후 1967년 한국 최초 치위생학 졸업생 4인을 배출했고 한국 최초의 치과위생사가 1971년 탄생했다.[4] 이후 1973년 의료기사법이 제정되었다.

전문대학[5]에 2년제 치위생과가 최초로 개설된건 1977년으로 당시 광주서원전문학교(현 광주보건대학교), 대구보건전문학교(현 대구보건대학교), 신구전문학교(현 신구대학교), 원광보건전문학교(현 원광보건대학교) 전국 4곳에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동해에 대한치과위생사협회가 창립되었고 현재 서울시 동대문구 제기동에 치과위생사 회관이 있다.

1994년에 전문대학의 치위생과 수업연한이 3년으로 연장되었고 1997년부터 졸업생에게 보건전문학사 학위를 수여하게 되었다. 현재는 대학마다 다르겠지만 대부분 치위생전문학사를 수여한다. 2002년에는 전국 최초로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에 4년제 치위생학과가 신설되었고 2006년 전국 최초로 치위생학사(BSDH, Bachelor of Science in Dental Hygiene)가 배출되었다. 이후 2009년 최초의 치위생학 석사가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배출되었다.
2013년 세계 최초로 치위생학 박사 학위과정이 남서울대학교 대학원에 개설되었다.[6]
2016년 세계 최초의 치위생학 박사가 동의대학교 대학원에서 배출되었다.[7]

2017년도 제58기 학생군사교육단 ROTC 선발에 치과위생사 출신 첫 ROTC 장교가 선발되었다.[8]


4. 되는 법[편집]


치과위생사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의 치위생과(3년제) 혹은 대학의 치위생학과(4년제)를 졸업하고 치과위생사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으면 된다.

  • 실기(치과위생사 업무 덴티폼에 치석탐지후 치은 연상 또는 치은 연하 치석제거(수기구))
  • 기초치위생(두경부해부학, 치아형태학, 구강조직발생학, 구강병리학, 구강생리학, 구강미생물학):40문항
  • 치위생관리(지역사회구강보건학, 구강보건행정학, 구강보건통계학, 구강보건교육학):40문항
  • 의료관계법규(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지역보건법, 구강보건법, 의료법):20문항
  • 임상치위생(예방치과학, 치면세마학, 구강악안면방사선학, 구강악안면외과학, 치과보철학, 치과보존학, 소아치과학, 치주학, 치과교정학, 치과재료학):100문항

국가고시 합격점
  • 실기(덴티폼 수기구 치석탐지후 치은 연상 또는 치은 연하 치석제거) 60/100 ※커트라인/총점
  • 필기 120/200 ※ 과목별로 과락(40%) 존재함(단, 기초치위생, 치위생관리는 한 과목으로 묶음).


5. 치위생(학)과 설치 현황[편집]


4년제 대학의 경우 볼드.

소재지
학교명
서울
삼육보건대학교, 한양여자대학교
인천
가천대학교메디컬캠퍼스
경기
신한대학교, 을지대학교, ,경복대학교, 동남보건대학교, 서영대학교파주캠퍼스, 수원과학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신구대학교, 안산대학교, 용인예술과학대, 여주대학교, 연성대학교, 부천대학교
강원
가톨릭관동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강원대학교도계캠퍼스, 경동대학교,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강릉영동대학교, 송호대학교, 한림성심대학교
충북
유원대학교, 청주대학교, 강동대학교, 대원대학교,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충청대학교
대전
건양대학교, 대전과학기술대학교, 대전보건대학교
충남
남서울대학교, 단국대학교, 백석대학교, 선문대학교, 한서대학교, 백석문화대학교, 신성대학교, 혜전대학교
전북
호원대학교, 원광보건대학교, 전북과학대학교, 전주기전대학, 전주비전대학교
광주
광주여자대학교, 송원대학교, 호남대학교, 광주보건대학교, 서영대학교
전남
초당대학교, 고구려대학교, 광양보건대학교, 동아보건대학교, 목포과학대학교, 전남과학대학교, 청암대학교, 한영대학교
대구
계명문화대학교, 대구과학대학교, 대구보건대학교, 수성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
경북
경북대학교상주캠퍼스, 경운대학교, 김천대학교, 가톨릭상지대학교, 경북전문대학교, 구미대학교, 서라벌대학교, 안동과학대학교, 영남외국어대학, 포항대학교
부산
동서대학교, 동의대학교, 신라대학교, 경남정보대학교, 대동대학교, 부산보건대학교,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부산여자대학교
울산
울산과학대학교, 춘해보건대학교
경남
영산대학교, 마산대학교, 진주보건대학교
제주
제주관광대학교


6. 기타[편집]


  • 위생사는 치과위생사와는 전혀 다른 자격이다. 식품영양학과 문서로.


  • 간호조무사와도 전혀 다른 자격이다. 간호조무사가 스케일링, 치아본뜨기, 방사선촬영 등의 업무를 하는 것은 엄연히 불법이므로, 꼭 명찰을 확인하여야 한다.

  • 치과의사가 해야 하는 일을 치과위생사가 대신 하는 경우도 있으나, 당연히 불법이다. 신경치료나 치아 삭제까지 치과위생사가 시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의료법 위반으로 해당 치과는 영업정지 3개월의 처벌을 받게 된다. 임시치아 제작, 보철물 세팅, 레진 충전 모두 명백히 불법이다. 상기한 간호조무사가 치위생사의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영업정지 15일 처분을 받는 것에 비하여 상당히 중한 처벌을 받음을 알 수 있다.


  • 다만 임시치아 제작, 보철물 세팅, 레진 충전까지는 치과위생사도 손수 할 수 있는 업무다. 사실 임시치아도 업무범위에 포함되고, 치위생과 교육 과정에서 배우는 과정 중 하나이고, 임상에서도 임시치아를 깎을 수 있다.

  • 치위생과 학생들이 스케일링 실습학점 따려고 다른 과 학생들을 납치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 거의 모든 대학에 치위생학과(치위생과)가 여자 비율이 상당히 높다. 심지어 교수진조차 여초이다.


7. 나무위키에 등재한 치위생사[편집]


  • 그레타 짐머 프리드먼 - 미국의 치위생사. 다만, 치위생사로서 등재된 것이 아니고 다른 이유로 등재되었다.
  • Raon - 예전 유튜브영상에 치과위생사로 일했다고 하였다.
  • 러끼 - 원래는 미대를 지망했으나, 집안 사정으로 인해 치위생과로 지망을 바꿨다. [9]


8.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8:04:13에 나무위키 치과위생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 흔히 잇몸치료라고 불리는 치은 연하 스케일링은 치과의사가 직접 한다.[2] 법적으로의 치과병원은 주로 치과대학병원에 있다.[3] 때문에 인터넷에서도 '치과 간호사'로 많이 칭해지지만, 정정해 주는 사람이 있어 혼동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4] 의학기술과 치과위생사 과정을 졸업한 17명 중 11명 합격[5] 당시는 전문학교. 1979년 이후 전문대학으로 개칭.[6] 세계 첫 ‘임상 치위생학’ 박사과정 개설 [7] 세계 최초 치위생학 박사 탄생 ‘화제’ [8] 치위생과 출신 첫 ROTC 합격자 탄생[9] 그러나, 정작 러끼 본인은 치위생과가 뭔지도 몰랐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