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세어 다크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프로토스의 전략이다. 커세어 다템, 커닥 등으로도 불리며, 주로 불리는 이름은 커세어 다크. 직역하면 해적선 암흑이 되긴 하지만 해적선은 스타크래프트 2 섬멸전에서 제외되어서 더 이상 쓸 수 없다.[1]


2. 스타크래프트 1[편집]


커세어와 더불어 다수 공발업 질럿부터 확보하는 커공발과는 달리 커세어를 생산함과 동시에 최대한 빠르게 템카이브를 올려 빠른 타이밍의 다크 템플러로 저그를 압박하며 추가 멀티를 가져가는 전술로, 이 과정에서 저그가 대처를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역으로 저그의 오버로드를 싸그리 밀어버리고 다크 템플러로 승리를 가져갈 수 있다. 커세어는 뮤탈과 러커에 대한 충분한 카운터가 되고, 공업이 된 다크 템플러는 히드라리스크를 두 방이면 잡을 수 있고 후속 하이 템플러또한 빠르기 때문에 히드라 역러시로 카운터하는 것또한 힘들다는 점을 노리는 전술.

초기 커닼은 여기에 아예 공발업 질럿과 셔틀까지 추가해 저그를 다방향 견제로 괴롭히면서 게임을 끝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기존 프로토스를 레어 삼지창, 즉 땡히드라 - 러커 조이기 - 뮤탈이라는 삼지선다를 통해 괴멸시켰던 마레기를 역으로 농락할 수 있었던 원동력. 다수 커세어 운영으로 러커와 뮤탈을 봉쇄하고 최적화 개념이 보급되지 않았던 시절이라 저그가 짜내서 뽑아봐야 수가 적은 히드라 정도는 커세어와 다크로 농락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카운터 또한 곧 발견되었는데, 바로 5해처리 히드라이다. 더블넥 커세어 다크의 핵심은 다수 커세어와 다크를 통해 저그를 괴롭히는 것에 있는데, 커세어가 쌓이기 전에 역으로 소수 스커지로 커세어가 모이는 것을 견제하며 다크가 있든 말든 배를 왕창 짼 뒤 스포어 한 둘 박아주는 것으로 혹시 모를 커세어 다크 한 방을 방지하면서 쏟아내는 히드라 웨이브로 커세어고 다크고 질럿이고 뭐고 히드라 물량으로 덮어버리는 대처법이다.

그로 인하여 더블넥 커세어 다크는 거의 사장됐고, 요즘 쓰이는 커세어 다크는 테크가 빨라서 후속 템플러 충원이 빠르고, 오버로드 속업과 다수 히드라가 쌓이기 전까지 저그가 센터에 튀어나오기 어렵다는 점을 노려 빠르게 3멀티를 가져간 뒤 드라템에 힘을 싣는 운영 빌드로 쓰인다. 단 이마저도 저그가 오버로드를 몰래 숨겨놓았다가 데려오는 플레이에 굉장히 취약하고, 서로 배를 쨀 시간을 잔뜩 주는 특성상 저그도 드론을 왕창 째면 딱히 유리할 것이 없고 3멀티를 활성화하는 동안 센터가 잡히면서 러커 조이기를 당하면 기껏 얻은 이점이 모조리 날아가기에 커공발, 즉 공발업 질럿을 통해 저그를 압박해 히드라와 성큰을 강요해 배를 최대한 못 째게 한 뒤 템플러를 섞어주면서 질템으로 센터 주도권을 잡는 플레이가 훨씬 보편적으로 쓰이게 되면서 거의 보이지 않는 전략이 되었다.

퀸도 역시 다크 템플러와 셔틀의 카운터이다. 다크 템플러나 셔틀에 패러사이트 걸어 두면 동선 경로 훤히 보이므로 저그가 이에 맞춰가면서 버로우 히드라로 활용해서 걷어내기도 한다. 레이트 메카닉과 사이좋게 사장된 원인.


커세어 다크의 기원은 커세어로 저그의 체제를 파악할 수도 있고, 일단 다크 템플러가 빨리 나오면 오버로드가 초반에 속도 업그레이드가 되어 있지 않으면 공격을 못하고, 따라서 쉽게 앞마당을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템플러 아카이브가 있기 때문에 이후 하이 템플러 확보도 쉽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후 등장한 3해처리 레어 체제를 상대하기에는 워낙 불안했기 때문에 오랜 수명을 갖지 못하고 사장되었다. 오히려 저그 대 토스전 전략이 목동 저그 러쉬였던 시절, 꾸역꾸역 멀티 한두 개 먹고 버티는 데에 성공한 프로토스가 카운터 운영으로 커세어 다크를 쓰면서 시간을 벌고 템플러/아칸을 모으는 데에 활용하는 정도.

So1 스타리그 2005 2005년 8월 19일
16강 D조 3경기 (알포인트) 오영종 vs 홍진호


So1 스타리그 2005 2005년 8월 12일
16강 D조 2경기 (네오 포르테) 오영종 vs 김준영


후에 '사신 토스'라고 불리우는 오영종So1 스타리그 2005에서 부활시켰고, 이후 더블넥 커닥으로 새롭게 최적화되었다.

물론 이후 저그측도 가만히 있던건 아니라서 3해처리 레어 이후의 빌드 오더가 5~6해처리에서 히드라 덴을 건설하면서 심시티를 발는 것으로 개량되어 먼저 오는 정찰 커세어는 스커지로, 다크 템플러는 히드라리스크를 5,6기 단위로 나눠서 막을 수 있고, 혹여나 일꾼 견제를 당해도 다수의 해처리에서 순식간에 드론을 충원해버리기 때문에 견제가 무용지물로 만드는 식으로 더블 넥서스 기반의 커세어 다크, 커세어 리버를 모두 파해했다. 후에는 3해처리 히드라까지 등장하였다.

이 때문에 프로토스는 커세어를 소수만 뽑고 빠르게 물량을 폭발시켜 발업 질럿 찌르기 이후 커세어 다크를 콤보로 섞는 전술을 주로 사용하는 식으로 바뀌었다. 공발업질럿으로 사실상 저그의 제3멀티나 앞마당은 어느정도 파괴되어있고, 뒤이은 커세어+다크 템플러 콤보를 막기가 매우 힘들다. 다만 이 전술은 김택용급의 빠른 화면 전환과 멀티 태스킹, 그리고 최적화된 빌드가 받쳐줘야 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동영상-스타크래프트 갤러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동영상도 제작되었다.


3. 스타크래프트 2[편집]




2편의 섬멸전에서는 해적선이 빠졌기에 커닥은 불가능하지만[2] 공허의 유산 캠페인에서는 해적선을 사용할 수 있다. 2편에 등장하는 해적선은 1편보다도 더 강력한 위력을 과시하는데, 일단 아둔의 창 패널 스킬을 통해 지원을 하는 건 기본에, 암흑 기사가 무적 상태가 되어 지정 범위에 있는 적들을 무작위로 공격하는 그림자 격노가 생겼으며, 해적선의 분열망은 자동 시전 가능에 지상 아군에게는 그 안에서 멀쩡히 공격도 가능하게 버프, 거기에 기본 공격에 경장갑 추가 피해도 있다. 아주 어려움에서도 이 두 유닛을 중심으로 몇 몇 보조 유닛을 조합해주면 전 종족전 만능 카드가 된다.

해적선과 암흑 기사가 둘 다 네라짐 소속이기 때문에 협동전에서는 보라준이 커닥 빌드를 사용할 수 있는데 협동전 특유의 스펙 업과 기술 추가로 인해 종족 전쟁 시절이나 공허의 유산 캠페인보다 훨씬 더 안정적인 동시에 훨씬 더 강력해진 빌드이다.

암흑 기사의 경우 영구 은폐는 물론이고 그림자 격노 또한 암흑 성소에서 따로 연구를 해줘야하지만 온전히 있다. 거기에 탈다림 소속 은폐 전사인 피의 사냥꾼의 기술 공허 정지장과 암흑 기사 중 제라툴만 쓸 수 있었던 점멸을 사령관 레벨 6을 찍으면 암흑 성소에서 업그레이드하여 사용 가능하다. 사령관 특성상 암흑 기사에게 이득이 되는 특성으로 가득인데, 레벨 1 특성이 암흑 기사의 보호막량 증가와 생산 가스 감소이며 레벨 7 특성인 은폐 유닛의 보호막 회복 속도 5배와 레벨 13 특성인 아군 은폐 유닛 사망시 체력을 1 남기고 연결체로 귀환으로 안정성도 높아지고, 레벨 15 특성으로 은폐 유닛의 공격력 +15%까지 들어가 막강한 성능을 발휘한다.

해적선은 기본 성능 자체는 캠페인에서 그대로 가져왔고, 분열망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성능을 생각하면 이 정도 핸디캡은 있어야하는 수준. 게다가 보라준 레벨 12를 찍으면 해적선 영구 은폐 연구가 해금된다. 결국 위에서 설명한 은폐 보호막 회복, 은폐유닛 긴급 귀환, 그리고 +15% 대미지 버프도 일단 은폐 연구만 완료되면 해적선도 고스란히 받을 수 있다. 이전에는 보라준 특성 상 물몸에 은폐기능도 없었던 예언자가 유일한 탐지기라 탐지 관리가 매우 까다로웠으나 이제 예언자도 영구 은폐 업그레이드의 영향을 받도록 패치되어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게 되었다.

한가지 문제는 떡장갑 공대공 유닛들인데 혼종 네메시스, 전투순양함, 폭풍함, 우주모함이 있다. 이 경우엔 공허 포격기 몇기를 붙이거나 그냥 풀업 해적선의 0.5초마다 10뎀지로 때려잡기도 한다. 스플래시 덕에 주위에 있는 경장갑은 0.5초당 20뎀지를 맞고 터져나간다. 높은 난이도에서도 먹히지만 3줄이상 모여야 그나마 수월하다.

다만 공허 출격에서 로키는 이 정도 물량이 모여도 힘드니 블랙홀에 넣던가 공허 포격기를 섞어서 커닥에 발맞춰 가는게 좋다. 해적선을 많이 뽑을 생각이 아니라면 암흑 집정관을 이용해 떡장갑 공중유닛을 정신지배 해다가 쓰는 방법도 있다. 다만 복수자 풀 중첩 걸린 혼종 네메시스는 때려잡아야 하는데 알다시피 복수자가 고연사 유닛에게 극상성을 보이는 돌연변이원인지라 이 경우엔 동맹에게 맡기거나 블랙홀에 넣고 비 오는 날 먼지 나도록 주구장창 때려서 잡을 수밖에...


4. 여담[편집]


전략의 주축인 두 유닛엔 공통점이 있는데 브루드 워에서 신 유닛으로 등장한 암흑기사단, 곧 네라짐 유닛들이다.[3] 다크 템플러의 경우는 오리지널에서 캠페인 전용 유닛으로 첫등장했지만 밀리 등장은 커세어와 함께 브루드 워에서 이루어졌다. [4]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2:19:24에 나무위키 커세어 다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허의 유산 캠페인에서 재등장해서 이 때 한정으로 커세어 다크를 쓸 수 있다. 암흑 기사는 시전 중 미사일형 공격을 그냥 무시하고 5연타를 날리는 스킬을 얻고 해적선은 분열망이 아군에게 적용되지 않는다는 엄청난 버프를 먹은 덕에다 둘 다 자동시전이 가능해서 브루드워의 커세어 다크가 돌아온 격이 됐다. 꼭 암흑기사가 아니더라도 원거리 유닛인 거신같은 유닛과 섞어 써도 괜찮다. 협동전 임무에서 보라준을 선택했을 때도 사용이 가능하며 15레벨이 되면 오히려 캠페인에서보다 강하다![2] 비슷한 용도로 불사조 암흑 조합은 있다. 다만 불사조는 경장갑 섬멸 유닛인지라 중장갑인 대군주를 그리 빠르게 잡지는 못하며 빠른 타이밍에 압도적인 물량으로 밀어붙이는 바퀴에 취약하다.[3] 다크 아콘 없이 운영되는 경우가 많지만, 다크 템플러도 많겠다 합쳐서 피드백과 마엘스트롬을 응용하는 플레이를 한다면 완전한 네라짐 조합이 된다.[4] 여담이지만 설정상 이들이 합류한 이유가 프로토스를 저그 군단의 위협에서 구하기 위함인데 본의 아니게 저프전 전용 전략으로 원작 재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