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촌

덤프버전 :

부계 혈족 관계 호칭

[ 펼치기 · 접기 ]
남자 혈족
여자 혈족
종현조할아버지

현조고모할머니
재종고조할아버지
재종고고모할머니
종고조할아버지

고고모할머니
내재종고조할아버지
내재종고고모할머니

재종증조할아버지
증조당고모할머니
종증조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 증조할머니
증고모할머니
내재종증조할아버지
내재종증고모할머니

삼종조할아버지
삼종고모할머니
내삼종조할아버지
내삼종고모할머니
재종조할아버지
재종고모할머니
큰할아버지,작은할아버지
할머니
(조모)

고모할머니
(대고모,왕고모)

내재종조할아버지
내재종고모할머니
내삼종조할아버지
내삼종고모할머니
내내삼종조할아버지
내내삼종고모할머니

재당숙
(재종숙)
재당고모
(재종고모)
내재당숙
(내재종숙)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당숙
(종숙)
당고모
(종고모)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어머니
(엄마, )

고모
내당숙
(내종숙)
내당고모
(내종고모)
내재당숙
(내재종숙)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내내재당숙
(내내재종숙)
내내재당고모
(내내재종고모)

삼종형제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재종형제
재종자매
내재종형제
내재종자매
사촌
형제


오빠
남동생


자매

언니
누나
여동생
}}}
고종사촌
내재종형제
내재종자매
내내재종형제
내내재종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내내내삼종형제자매
(종형제)
(종자매)
(내종형제)
(내종자매)

재종질
재종생질
내재종질
내재종생질
당질
(종질)

당생질
(종생질)

조카(질)
아들

조카(생질)
내당질
(내종질)

내당생질
(내종생질)

내재종질
내재종생질
내내재종질
내내재종생질

삼종손
이삼종손
내삼종손
내이삼종손
재종손
이재종손
종손
손자
손녀
외손자
외손녀
이손
내재종손
내이재종손
내삼종손
내이삼종손
내내삼종손
내내이삼종손

재종증손
이재종증손
종증손
증손
외증손
이종증손
내종증손
내이종증손

재종현손
이재종현손
종현손
현손
외현손
이종현손
내재종현손
내이재종현손

종내손
내손
외내손
이종내손


6대손 이상
곤손
(6대손)

잉손
(7대손)

운손
(8대손)

이손
(9대손)


6대조 이상
열조
(6대조)
태조
(7대조)
원조
(8대조)
비조
(9대조)

범례

직계존비속
이촌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이동에 따른 촌수 관계
: 2촌 관계
: 1촌 관계

관련 문서
같이 보기 (부계 호칭 · 모계 호칭)




모계 혈족 관계 호칭

[ 펼치기 · 접기 ]
남자 혈족
여자 혈족
외종현조부
외현조부 | 외현조모
외현대고모
외재종고조부
외재종고대고모
외종고조부

외고대고모
외내재종고조부
외내재종고대고모

외재종증조부
외재종증대고모
외종증조부

외증대고모
외내재종증조부
외내재종증대고모

외삼종조부
외삼종대고모
외내삼종조부
외내삼종대고모
외재종조부
외재종대고모
외종조부
외할머니
(외조모)
}}}
외대고모
(외존고모)

외내재종조부
외내재종대고모
외내삼종조부
외내삼종대고모
외내내삼종조부
외내내삼종대고모

외재당숙
(외재종숙)
외재당이모
(외재종이모)
외내재당숙
(외내재종숙)
외내재당이모
(외내재종이모)
외당숙
(외종숙)
외당이모
(외종이모)
외숙
아버지 | 어머니
(엄마, )
이모
외내당숙
(외내종숙)
외내당이모
(외내종이모)
외내재당숙
(외내재종숙)
외내재당이모
(외내재종이모)
외내내재당숙
(외내내재종숙)
외내내재당이모
(외내내재종이모)

외삼종형제자매
외이삼종형제자매
외내삼종형제자매
외내이삼종형제자매
외재종형제
외재종자매
외이재종형제
외이재종자매
외종사촌

이종사촌
외내재종형제
외내재종자매
외내이재종형제
외내이재종자매
외내삼종형제자매
외내이삼종형제자매
외내내삼종형제자매
외내내이삼종형제자매
(외종형제)
(외종자매)
(이종형제)
(이종자매)

외재종질
외재종생질
외이재종질
외이재종생질
외종질
외종생질

이종질
이종생질
외내재종질
외내재종생질
외내이재종질
외내이재종생질

외재종손

외이재종손

외종손
외이종손
이종손
이이종손
외내재종손

외내이재종손


범례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이동에 따른 촌수 관계
: 2촌 관계
: 1촌 관계

관련 문서
같이 보기 (부계 호칭 · 모계 호칭)




친족 촌수 명칭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구촌*
* 대한민국 기준으로 구촌부터는 가까운 친족으로 치지 않는다. 출신 가문이 같을 뿐인 먼 친척으로 사실상 남남이다.



1. 개요
2. 현대
3. 상세 호칭
4. 칠촌 관계인 인물
5. 칠촌 관계인 캐릭터


1. 개요[편집]


/ second cousin once removed

아버지어머니육촌 형제/자매가 되는 아저씨뻘의 친척으로, 촌수가 7촌이 되는 친척. 또 나의 육촌 형제/자매의 아들/딸도 7촌(조카)에 해당한다. 재당숙(재종숙), 재당고모(재종고모), 재당이모(재종이모) 등으로 호칭한다. 정식호칭은 오촌 당숙 이상으로 복잡해지므로 그냥 앞뒤 생략하고 아저씨, 아주머니 등으로 호칭하는 경우가 많다. 증조부모의 사촌형제나 현조부모의 형제, 본인 육촌의 자식, 본인 사촌의 증손주들도 7촌에 모두 포함된다. 나이대가 60~70대 정도 되시는 할아버지,할머니 같은 분들도 있다. 주로 결혼식이나 부모/조부모 장례식에 찾아오기도 한다.
나와 1.5625%[1]의 유전자를 공유한다.


2. 현대[편집]


옛 대가족 사회와 다르게 핵가족 사회인 현대에는 이쯤 되면 거의 남과 다름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집안이 가계를 엄격하게 따지거나, 전통이 많이 살아있거나, 명문가라면 모르겠지만, 대부분은 평생 왕래가 없는 경우가 많다. 사이가 좋고 나쁨의 문제를 떠나서 현대의 핵가족 관념에서는 너무 먼 친척이 되어버렸기 때문. 아직까지도 육촌까지는 평생 한두 번은 왕래를 하는 경우가 많지만, 칠촌부터는 왕래가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사회적으로는 칠촌부터는 완전한 남이라고 보는 경우가 많다.

유교 문화권인 한국이나 중국을 제외하면 그냥 남으로 보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아주 먼 친척이라 얼굴도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근친혼의 범위로 생각하지도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2] 다만 한국의 현행법상 친족의 범주인 8촌 안에 포함되어 법적으로는 혼인이 불가하므로, 남이라고 생각하는 일반적 인식과 법의 괴리가 심하다. 참고로 일본 현행 민법상으로는 6촌까지가 친족 범위의 경계선이다. 어떻게 보면 이쪽이 훨씬 현 실정에 잘 맞다.

아무래도 3~4대에 걸친 관계라 여기서부터는 나이상으로는 얼마 차이가 안 나는데 항렬상으로는 아들뻘 또는 아버지뻘인 경우가 허다하다. 이 경우 서로 조카님, 재당숙님, 아저씨 등으로 상호존대를 한다. 헌종은 7촌 아저씨가 되는 후임 왕 철종보다 4살이 많았고, 삼국지로 유명한 오나라의 섭정 손준은 자신이 섭정하는 황제 손량의 7촌 조카지만 24살이나 더 많았다. 이는 손량이 손권이 60에 본 아들이기 때문. 당시 60이면 손자는 물론이고 증손자를 볼 수도 있는 나이였다. 연산군의 왕비인 폐비 신씨는 연산군의 외가쪽 7촌 이모인데 나이상으로는 동갑이었고 생일도 연산군이 3주 정도 빨랐다. 잘 알려진 필립 공도 혈연상으로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7촌 재당숙인데[3] 나이는 5살밖에 차이가 안 나고 필립의 큰아버지인 콘스탄티노스 1세도 왕비 프로이센의 조피의 7촌 조카였지만[4] 나이로는 조피가 두 살 어렸다. 신라의 문명왕후태종 무열왕의 7촌 고모이지만 실제로는 나이가 더 어렸다.[5]

전반적으로 사람들의 사망률이 높았던 20세기 중엽까지만 해도. 부모님을 잃은 고아가 삼촌 관계에 있는 어른의 집으로 들어가 양자가 되거나, 아들을 잃은 집안이 조카를 양자로 들이는 일이 많았다. 이 경우 생물학적 칠촌과 왕래하게 되는 일도 생긴다. 설명하자면, 아버지 세대에서 생물학적으로 사촌이던 사람이 양자 입적을 거치면 족보상으로 형제가 되고, 이들이 낳은 자식 세대는 족보상 사촌 관계에 있지만 생물학적으로는 재종형제(육촌) 관계에 놓인다. 이 중 재종형제가 낳은 자식은 다른 재종형제와 족보상 오촌, 생물학적 칠촌 관계가 되는 셈이다.

3. 상세 호칭[편집]


칠촌과 팔촌은 고조부모를 공통 직계 조상으로 가진다. 친가, 증외가, 진외가, 진외증외가, 외가, 외증외가, 외외가, 외외증외가 각 8개의 가문을 따져야 한다 (팔고조도 참고). 방계로 한 세대씩 내려갈 수록 남자형제인지 여자형제인지 따져야 하미로 가짓수가 2배씩 불어난다. 종증조부의 경우 16가지, 재종조부의 경우 32가지, 7촌의 경우 64가지로 불어난다.

  • 증조부모의 형제자매의 호칭(5촌)
    • 증조할아버지의 남자 형제: 큰증조할아버지[6], 작은증조할아버지[7]
    • 증조할아버지의 여자 형제: 증고모할머니[8]
    • 증조할머니의 남자 형제: 증외종증조할아버지[9]
    • 증조할머니의 여자 형제: 증이모할머니[10]
    • 진외증조할아버지의 남자 형제: 큰진외증조할아버지[11], 작은진외증조할아버지[12]
    • 진외증조할아버지의 여자 형제: 진외증고모할머니[13]
    • 진외증조할머니의 남자 형제: 진외증외종증조할아버지 [14]
    • 진외증조할머니의 여자 형제: 진외증이모할머니[15]
    • 외증조할아버지의 남자 형제: 큰외증조할아버지[16], 작은외증조할아버지[17]
    • 외증조할아버지의 여자 형제: 외증고모할머니[18]
    • 외증조할머니의 남자 형제: 외증외종증조할아버지[19]
    • 외증조할머니의 여자 형제: 외증이모할머니[20]
    • 외외증조할아버지의 남자 형제: 큰외외증조할아버지[21], 작은외외증조할아버지[22]
    • 외외증조할아버지의 여자 형제: 외외증고모할머니[23]
    • 외외증조할머니의 남자 형제: 외외증외종증조할아버지[24]
    • 외외증조할머니의 여자 형제: 외외증이모할머니[25]

  • 조부모의 사촌의 호칭(6촌)
    • 할아버지의 사촌형제: 재종조부
    • 친할아버지의 사촌자매: 재존고모
    • 친할아버지의 내종형제: 증내재종조부 [26]
    • 친할아버지의 내종자매: 증내재존고모
    • 친할아버지의 외종형제: 증외재종조부 [27]
    • 친할아버지의 외종자매: 증외재존고모
    • 친할아버지의 이종형제: 증이재종조부 [28]
    • 친할아버지의 이종자매: 증이재존고모
    • 친할머니의 사촌형제: 진외재종조부
    • 친할머니의 사촌자매: 진외재존이모
    • 친할머니의 내종형제: 진외증내재종조부
    • 친할머니의 내종자매: 진외증내재존이모
    • 친할머니의 외종형제: 진외증외재종조부
    • 친할머니의 외종자매: 진외증외재존이모
    • 친할머니의 이종형제: 진외증이재종조부
    • 친할머니의 이종자매: 진외증이재존이모
    • 외할아버지의 사촌형제: 외재종조부
    • 외할아버지의 사촌자매: 외재존고모
    • 외할아버지의 내종형제: 외증내재종조부
    • 외할아버지의 내종자매: 외증내재존고모
    • 외할아버지의 외종형제: 외증외재종조부
    • 외할아버지의 외종자매: 외증외재존고모
    • 외할아버지의 이종형제: 외증이재종조부
    • 외할아버지의 이종자매: 외증이재존고모
    • 외할머니의 사촌형제: 외외재종조부
    • 외할머니의 사촌자매: 외외재존이모
    • 외할머니의 내종형제: 외외증내재종조부
    • 외할머니의 내종자매: 외외증내재존이모
    • 외할머니의 외종형제: 외외증외재종조부
    • 외할머니의 외종자매: 외외증외재존이모
    • 외할머니의 이종형제: 외외증이재종조부
    • 외할머니의 이종자매: 외외증이재존이모

  • 부모의 육촌의 호칭(7촌)[31]
    • 친할아버지의 친사촌형제의 자녀: 재당숙, 재당고모
    • 친할아버지의 친사촌자매의 자녀: 진내재당숙, 진내재당고모 [29]
    • 친할아버지의 내종사촌형제의 자녀: 증내재당숙, 증내재당고모
    • 친할아버지의 내종사촌자매의 자녀: 진내증내재당숙, 진내증내재당고모
    • 친할아버지의 외종사촌형제의 자녀: 증외재당숙, 증외재당고모
    • 친할아버지의 외종사촌자매의 자녀: 진내증외재당숙, 진내증외재당고모
    • 친할아버지의 이종사촌형제의 자녀: 증이재당숙, 증이재당고모
    • 친할아버지의 이종사촌자매의 자녀: 진내증이재당숙, 진내증이재당고모
    • 친할머니의 친사촌형제의 자녀: 진외재당숙, 진외재당고모
    • 친할머니의 친사촌자매의 자녀: 진이재당숙, 진이재당고모 [30]
    • 친할머니의 내종사촌형제의 자녀: 진외증내재당숙, 진외증내재당고모
    • 친할머니의 내종사촌자매의 자녀: 진이증내재당숙, 진이증내재당고모
    • 친할머니의 외종사촌형제의 자녀: 진외증외재당숙, 진외증외재당고모
    • 친할머니의 외종사촌자매의 자녀: 진이증외재당숙, 진이증외재당고모
    • 친할머니의 이종사촌형제의 자녀: 진외증이재당숙, 진외증이재당고모
    • 친할머니의 이종사촌자매의 자녀: 진이증이재당숙, 진이증이재당고모
    • 외할아버지의 친사촌형제의 자녀: 외재당숙, 외재당이모
    • 외할아버지의 친사촌자매의 자녀: 외내재당숙, 외내재당이모
    • 외할아버지의 내종사촌형제의 자녀: 외증내재당숙, 외증내재당이모
    • 외할아버지의 내종사촌자매의 자녀: 외내증내재당숙, 외내증내재당이모
    • 외할아버지의 외종사촌형제의 자녀: 외증외재당숙, 외증외재당이모
    • 외할아버지의 외종사촌자매의 자녀: 외내증외재당숙, 외내증외재당이모
    • 외할아버지의 이종사촌형제의 자녀: 외증이재당숙, 외증이재당이모
    • 외할아버지의 이종사촌자매의 자녀: 외내증이재당숙, 외내증이재당이모
    • 외할머니의 친사촌형제의 자녀: 외외재당숙, 외외재당이모
    • 외할머니의 친사촌자매의 자녀: 외이재당숙, 외이재당이모
    • 외할머니의 내종사촌형제의 자녀: 외외증내재당숙, 외외증내재당이모
    • 외할머니의 내종사촌자매의 자녀: 외이증내재당숙, 외이증내재당이모
    • 외할머니의 외종사촌형제의 자녀: 외외증외재당숙, 외외증외재당이모
    • 외할머니의 외종사촌자매의 자녀: 외이증외재당숙, 외이증외재당이모
    • 외할머니의 이종사촌형제의 자녀: 외외증이재당숙, 외외증이재당이모
    • 외할머니의 이종사촌자매의 자녀: 외이증이재당숙, 외이증이재당이모


4. 칠촌 관계인 인물[편집]



5. 칠촌 관계인 캐릭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11:16:16에 나무위키 칠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 × 1/27[2] 조선 시대에서도 외가 쪽 7촌은 혼인할 수 있다고 조선왕조실록에서 언급되었다. 이렇게 성사된 혼인 중 대표적인 사례가 연산군폐비 신씨.[3]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증조할머니인 덴마크의 알렉산드라가 필립 공의 증조할아버지 크리스티안 9세의 딸이기 때문이다.[4]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기준으로 7촌이다.[5] 반면 문명왕후의 큰오빠 김유신태종 무열왕보다 9살이 많다.[6] 배우자: 큰증조할머니[7] 배우자: 작은증조할머니[8] 배우자: 증고모할아버지[9] 배우자: 증외종증조할머니[10] 배우자: 증이모할아버지[11] 배우자: 큰진외증조할머니[12] 배우자: 작은진외증조할머니[13] 배우자: 진외증고모할아버지[14] 배우자: 진외증외종증조할머니[15] 배우자: 진외증이모할아버지[16] 배우자: 큰외증조할머니[17] 배우자: 작은외증조할머니[18] 배우자: 외증고모할아버지[19] 배우자: 외증외종증조할머니[20] 배우자: 외증이모할아버지[21] 배우자: 큰외외증조할머니[22] 배우자: 작은외외증조할머니[23] 배우자: 외외증고모할아버지[24] 배우자: 외외증외종증조할머니[25] 배우자: 외외증이모할아버지[26] 증내: 조부모의 내가[27] 증외: 조부모의 외가[28] 증이: 조부모의 이가[29] 진내: 아버지의 내가[30] 진이: 아버지의 이가[31] 으로 바꿔도 된다.[32] 남궁연의 외증조할아버지 윤치소와 윤인구의 친할아버지 윤치영이 친형제.[33] 하단인물 모두 피니어스 나이젤러스 블랙의 후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