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카드파이트!! 뱅가드 일본
TCG게임
카드파이트!! 뱅가드의 토너먼트 룰.
3.1. 2024년 07월 01일부터 적용되는 파이터즈 룰
4.1. 2024년 08월 01일부터 적용되는 파이터즈 룰
5.1. 2024년 08월 09일부터 적용되는 파이터즈 룰
5.1.2. 07/01 일본 파이터즈 룰과 차이점
파이터즈 룰이란? |
공식 대회, 공인 대회에 참가하는 파이터가 지켜야하는 규칙입니다. 재미있는 파이트를 할 수 있는 대전 환경, 대회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정해져 있습니다. 대회에 참가할 때는, 이 내용을 잘 읽고, 룰을 지켜서 참가해주세요. '파이터즈 룰'은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합니다. 대회에 참가할 때는 최신 파이터즈 룰을 확인해 주세요. |
아이콘을 보는 방법 |
1장까지만 사용 가능 | 덱에 1장까지만 넣을 수 있습니다. |
2장까지만 사용 가능 | 덱에 2장까지만 넣을 수 있습니다. |
사용제한 | 해당 그룹 중에서 1종까지 선택하고, 선택한 카드는 덱에 4장까지 넣을 수 있습니다. 해당 그룹의 다른 카드는 덱에 넣을 수 없습니다. (예) 카드 A, 카드 B | 카드 A 덱에 4장 투입, 카드 B 덱에 0장 투입 (O) | 카드 A 덱에 3장 투입, 카드 B 덱에 1장 투입 (X) |
FV사용불가 | 퍼스트 뱅가드로 선택할 수 없습니다. |
사용불가 | 덱에 넣을 수 없습니다. |
제한해제 | 검토 결과 지정을 취소합니다. 4장 사용, 또는 퍼스트 뱅가드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대회 내 지켜야할 사항 및 금지/제한 카드 등의 플로어 룰이다. 금제 이외에 플레이 에티켓
[1] 상대를 존경하고 룰을 지키자, 상대가 알 수 있게 확실히 소리를 내서 선언하고 상대가 선언했으면 확인의 표현을 하자, 남의 카드 함부로 만지지 말고 허락받아도 막 다루지 말자 등
, 슬리브 규정 사항
[2] 게임에 지장이 가지 않는 선에서 3중 슬리브 까지 사용 가능(인너 슬리브 사용시, 인너 슬리브를 1중으로 침), 라이드 덱과 G 덱은 메인 덱과 다른 슬리브를 장착해야 하며, 메인 덱과 달리 사용 매수에 제한 없음.(2022/11/10)
등이 기록되어 있다.
유희왕의 금지/제한 룰과 비슷하게, 현 환경에서 큰 영향을 미치는 카드에 대해 제제를 가하는 방식이지만 부시로드의 기본 취지가
카드를 아예 못 쓰게 하지는 않는다인지라 완전 금지는 없고 최대한 제재를 먹여도 1장 투입 제한이 전부다.
물론 데스티니 드로우를 시전할 수 있는 사람에겐 딱히 의미없겠지만 초기에는 2~3종의 카드를 엮어 투입 매수를 2장으로 제한하는
만행방식의 제재를 선보였으나, 리미트 브레이크와 레기온, 초월 시스템을 거치며 현재로서는 단일 카드의 장수 제한/퍼스트 뱅가드 사용 여부만을 제재 대상으로 삼고 있다. 부시로드는 특히 대회 환경에서의 카드들의 활약을 예의주시하다가 심각할 정도로 활약이 심하다는 판단이 들면 해당 카드를 제재하는 식으로 나오는 중.
결국엔 완전 금지도 나왔다. 유희왕 금지/제한룰의 금지처럼 덱에 넣을 수 없는 사용불가와 2종류의 카드 중 한 종류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제한 2종류의 금지형태가 있다.
오버파워라 메타를 깽판치는거 아니면 큰 대회 끝나고 나서 비정기적으로 파이터즈 룰을 갱신했으나 2022년부터는 분기(3/6/9/12월)마다 있는 전략발표회마다 정기적으로 갱신하기로 했다. 물론, 2021년 겨울 전략발표회(21/12/07)때처럼 갱신한다고 예고해놓고선 변경을 안할수도 있다. 거기에다가 여태 했던것처럼 오버파워라 메타를 지배할경우 긴급 파이터즈 룰을 시행할 수도 있다.
3.1. 2024년 07월 01일부터 적용되는 파이터즈 룰[편집]
- D 스탠다드
- 뱅가드 챔피언십 디럭스 2024 예선 대회가 여러개 진행되었으나, 기간 중 사용률 및 상위 입상률이 유독 높은 경우는 없었기에 갱신을 하진 않지만, 여러 카드를 주시중.
파룰 이후로도 일정한 사용룰. 상위 입상률은 있지만 유독 높은건 아니라서 주시중
저번 파룰 이후로도 많은 사용률을 보이지만, 상위 입상률이 유독 높은건 아니라서 주시중
첫 수록된
운명대전 환경부터 높은 사용률을 보였고,
맹염의 무승 로쿠세이를 받은 이후엔 더더욱 많아졌지만, 상위 입상률이 유독 높지 않아서 주시중
첫 수록된
운명대전 환경부터 높은 사용률을 보였고,
세르가온을 손쉽게 재활용 하며,
성당을 채우는 자애의 성가 등으로 수호자를 계속 재활용하는 움직임을 보일 수 있지만, 상위 입상률이 유독 높은건 아니라서 주시중
- V 스탠다드
- 24년 5월 3일(금)에 개최한 대뱅가제 2024에서 트라이 레귤레이션 트리오 파이트를 실시했으나, 해당 대회 환경에서 유독 높은 사용률을 보인 덱이 없었기 때문에 갱신 없음.
- P 스탠다드
- 24년 5월 3일(금)에 개최한 대뱅가제 2024에서 트라이 레귤레이션 트리오 파이트를 실시했으나, 해당 대회 환경에서 유독 높은 사용률을 보인 덱이 없었기 때문에 갱신 없음.
4.1. 2024년 08월 01일부터 적용되는 파이터즈 룰[편집]
5.1. 2024년 08월 09일부터 적용되는 파이터즈 룰[편집]
5.1.2. 07/01 일본 파이터즈 룰과 차이점[편집]
스탠다드 - 국가 파이트 구축 |
* 아래의 [D] 아이콘파일:d_icon_32.png이 없는 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것들은 같은 이름의 [D]아이콘이 있는 카드와 같은 능력을 가진 카드로 취급합니다. |
크로노 제트 드래곤 |
D 아이콘이 없는 카드 | G-TD01/002, G-TD06/003, G-CB04/S10, PR/0405, D-PV01/118, D-PV01/SP22 |
D 아이콘이 있는 카드 | D-SS03/001, D-SS03/001R |
얼터에고 메사이어 |
D 아이콘이 없는 카드 | G-TD05/002, G-BT08/S22, G-TD15/004, D-PV01/114, D-PV01/SP18 |
D 아이콘이 있는 카드 | D-SS04/001, D-SS04/001R |
마닌룡 시라누이 "농" |
D 아이콘이 없는 카드 | G-TD13/005, G-BT11/S22, D-PV01/108, D-PV01/SP12 |
D 아이콘이 있는 카드 | D-SS09/001, D-SS09/001R |
드래그하트 루아드 |
D 아이콘이 없는 카드 | G-TD10/003, G-BT09/S13, PR/0700 |
D 아이콘이 있는 카드 | D-SS10/001, D-SS10/001R |
* 특정한 조합의 라이드 덱을 사용해야, 그에 대응하는 G 덱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
「크로노 드란」, 「메이저기어 드래곤」, 「스모크기어 드래곤」, 「크로노제트 드래곤」 | 「크로노드래곤 넥스테이지」, 「시공룡 페이트라이더 드래곤」 |
「네온 메사이어」, 「어슬리프 메사이어」, 「어로우절 메사이어」, 「얼터에고 메사이어」 | 「창세룡 엑셀릭스 메사이어」, 「창세룡 앰네스티 메사이어」 |
「닌룡 마도이」, 「닌룡 세이즈이」, 「닌룡 겐카이」, 「마닌룡 시라누이 "농"」 | 「사안명황 시라누이 "해"」, 「염마닌룡 마군텐부」 |
「드래그프린스 루트」, 「드래그위저드 니즈」, 「드래그위저드 리아팔」, 「드래그하트 루아드」 | 「드래그스트라이더 루아드」, 「드래그드라이버 루아드」 |
「해피니스 컬렉터」, 「문라이트 멜로디 테이머 베티」, 「카드딜러 재클린」, 「마스크 매지션 하리」 | 「드래곤 매스커레이드 하리」, 「도화마룡 루나틱 드래곤」 |
「죽지않는 사자 그르낫슈」, 「파팅 셰이드」, 「해적검사 콜롬바르」, 「밤안개의 흡혈의 나이트로제」 | 「몽환의 해적왕 나이트로제」, 「유령대왕 오바다이아」 |
V 스탠다드 - 클랜 파이트 구축 |
《링크 조커》 * 《링크 조커》를 선택한 파이터는 카드이름에 "Я" 문자를 포함한 <<링크 조커>>에 속하지 않은 카드도 덱에 넣을 수 있습니다. * 《링크 조커》를 선택한 파이터의, 카드 이름에 "Я" 문자를 포함한 다른 클랜에 속한 카드는, 원래의 텍스트와 아이콘을 상실합니다. (스킬 아이콘이나 기프트 아이콘이나 트리거 아이콘을 상실합니다.) <그 외> * V 스탠다드의 모든 클랜 덱 구축에 있어서, 아래의 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V 스탠다드에서 사용 가능한 특수 카드 |
P 스탠다드 - 클랜 파이트 구축 |
《로열 팔라딘》 * 《로열 팔라딘》을 선택한 파이터는 「블래스터 다크」 카드를 덱에 4장까지 넣을 수 있습니다. 《링크 조커》 * 《링크 조커》를 선택한 파이터는 카드이름에 "Я" 문자를 포함한 <<링크 조커>>에 속하지 않은 카드도 덱에 넣을 수 있습니다. * 《링크 조커》를 선택한 파이터의, 카드 이름에 "Я" 문자를 포함한 다른 클랜에 속한 카드는, 원래의 텍스트와 아이콘을 상실합니다. (스킬 아이콘이나 기프트 아이콘이나 트리거 아이콘을 상실합니다.) 《클레이 엘리멘탈》 * 「네온 기제」를 메인 덱에 넣고 있는 파이터는, 사용하고 있는 클랜에 관계없이 <제로스 드래곤>을 G 덱에 넣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