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티누스의 기증

덤프버전 :

분류

파일:sylvesterconstanatine.jpg
교황 실베스테르 1세와 콘스탄티누스 대제.

1. 개요
2. 상세
2.1. 실체



1. 개요[편집]


Constitutum Donatio Constantini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칙령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또는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서는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가 교황 실베스테르 1세에게 작성해주었다는 칙령서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8세기 즈음에 위조되어 등장한 위서로, 교황과 황제의 대립이 한창 격화되던 시기에 교황의 우위를 주장하는 주요 근거로 사용되었으나 르네상스 시기에 그 정체가 밝혀지며 효력을 상실했다.

2. 상세[편집]


문서의 내용은 콘스탄티누스가 자신이 제국의 동방을 관할하고 서방은 실베스테르 1세와 그 후임들에게 맡긴다는(기증한다는) 내용이다. 문서에는 문둥병을 낫게 해주고 회심하여 기독교인이 되게 해준 것에 대한 보답으로 교황에게 서방 제국을 기증했다고 되어 있다.

8세기 중엽 교황 스테파노 2세와 프랑크 왕국의 궁재 피피누스 3세와의 킬데리크 3세 축출을 위한 회담이 있었는데, 스테파노 2세는 피피누스 3세의 찬탈을 지지해주는 대가로 교황령을 받으며 명목상 교황의 우위를 확인받았다. 이때 이 회담의 근거로 내세운 것이 바로 이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이다.

이 문서의 내용을 근거로, 중세 내내 교황은 서방과 동방 황제로 대표되는 세속권력보다 자신의 종교권력이 더 위에 있음을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서방 황제는 누구라도 교황보다 우위에 설 수 없으며, 철저하게 교황에 의해 옹립되거나 교체되는, 즉 교황의 수하에 불과한 자리였다. 다른 사람도 아니고, 무려 그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작성했다고 하니, 로마 황제를 칭하는 프랑크 왕, 이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들은 이 문서의 효력을 의심할 수 없었고, 의심해서도 안 됐다[1].

하드리아노 4세프리드리히 1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서방 세계와 그에 달린 제관은 모두 교황의 소유이고, 단지 세속 통치자인 황제에게 대리자로서 위임한 것뿐이라고 주장했다.

이 문서는 서방 제국에 대한 로마 교회의 우위를 지지해주는 증거였지만, 로마 교회가 아닌 동방 정교회에서도 성직자들은 동방 황제와 이권이 충돌할 때마다 이 문서를 내밀었다. 즉 서방과 동방을 막론하고 중세 내내 종교권력이 세속권력의 위에 있다는 것을 주장하는 문서였던 것이다.

중세 말까지도 문서의 효력은 의심받지 않았는데, 심지어는 교황에 적대적인, 비판적인 사람들조차도 진위를 의심한 사람은 없었고 대신 콘스탄티누스를 비판했다. 특히 단테신곡에서 이처럼 말하기도 했다.

"아! 콘스탄티누스여, 진정으로 큰 악은 그대의 개종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가장 부유한 사제가 그대에게서 받은 그 선물에게서 나왔도다!"

--

《신곡:지옥편》xix. 115~117쪽


하여간 이렇게 중세 말 교황청과 종교계의 부패로 혼란이 극에 달할 무렵에는 이 문서를 작성해주었다는 콘스탄티누스의 행보에 대해 안타까워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2.1. 실체[편집]


그러나 위서의 실체란 결국 밝혀질 수밖에 없는 법이었다. 르네상스 시기가 도래하고 많은 인문학자들의 고전에 대한 이해가 넓어지자, 차츰 이 문서의 실체를 밝혀내려고 시도하는 자들이 나타났는데, 결국 로렌초 발라에 의해 이 문서가 위서였다는 게 밝혀지며 효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15세기, 발라는 이 문서에 쓰인 라틴어가 실제로 콘스탄티누스가 사용했을 4세기 경의 라틴어와는 다르다고 주장했다. 그도 그럴 것이, 실제 문서가 작성된 8세기 경에는 프랑크 왕국이 공식 언어로 라틴어를 사용했을 시기인데, 문제는 이 라틴어가 진짜 로마인들이 쓰던 그 언어가 아니라, 온갖 게르만어 및 그외 다수 기층언어들과 뒤섞이며 로망스어군으로 분화를 시작한, 즉 불가타 라틴어라는 것이었다.

문서를 조작할 당시의 언어학, 인문학적 지식으로는 자기들이 라틴어랑 다른 언어를 쓴다는 인식이 있을 리 만무했고[2], 그래서 고증도 제대로 하지 않고 대충 자기들 생각에 예스럽다 싶은 표현을 아무렇게나 쓴 것이다[3]. 어쨌거나 이것도 라틴어니까 실제 로마 시대의 언어와도 다르지 않으리라고 생각한 것이었다.

특히나 8세기의 라틴어는 그래도 라틴어스럽게 보이는 형태는 남아있었던 탓에[4] 중세의 언어학, 역사학 수준으로는 이러한 차이를 알아차리기 어려웠고, 그렇게 중세가 끝날 때까지 아무에게도 의심받지 않은 것이었다.

사실 그때에도 좀만 신경써서 라틴어에 능한 지식인을 동원한다면 진짜로 로마 시대에 쓰인 라틴어를 재구하는 건 어렵지 않았지만, 아무래도 문서를 위조한 사람이 생각이 짧았는지 대충 쓰고도 이런 식으로 밝혀지리라곤 생각하지 못한 듯하다. 실제로 문서는 700년 가까이 진실을 감추는 데 성공했으니 어느 정도는 그런 생각이 맞은 셈이다.

교황청은 발라의 폭로에 분노해 이 주장을 부정하고 그의 책을 금서로 지정했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사람들은 이미 이 문서가 위조라는 걸 알아버렸고, 금서 조치도 16세기에 풀렸다. 발라 본인은 에우제니오 4세의 분노를 사 이단으로 판결받고 화형될 뻔했지만 사면되었고, 후임 교황 니콜라오 5세에 의해 교황청의 수사학 교수가 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9:28:09에 나무위키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동로마 황제의 경우 로마에 여전히 영향력을 끼치던 5~7세기에는 이런 문서 자체가 존재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언제나 황제가 교황보다 우위에 있었으며, 애당초 교황은 황제가 임명하는 자리였다. 이 시기에는 동로마 황제가 마음에 들지 않는 교황도 맘대로 축출하고 갈아치우곤 했는데, 이후 이 문서가 나타나고 동로마 제국도 이탈리아를 위시한 서방 영토를 잃어버리며 영향력을 상실하자 둘은 점차 각자의 길을 걸어가기 시작했다.[2] 그도 그럴 것이, 프랑크 왕국의 본토나 다름 없는 갈리아 지방의 사람들은 로마에 정복된 후로 쭉 라틴어만 썼다. 중간에 지배층이 바뀌어 외래어가 좀 들어왔을지언정 자신들의 언어는 쭉 라틴어였기 때문에, 프랑크족도 피지배층의 언어를 받아들이면서 그게 라틴어가 아니라고는 생각할 수 없었다.[3] 한국어로 비유하자면, 중세 한국어로 문장을 쓰는데 정작 실제 당시에 쓰였을 문체나 문법은 지키지 않고 그저 예스럽게 보이도록 옛한글이나 하소서체 등을 남발한 거라고 보면 된다.[4] 스트라스부르 서약 문서를 함께 보면 이해하기 쉽다. 스트라스부르 서약은 이 문서보다 1세기나 더 늦게 쓰였는데도 여전히 조금 이상하긴 하지만 '라틴어스러운' 모습은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