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늄

(♥ 0)

[ 펼치기 · 접기 ]

상징The Golden State (별명) · 유레카 (모토) · I Love You, California (주가州歌) · 세쿼이아 · 캘리포니아불곰
역사역사 전반 · 골드 러시 · 캘리포니아 공화국
정치정치 전반 · 행정구역
경제경제 전반 · 실리콘밸리
문화할리우드 · 스포츠 · 서부 힙합
교통BART ·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 리치몬드-밀브레선 · 메트로링크 · 샌프란시스코 시영 철도 · 샌프란시스코/대중교통 · 알타몬트 코리더 익스프레스 · 칼트레인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 ·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공사중)
지리<colbgcolor#B71234> 지리 전반지리 전반 · 타호 호 · 요세미티 국립공원 · 모하비 사막 · 데스밸리 국립공원 · 조슈아 트리 국립공원
주요도시로스앤젤레스 광역권(로스앤젤레스 · 롱비치 · 어바인 · 애너하임 · 인랜드 엠파이어) · 베이 광역권(샌프란시스코 · 산호세 · 오클랜드)
새크라멘토 · 샌디에이고 · 프레즈노 · 베이커즈필드 · 산타바바라
교육캘리포니아 대학교 (UCB · UCLA · UCSB · UCD · UCR · UCSD · UCSF · UCI · UCSC · UCM)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캠퍼스 목록)
USC · 스탠퍼드 대학교 · Caltech · 클레어몬트 대학교 · 라번 대학교 · 로마린다 대학교 · 미네르바 대학교 · 산타모니카 대학교 · 산타클라라 대학교 · 샌디에이고 대학교 · 샌프란시스코 대학교 · 샌프란시스코 음악원 · 아카데미 오브 아트 · 웨스트몬트 칼리지 · 채프먼 대학교 · 캘리포니아 침례 대학교 · 퍼시픽 대학교 · 퍼시픽아메리칸 대학교 · 페퍼다인 대학교
인물출신 인물들
인구인구
여담여담





주기율표
[ 펼치기 · 접기 ]

족{{{#!html <div style="text-align:left">주기}}}
123456789101112131415161718
1H He
2Li Be B C N O F Ne
3Na Mg Al Si P S Cl Ar
4K Ca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Ga Ge As Se Br Kr
5Rb Sr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In Sn Sb Te I Xe
6Cs Ba (란)Hf Ta W Re Os Ir Pt Au Hg Tl Pb Bi Po At Rn
7Fr Ra (악)Rf Db Sg Bh Hs Mt Ds Rg Cn Nh Fl Mc Lv Ts Og
(란)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악)Ac Th Pa U Np Pu Am Cm Bk Cf Es Fm Md No Lr
범례
배경색: 원소 분류

밑줄: 자연계에 없는 인공 원소 혹은 극미량으로만 존재하는 원소로, 정확한 원자량을 측정하기 어려움.
글자색: 표준 상태(298 K(25 °C), 1기압)에서의 원소 상태, ◆ 고체 · ◆ 액체 · ◆ 기체
관련 문서: 확장 주기율표






98Cf
캘리포늄 / 칼리포르늄
 | 
Californium
분류악티늄족상태고체
원자량251.080밀도// g/cm3
녹는점900 °C끓는점1470 °C
용융열// kJ/mol증발열// kJ/mol
원자가//이온화에너지// kJ/mol
전기음성도//전자친화도// kJ/mol
발견UC 버클리{{{#!html }}} (1950)
CAS 등록번호7440-71-3
이전 원소버클륨(Bk)다음 원소아인슈타이늄(Es)







파일:californium.png

Californium
악티늄족 원소의 일종으로, 원자번호 98번.
1950년, UC 버클리에서 사이클로트론을 사용해 퀴륨헬륨 이온을 충돌시켜서 캘리포늄을 만들어냈다. 이때 사용된 퀴륨은 실험에 필요한 만큼의 양을 얻는 데 3년 이상 걸렸다고 알려져 있다. 역시 버클륨과 마찬가지로 최초로 만들어진 캘리포니아의 이름을 따왔다.

실용적인 용도가 있는 원소 중 원자번호가 제일 크다. 아인슈타이늄부터는 실용성을 따질 수 있는 충분한 수명을 지닐 정도의 양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 캘리포늄-252는 1μg당 237만개의 중성자를 내뿜는 성질을 살려 원자로를 기동할 때의 중성자원으로 이용된다. 쉽게 말해 원자로용 번개탄.[1] 이러한 성질은 의학, 항공기 균열, 원자로, 가속기 균열 등 장비 균열, 고급 합금의 균열과 부실 검사에도 이용되고 있다.

1g당 약 7경 원의 가치를 가진 반물질에 이어 세계에서 가장 비싼 물질 2위로 소개되기도 하였다. 사실 3위다 과거 1g 당 약 1조 원으로 판매되기도 했으나 2012년 기준 97%나 싸져서 1g 당 308억원에 불과(?)하다. 게다가 어차피 μg 단위로 판매되는데다가 다른 중성자원에 비해 사용량도 적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1μg 당 3만원 정도의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이 가능하다.

원자로에서 캘리포늄-249가 캘리포늄 동위체 중에서 가장 많이 생성된다. 이유는 퀴륨-248이 중성자를 흡수하면 퀴륨-249가 되고 버클륨-249가 된다. 버클륨-249는 반감기가 330일이나 되기 때문에 중성자를 흡수하면 버클륨-250이 되고 캘리포늄-250으로 붕괴한다. 버클륨-249가 비핵분열성 동위체라는 점이 바로 캘리포늄-252가 가장 많이 생성될 수 있는 원인이 된다. 두번째는 버클륨-249가 붕괴하여 캘리포늄-249가 생성되는데 핵폐기물을 보관중인 상황에서 캘리포늄-249가 생성되게 된다.

캘리포늄-251은 핵분열성 동위체로 반감기는 900년이나 된다.
캘리포늄-252도 역시 핵분열성 동위체이다. 그 다음 동위체인 캘리포늄-253도 핵분열성 동위체이기 때문에 캘리포늄-252의 자발핵분열로 인해 튀어나오는 중성자로 캘리포늄-253도 발견되며, 아인슈타이늄-253도 발견된다.

한때 "소련이 냉전중 임계질량이 낮은 캘리포늄을 이용한 원자 총알을 양산했다"라는 도시전설이 전해졌지만, 이 원소의 비용을 생각해보면 날조에 가깝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21 00:03:12에 나무위키 캘리포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반감기가 짧아 7~8년이면 새걸로 갈아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