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동

덤프버전 :

분류


천문학
Astronomy


[ 펼치기 · 접기 ]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자전 주기) · 공전(공전 주기) · 중력(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천체역학 · 칭동) · 기조력(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21cm 중성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우주론
기본 개념
허블-르메트르 법칙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모의실험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
우주 달력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주극성 · 24절기(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냉각 CCD) · 육분의
관측 대상
별자리(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Arp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 록맨홀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 천문학 관련 정보


1. 개요
2. 광학 칭동
2.1. 경도 칭동
2.2. 위도 칭동
2.3. 일주 칭동
3. 물리 칭동



1. 개요[편집]


칭동(Libration, )은 궤도를 도는 천체를 볼 때 나타나는 상대적인 운동을 뜻한다. 대개 행성의 위성이나 행성의 궤도를 공유하는 트로이 소행성군에 대하여 다루어지는데, 여기서는 달의 칭동에 관하여 서술한다.

달은 지구 주위를 돌면서 기조력의 영향으로 조석 고정이 일어나 자전주기와 공전주기가 일치한다. 그래서 달의 한쪽 면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해서 늘 달의 50%만을 볼 수 있는 것은(=뒷면을 절대 볼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지구에서 달을 꾸준히 관측하면 달의 무늬가 상하좌우(동서남북)로 흔들리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출처 Wikipedia

칭동 현상으로 지구에서는 달 표면의 59% 정도를 볼 수 있는데 이 중 41%p는 항상 보이고 18%p는 보였다가 감춰졌다가를 반복한다. 나머지 41%는 아예 볼 수 없다.

2. 광학 칭동[편집]


관측자와 천체 상의 위치관계 변화로 인하여 나타나는 흔들림을 일컫는다.


2.1. 경도 칭동[편집]


달은 타원 궤도를 돌기 때문에 공전 속도와 공전 각속도가 한 달을 주기로 계속 변한다. 한편 달의 자전 각속도는 일정하다. 만일 달이 이상적인 원 궤도를 돌고 있다면 공전 각속도와 자전 각속도가 언제나 일치하여, 항상 같은 면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타원 궤도로 돌면 공전 각속도와 자전 각속도는 불일치한다.

공전 각속도가 느릴 때, 다시 말해 원지점 근처에서는 자전 각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므로 달의 자전 방향으로 돌아가는 것처럼 보인다. 즉 지구에서 볼 때 달의 무늬는 점차 오른쪽(천구의 서쪽, 달의 동쪽)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공전 각속도가 빨라지는 근지점 근처에서는 달의 자전과 반대로 비틀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지구에서 볼 때 달의 무늬는 왼쪽(천구의 동쪽, 달의 서쪽)으로 움직인다.[1] (개요의 그림 참조.)

경도 칭동의 진폭은 대략 6.3도 정도 된다.


2.2. 위도 칭동[편집]


위도 칭동은 남북 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이다. 지구에서 볼 때에는 달의 무늬가 상하로 흔들린다. 이는 달의 공전궤도와 자전축 사이의 어긋남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달의 공전궤도는 지구의 공전궤도면과 5.1도 정도 기울어져 있다. 그리고 달의 공전궤도와 달의 자전축 사이의 각도는 6.7도로 일정하다. 그런데 이 때 달의 자전축이 세차운동을 하는데, 이 세차운동 주기가 달의 공전궤도가 세차운동하는 주기와 일치한다.
한편 아래 그림과 같이, (1)번 표시된 상황에서 자전축과 공전궤도가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지구 공전궤도와 달의 자전축이 이루는 각은 두 각의 차이인 1.6도이다. 세차운동의 0.5주기가 경과하면 (2)번 상황으로 옮겨진다. 이 때 달의 공전궤도와 자전축이 똑같이 180도 돌아간다. 때문에 지구 공전궤도 기준으로 달의 자전축은 여전히 1.6도가 된다.[2]
파일:위도칭동.png

이렇게 나타나는 위도칭동의 크기는 대략 6.7도 정도 된다. 달의 공전궤도와 달의 자전축 사이 각도와 같다. 지구의 관측자가 달을 볼 때 달의 공전궤도와 평행한 방향으로 바라보기 때문이다.


2.3. 일주 칭동[편집]


지구 상의 관측자는 지구 표면에 있다. 같은 장소라 하더라도 위치를 옮겨 다니기 때문에 월출과 월몰 때의 달의 무늬가 아주 미묘하게 달라진다. 관측자의 위치 변화는 저위도[3]로 갈 수록 커지므로 적도에서 최대가 되고, 극점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일주 칭동의 진폭은 최대 1도 정도이다. 이는 달에서 본 지구의 겉보기 반지름과 같다.

일주 칭동은 아니지만, 같은 날, 같은 시각에서 서로 다른 장소에서 동시에 달을 찍으면 역시 달의 무늬가 살짝 다르게 나온다. 북극점과 남극점에서 본 달의 무늬가 다를 수 있다.


3. 물리 칭동[편집]


물리 칭동은 천체 자체의 흔들림을 말하며, 광학 칭동과는 달리 관측자의 위치관계와 상관이 없는 요소이다.
달은 사실 외형으로 보나 질량 분포로 보나 이상적인 구 모양이 아닌 타원체 형태이다. 천체가 타원체라면 자전축과 각운동량 벡터의 방향이 살짝 어긋나고, 자전축은 이 각운동량 벡터 주위로 흔들린다. 강체의 극운동의 일종이다. 이 물리 칭동은 극히 작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11:47:27에 나무위키 칭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왼쪽, 오른쪽은 북반구에서 봤을 때의 기준이다. 남반구는 반대이다.[2] 이렇게 달의 자전축과 공전궤도의 세차운동이 1:1 공명을 이루는 것을 '카니시의 법칙(Canissi's law)'이라 한다.[3] 자전 둘레(위선)가 큰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