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판

덤프버전 :

분류

파일:attachment/chilpan.jpg
漆板 | Blackboard, Chalkboard

1. 개요
2. 역사
3. 용도
4. 필기구
6. 여담
6.1. 칠판 긁는 소리
6.2. 칠판체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분필로 쓸 수 있도록 초록색, 검은색 등을 칠한 넓적한 판. 색상과 무관하게 흑판[1]이라 부르기도 한다. 육안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표면이 까끌까끌하게 되어 있어 탄산칼슘이나 석고의 분말을 뭉쳐 만든 분필로 그으면 깎여나가 판에 묻으며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적을 수 있다.


2. 역사[편집]


칠판과 분필의 원형은 매우 오래되었다. 그도 그럴 것이 동굴의 벽이나 바위 등 평평하고 거친 물체를 아무거나 찾아서 그곳에 가루가 떨어지는 물질을 바르면(그냥 평범한 광물로 긁어도 조흔색이 나온다.) 그게 즉석 칠판이 되기 때문이다. 테라코타 등을 작게 만들어 현대의 공책과 같은 개인 필기구로 사용하기도 했다.

전통적인 칠판은 잘 말린, 밀도 있는 원목판에 연마재를 섞은 검은 도료를 칠해 만들고, 부유한 사립학교나 대학에서는 검은색 천연 슬레이트석을 가공한 돌 칠판을 사용하기도 했다.

한국에서 검은 칠판은 1970년대까지 널리 쓰였으며, 이후 철판에 도료를 입힌 녹색 칠판이 보편화되었다. 돌판에 비해 철판의 필기감이 구리다[2]는 단점은 있지만, 가볍고 저렴하며 깨져서 다칠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녹색이 보편화된 이유는 그냥 녹색이 시장에서 잘 팔려서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녹색이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주므로 오랜 시간 칠판을 봐야 하는 교사, 학생을 배려한 것도 있다.

그러다가 종전의 칠판이 분필 가루가 너무 많이 날려서 위생에 해롭고, 청소가 번거롭다는 이유로 물칠판이 도입되었다. 확실히 위생적인 면에서는 나아졌으나 문제는 판서하는 교사에게 잉크가 튀어서 옷에 묻는다는 것이었다. 세탁이 되면 모를까 옷에 묻으면 지워지지 않아서 교사들의 원성이 자자했다.

그러다가 보드마카를 도입하거나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액정 화면처럼 전자칠판으로 바뀌는 추세이다.


3. 용도[편집]


보통 교실이나 학원 같은 교육 시설에서 자주 사용하게 된다. 강의실 앞 벽면에 매우 크게 만들어 부착하는데, 최소 가로 2m 가량이다.
많은 사람에게 내용을 전달해야 하는 강의의 특성상 글을 적어보일 넓은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판서를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2010년대 중반쯤부터 컴퓨터와 연동된 전자 칠판이 도입되기도 한다. 종전의 물칠판이나 보드마카를 대체하는 것이다. 양 옆에 물칠판이나 보드마카 부분을 놓아서 분필, 마카 판서와 병행하기도 한다.

공책 등 물자가 부족한 일부 개도국들의 초등학교에서 공책 대용의 교구로 쓰기도 한다. 종이는 한 번 글씨를 쓰면 일일이 문질러 지우지 않는 이상 재사용이 어렵지만, 칠판은 쓱쓱 문지르면 모두 지워지고 또다시 다른 글을 쓸 수 있기 때문에 꽤 경제적이다. 선진국에서도 20세기 초중반까지는 이 공책 대용의 칠판을 사용하였다. 한 예로 20세기 초반 캐나다를 배경으로 한 빨강머리 앤에선 주인공 앤 셜리가 자신을 놀리는 길버트 블라이스에게 화가 나서 칠판을 머리에 내리치는 장면이 있다. 이 칠판이 공책 대용 칠판이다.


4. 필기구[편집]


칠판에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필기구는 물론 분필이다.

분필 말고도 파스텔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성파스텔(크레파스)말고 하드파스텔 종류를 써야 한다. 다양한 색을 원할 경우 사용할 만하다. 단, 파스텔은 분필보다 훨씬 비싸고 칠판에 대고 문지르면 굉장히 빠르게 소모되므로 가성비는 매우 나쁘다. 게다가 판 자체가 진한 녹색 계통이라 색을 다양하게 써봤자 배경색에 묻혀버린다.


5. 화이트보드[편집]


친척으로는 화이트보드가 있다. 칠판처럼 큰 금속제 대형 판인 것은 같지만, 이 쪽은 표면을 비교적 매끄럽게 만들고 밝은 도료로 칠해 어두운 색의 유/수성 마커로 필기한다.[3]. 분필을 맨손으로 잡으면 분필가루가 묻게 되며 글씨를 쓸 때 알게 모르게 분필가루가 흩날려서 분필가루를 들이마실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인 화이트보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다만 마커는 휘발성이라 오래 쓸수록 색이 흐려지기 때문에 화이트보드 칠판은 멀리 떨어져 있는 자리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가독성 문제가 있다.


6. 여담[편집]


  • 근래에는 분필의 사용이 많이 줄었지만, 과거부터 지금까지 칠판을 지우는 것은 주로 주번의 몫이다. 대학에서 칠판을 사용하는 경우 조교들이 지우거나 교수가 직접 지우기도 하며 청소하시는 분들이 지우기도 한다. 아니면 특정 학생을 지목해서 칠판을 지워달라고 부탁하기도 한다. 혹은 자동 칠판 지우개도 있다. 이게 귀찮은 교수님들은 아예 물리적 판서 없이 프레젠테이션과 태블릿으로 판서를 대체하시는 경우도 있다.
  • 칠판의 구석에는 보통 주번의 이름이 적히며 가끔 떠든 사람을 적기도 한다. 야간자율학습 시간에는 커다랗게 자습이라 써놓고 총원, 결원, 재적 같은 걸 적어놓기도 하며 선생이 도망간 학생들을 다음 날 혼내려고 적어놓기도 한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학생들의 낙서장이 되기도 한다. blackboard doodles라고 해서 독특한 스타일을 보이기도 한다. 주로 카페 등의 메뉴판 같은 걸 이런 스타일로 만들기도 한다.
  • 잘 쓰이지는 않지만 초중고 칠판 옆에는 보조 칠판이 있다. 수학 시간용 격자나 세계지도, 한반도 지도, 오선보와원고지 등이 그려져있는 경우가 많다. 함수 그래프 그리거나 할 때 쓸 수 있다. 바둑 둘 수도 있다
  • 초/중학교, 특히 남녀공학 중학교나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칠판에 장난을 많이 치게 된다. 친구들 놀리기는 기본이고, 그림 실력이 뛰어난 경우 꽤 괜찮은 캐릭터 등을 그리기도 한다. 드르륵 장난도 흔하다.
  • 적록 색맹은 초록색 칠판의 빨간 분필 글씨가 잘 안 보일 수 있다.


6.1. 칠판 긁는 소리[편집]


칠판을 손톱을 세워 긁게 되면, 흔히 칠판 긁는 소리라고 말하는 매우 소름끼치는 소리가 들린다. (조건 반사처럼 상상만 해도, 그러니까 이 글을 읽는 바로 지금도 소름 돋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분필 긁는 소리도 소름끼친다.)[4]

사실 굳이 손톱으로 긁지 않고 분필로 칠판에 글을 쓸 때도 아주 가끔 이런 소리가 난다.이 기사에 따르면 칠판/유리/쇠를 손으로 긁는 소리를 들을 경우 사람의 편도체가 가장 크게 자극받고, 청각 피질을 자극하면서 소리를 들음으로써 생기는 불쾌감이 증폭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사실 공포나 불쾌감을 느끼는 기본적인 매커니즘이 원래 이렇다. 이 문장은 원인을 설명했다기보단 사람들은 칠판 긁는 소리를 들으면 불쾌하다를 길게 늘여 쓴 것.(…) 하여간 어째서 유독 이 소리에 뇌가 이렇게 반응하는지는 불명. 일단 칠판 긁는 소리의 주파수는 2,000 Hz – 4,000 Hz인데, 이 주파수 음역대가 사람이 가장 잘 감지할 수 있는 음역대여서 유독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소리에 사람들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유독 불쾌감을 느끼는건 조건 반사적이라기보단 본능적인 반응이라고 한다.


6.2. 칠판체[편집]


𝔸 𝔹 ℂ 𝔻 𝔼 𝔽 𝔾 ℍ 𝕀 𝕁 𝕂 𝕃 𝕄 ℕ 𝕆 ℙ ℚ ℝ 𝕊 𝕋 𝕌 𝕍 𝕎 𝕏 𝕐 ℤ
𝕒 𝕓 𝕔 𝕕 𝕖 𝕗 𝕘 𝕙 𝕚 𝕛 𝕜 𝕝 𝕞 𝕟 𝕠 𝕡 𝕢 𝕣 𝕤 𝕥 𝕦 𝕧 𝕨 𝕩 𝕪 𝕫
𝟘 𝟙 𝟚 𝟛 𝟜 𝟝 𝟞 𝟟 𝟠 𝟡
유니코드
[math(\mathbb{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P \ Q \ R \ S \ T \ U \ V \ W \ X \ Y \ Z})]
TeX[5]

수학 수업 시간에 이렇게 속이 텅 비어 있는 로마자를 보곤 하는데 칠판체(Blackboard letter)라고 한다.

원래는 칠판에서 볼드체를 쓰려는데 내부를 칠하려다가 귀차니즘(…)으로 인해서 그냥 비워둔 것이 굳어진 것이다.

현재의 쓰임은 수 체계를 뜻한 집합 표현을 제외하면 사용례가 굳어진 예는 별로 없다. 통계에서 기댓값 기호로 흔히 쓰이는 𝔼가 미분기하학에서 유클리드 공간을 𝔼n으로 나타내는 데에 쓰인다거나, 사영평면을 가리킬 때 쓰는 ℙ가 일부 대수학, 정수론 책에서는 소수의 집합을 가리킬 때 쓰이는 등 불천위(?)로 정해진 수 체계 기호들을 제외하면 다들 분야마다 교과서마다 되는 대로(…) 쓴다.

그래도 교수자가 교과서에서는 볼드체로 구분되어있는 벡터 표기를 칠판에서도 구분하기 위해 칠판체를 갖다 쓰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에 수학을 공부하면서 한번쯤 익혀둘 필요는 있다. 미적분학, 선형대수학 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미분기하학, 위상수학, 현대대수학 등 같은 글씨가 변화무쌍한 폰트에 따라 서로 다른 대상을 가리키는 일을 자주 볼 수 있는 고급과정에서 요긴하게 쓰인다. 이 점에서는 글씨를 쓰는 학생보다도 학생들이 헷갈리지 않게 판서를 해야 하는 교수자에게 요긴한 스킬이라 할 수 있겠다.

이 중 𝕏는 새 트위터의 로고가 되었다.


7.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11:16:51에 나무위키 칠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실 흑판은 일본에서 영어 blackboard를 번역한 어휘이다.[2] 싸구려 칠판은 뒤의 지지대와 제대로 밀착 고정이 되지 않아서 필기 시 철판이 쾅쾅 울리기도 한다.필기를 거칠게 한다면 심하게 '터터텅!'하고 울린다. [3] 칠판과 분필에 익숙하신 선생님들은 화이트보드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들기도 한다. 이유는 분필은 학생에게 던질 수 있어서 딱딱함이 있는데, 매직은 부드러움이 있어서 처음엔 익숙하지 않다고… 또 매직은 경우에 따라 잘 써지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분필은 항상 정확히 써지기 때문이기도 하다.[4] 물백묵 전용 칠판이나 화이트보드는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발생하지 않는다.[5] 소문자, 숫자 칠판체는 TeX 문법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