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즈하몬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종족 특성
2.1. 상세 정보
3. 관련 디지몬
3.1. 쿠즈하몬 무녀 모드
4. 작중 묘사
5. 여담


1. 개요[편집]


クズハモン KUZUHAMON

파일:쿠즈하몬.png

디지몬 시리즈의 등장 디지몬.


2. 종족 특성[편집]


  • 세대: 궁극체
  • 타입: 신인형
  • 속성: 데이터
  • 소속 필드: 나이트메어 솔저스
  • 이름의 유래: 쿠즈노하
  • 필살기
    • 태장계만다라: "석장"으로 사기를 제거하는 정화 결계를 치는 기술.
    • 리번강: 허리의 관호로 적을 공격하는 기술.


2.1. 상세 정보[편집]


여우계 디지몬이 오랫동안 살아 변화해 사람의 모습이 되었다 전해지는 신인형 디지몬. 샤크라몬은 그 중에서도 고위의 개체만이 진화할 수 있다고 말해지며 보통은 쿠즈하몬으로 진화한다.[1] 신도, 음양도, 수험도 등의 고대 마법에 정통하다. 벨트의 통 안에는 관호(대롱여우)가 한 마리밖에 없고[2] 이 관호를 사역해 공격이나 정보 수집 등에 이용할 수 있다.

특기는 허리의 관호로 적을 공격하는 "리번강(裏飯綱/우라이즈나)". 필살기는 "석장"으로 사기(邪気)를 제거하는 정화 결계를 치는 "태장계만다라(胎蔵界曼荼/타이죠우카이 만다라)".[3]


3. 관련 디지몬[편집]



3.1. 쿠즈하몬 무녀 모드[편집]


クズハモン:巫女モード KUZUHAMON:MIKOMODE

파일:쿠즈하몬MM.png

파일:external/wikimon.net/Kuzuhamon_%28miko%29_collectors.jpg

  • 세대: 궁극체
  • 속성: 데이터
  • 타입: 신인형
  • 필살기
    • 태장계만다라: "석장"으로 사기를 제거하는 정화 결계를 치는 기술.
    • 리번강: 허리의 관호로 적을 공격하는 기술.

쿠즈하몬이 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봉사를 행하며 신의 의지를 행할 때의 모습. 무녀 형태로 싸우는 일은 적지만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힘이 강해졌다.


4. 작중 묘사[편집]



4.1. 디지몬 고스트 게임[편집]


파일:디지몬 고스트게임 쿠즈하몬 이미지1.jpg
파일:디지몬 고스트 게임 쿠즈하몬 2.jpg

56화에서 첫애니화. 성우는 아사노 마유미 / 전해리[4].

처음에는 무녀 모드로 등장. 인간들의 마음 자체가 추악하고 더럽다며[5][6] 정화의 의식을 치르기 위해 부정을 뽑아내어 사람들을 목각 인형으로 변한 뒤 자신의 정화의 의식을 준비하는데, 이 부정이란 게 암만 봐도 사람의 영혼이다. 게다가 이로 인해 목각인형이 된 사람들은 사실상 좀비나 다름없게 된다. 심지어 이 부정을 불태우고 마지막에는 자신마저 불태운다는 걸 보면 그냥 화형이다.

제일 먼저 이청솔을 비롯한 마을 사람들을 전부 잡아들이고, 대응을 하려던 문유리마저 잡아들인 뒤 혼자 남아있던 은하준과 주역 디지몬 셋의 앞에 나타나 하준까지 잡아 영혼을 빼려한다. 카노바이스몬에 의해 하준이 풀려나긴 하지만, 본래 모습으로 변한 뒤 싸우기 시작한 본격적인 전투에서는 궁극체답게 시종일관 카노바이스몬을 압도하는 모습을 보인다.[7]

하지만 하준과 카노바이스몬의 "이게... 우리들의... 대답이다!!!"라고 동시에 외치면서 서로 마음이 통해[8] 시리우스몬으로 진화하자 놀라지만, 잠시 후 '리번강'으로 공격을 시도하는데 코스모 블레이드에 베여 없어지고 직후 시리우스몬이 베려하자 석장으로 막고서 "그 진화가 대답이라는 것이냐?"라고 질문을 하고 이에 "그렇다! 우리는 부정한 존재가 아냐!"라는 대답을 듣고 첫 진화 보정임에도 의외로 쉽게 밀리지 않고 일진일퇴의 공방을 보이더니 "그렇다면 받아 보아라!"라며 결국 '태장계만다라'를 발동한다. 거기에 시리우스몬은 포톤 블래스터를 쓰지만 위력의 차이 때문[9]인지 손상 하나 못 입히고 이를 본 쿠즈하몬은 직후 "태장계만다라는 온갖 부정을 정화한다. 정화되는 기술밖에 쏠 수 없다니 역시 너희는 부정!"이라고 더러움이라고 다시 1번 확고하게 인식하고 태장계만다라를 날리지만 이에 '브레이퀘이사'를 사용해 부딪히다가 금이 가더니 부서져 폭발해 틈이 생기고, 그 순간을 놓치지 않은 시리우스몬에게 실비아[10]의 칼로 석장이 일도양단으로 두동강나자 "말도 안 돼! 더러움이 아닌건가?.. 아니, 인간과의 교류가 이 힘을 낳았다는 건가."라고 말한 뒤 자신의 패배를 인정한 뒤 의식을 중단하고 다음에 또 보자고 한다.[11] 여담으로 덩치에서는 시리우스몬의 2~3배나 될 정도로 크다.

이때 "이것도 우리를 이 세계(하준 일행이 사는 세계)로 보낸 그 녀석의 계산이라면..."이라면서 조종한 흑막이 있다는 떡밥을 남긴다. 다만 그의 반응을 봐서는 부정적보다는 긍정적인 방향에 가깝다.

여담이지만, 하준 측이 최초로 물리적으로 싸운 궁극체 디지몬이다.[12]

65화에서 재등장. 이번에는 은하준 일행을 도와주기 위해 나타난다. 디지털 월드로 보내주기 위해서 도와준다. 하지만 자신의 혼자힘으로는 디지털 게이트를 열 수 없기 때문에 하준 일행의 디지바이스의 힘을 빌어 연다. 하지만 자신도 그렇게까지 오랜 시간동안 디지털 게이트를 열 수가 없다. 가벼운 손짓으로 디지털 게이트를 연 리리스몬의 강함을 엿볼 수 있는 부분.

4.2. 디지몬 RPG[편집]


파일:쿠즈하몬.jpg
* 쿠즈하몬
성장단계 : 궁극체 (초궁극체)
원소속성 : 빛
속성 : 데이터
스텟 : 힘3 / 민첩4 / 건강1/ 지능2
F2스킬 : 역반강술 (원거리 단일)
F3스킬 : 태장계 만다라 (원거리 전체)
특성 : 더블어택, 예감, 바람의보호

전용특성 : 요호
효과 : 모든 공격시 남은 HP에 비례하여 100% 확률로 데미지가 증가한다. (보유 HP 20%당 6% 증가) (2023년 1월 25일 10.37 업데이트 기준)
(공명 발동시, 전용특성 요호의 보유 HP당 데미지 증가가 4% 추가 상승한다.)

파트너 레나몬의 초궁극체다.
게임 내에서는 '쿠즈하' 또는 '쿠좌'로 줄여부르는 경우가 있다.
보통 비슷한 능력치의 로제몬 버스트 모드와 자주 언급되는 디지몬이다. (일종의 라이벌 관계에 가깝다. 특성과 전용특성까지 비슷하기 때문.)
과거 '로제몬 버스트 모드'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건강 스텟과 낮은 지능은 쿠즈하몬 유저들에게 상당히 아쉽게 느껴지는 부분이었으나,
2021년 12월 17일 9.79 업데이트때 드디어 스텟이 재조정 되었다.
패치 전엔 게임 내에서, 또는 공식 카페에서의 건의글을 보면 쿠즈하몬이 힘2/민첩4/건1/지3 만 되어도 좋겠다고하는 의견들이 많은 편이었다.
비록 유저들이 예상하던 높은 지능 부분은 이뤄내지 못했지만, 그 대신 힘 부분이 상향된 힘3 / 민첩4 / 건강1/ 지능2 가 되면서 매번 논란이 되던 건강2 의 저주(?)에서 해방되게 되었다.
쿠즈하몬의 장점은 단일 원거리 공격 회피 특성인 '예감'과, 범위 원거리 공격 회피 특성인 '바람의 보호' 두개를 다 갖고 있어서 던전 활동시 자주 먹게되는 딸기맛 사탕X[13] 버프가 발생하면 모든 원거리 공격에서 안전해지는 점이 있고, 높은 민첩으로 인해 공격 턴을 빨리 잡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대부분의 강력한 적들(던전 내 보스 포함)은 원거리 공격기를 보유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거의 모든 타입의 원거리 공격에서 안전할 수 있는 쿠즈하몬의 특성은 상당히 좋은 편이다.

제작 방법은 레나몬이 41레벨 이상 일때 '데이터 초궁극체 교환권'을 사용하면 '쿠즈하몬'으로 특수 진화가 가능하다.




<패치 변화 역사>
*2018년 12월 6일 8.21 업데이트때 전용 특성 '요호', 그리고 '파트너 초궁극체 저장 시스템'이 추가 되었다.

*2021년 12월 17일 9.79 업데이트때 스텟과 전용특성 수치가 재조정 되었다.
-스텟-
(기존 : 힘2 / 민첩4 / 건강2/ 지능2 -> 변경 : 힘3 / 민첩4 / 건강1/ 지능2)
-전용 특성-
(기존 : 전용특성 요호의 보유 HP당 데미지 증가가 3.4% 추가 상승한다 -> 변경 : 전용특성 요호의 보유 HP당 데미지 증가가 4% 추가 상승한다)


5. 여담[편집]



[1] 샤크라몬의 흑화 버전 같은 외양을 하고 있지만 설정부터가 뛰어난 여우계 디지몬들은 샤크라몬으로 진화한다고 되어 있다.[2] 샤크라몬은 4마리.[3] 디지몬 고스트 게임에서 리번강은 여우모습의 불꽃을 날리는걸로 묘사되었고 태장계만다라는 원형모양의 결계모양을 만들어서 적의 공격 흡수한뒤 돌려주는 기술로 묘사되었다.[4] 아줌마스러운 원본과 달리 더 여성스러우면서도 젊게 나왔다. 그래서인지 원본에 비해 위압감이 떨어지는 느낌이 드는 편.[5] 문제는 이 "더러움"이라는 게 굉장히 사소하고 쩨쩨하다. 문유리의 경우 6살 때 하나만 먹게 되어있는 과자를 3개 먹었던 것, 9살 때 도서관의 책을 더럽힌 채 반납, 친구랑 약속한 거에 18분 지각, 수업 시간에 존 거, 쓰레기를 잘못 분리수거한 것 등등...... 심지어 일자까지 집어낸다.[6] 애니 내에서도 이게 얼마나 어이가 없는지 히로도 "디지털 월드가 청정하고 인간이 부정하단 건 너무 일방적인 주장이야!"라는 도저히 반박할 수 없는 명확한 사실을 정확하게 집어내면서 비판 및 반박했다. 실제로도 당장 감정을 느끼고 싶다면서 사람의 얼굴은 빼앗은 아수라몬과 오직 살생 수만을 위해 무고한 디지몬을 무려 '1000마리'씩이나 죽인 실즈드라몬, 그 '사소하고 째째하게' 무를 훔쳐 먹은 모노드라몬 2마리 등의 경우만 봐도 바로 답이 나온다. 특히 실즈드라몬의 경우는 동기만 봐도 알겠지만, 쿠즈하몬이 말한 인간의 "더러움" 따위하고는 비교 자체를 불허하는 악질이자 부정 그 자체다. 그런데, 쿠즈하몬은 무시하는지 이에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는다. 이후 등장한 레굴루스몬도 있지만 레굴루스몬은 메기드라몬하고 대등한 전투력을 가져서 일반 궁극체인 쿠즈하몬 따위가 어떻게 해볼 수 있는 수준의 존재가 절대 아니다. 오히려 더러움 정화한다는 명목하에 싸웠다간 순식간에 분해 및 먼지가 되어 소멸할 것이다. 오히려 시리우스몬으로 진화해 진 것이 행운인 셈. 그래도 이후 수습했고, 죽인 디지몬 수(3 ~ 4마리)도 당연히 비교하는 것 자체가 실례고 그마저도 이유가 있는 정상참작 여지가 있어서 실즈드라몬 따위보다는 훨씬 낫다.[7] 반대로 카노바이스몬이 할 수 있는 것이라곤 쿠즈하몬의 기술들을 자기 기술로 반이나 그 이상을 막는 것만이 고작이다.[8] 이때 옆에 있는 대답과 함께 빛이 생기는데, 그 빛으로 인해 하준을 묶고 있던 밧줄과 카노바이스몬을 붙잡고 있던 영혼 여우가 소멸됐다.[9] '태장계만다라'는 쿠즈하몬의 최대 필살기인데 반해, 시리우스몬의 '포톤 블래스터'는 필살기보다는 그냥 일반 기술에 가까워서 위력도 궁극체 대 궁극체로서 평범할 터라 안 통하거나 막히는 건 당연하다.[10] 건담 엑시아의 GN소드처럼 생긴 총검 무기.[11] 참고로 쿠즈하몬이 더 이상 싸운다고해도 승산이 없는 게 자기 주무기인 석장은 손상됐고, 시리우스몬은 완전체(미이라몬, 야타가라몬)와 싸워야했던 베텔/카우스감마몬 때와 달리 동등한 궁극체고 첫 진화 보정이 있기에 승부는 이미 정해져있다.[12] 피에몬의 경우는 인간인 유리하고 힘과는 무관한 카드 게임 승부로 승부했기에 물리적인 건 아니다. 거기다 해당 카드 게임은 순전히 운에만 맡기는 것이어서 굉장히 공정하다. 또한 당시 주역들은 완전체로만 진화하는 게 고작인데, 만약 궁극체인 피에몬이 물리적으로 싸웠다간 감마몬이 굴루스감마몬이나 레굴루스몬으로 진화하지 않는 이상은 당연히 짐으로써 고스트 게임이 이대로 완결날 게 뻔한 이유도 있다. 물론 쿠즈하몬과 마찬가지로 피에몬 입장에서도 레굴루스몬이 나타나지 않은게 다행일 수 있는 것이 66화의 내용을 생각하면 피에몬 입장에서 굴루스감마몬은 몰라도 레굴루스몬은 상당히 위험한 상대일 확률이 높다.[13] 60분간 특성발동률+5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05:56:32에 나무위키 쿠즈하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