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박급 호위함

덤프버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냉전 시기의 소련 해군 수상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12px-Naval_Jack_of_the_Soviet_Union.svg.png

[ 펼치기 · 접기 ]
전함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순양전함
크론슈타트급, 스탈린그라드급, 키로프급
순양함
순양함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프로젝트 65형 순양함|프로젝트 65형]], [[프로젝트 66형 순양함|프로젝트 66형]], [[프로젝트 84형 순양함|프로젝트 84형]], [[소형 경순양함 계획|소형 경순양함]], [[자이틀리츠(중순양함)|자이틀리츠]]배상, 어드미럴 마카로프배상, 케르치배상
미사일 순양함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프로젝트 1126형 순양함|프로젝트 1126형]], 크레스타급, 카라급, 키로프급, 프로젝트 1165형, [[프로젝트 1080형 순양함|프로젝트 1080형]], 슬라바급, 프로젝트 11960형, 프로젝트 11641형, 프로젝트 1293형
대잠 순양함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구축함
구축함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대잠 구축함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호위함
프로젝트 29형,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게파르트급 초계함|프로젝트 11661형]]
초계함
소형 미사일함 (МРК)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사란차급
소형 대잠함 (МПК)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소형 함포함(Мак)
야즈급
경비정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쥬크급, 스베틀야크급
모니터함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함포정
쉬멜급
어뢰정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대잠정
무레야급, S·O-1급
미사일 고속정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항공모함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오렐급]],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울리야놉스크급 항공모함|울리야놉스크급]]
상륙함
강습상륙함
[[프로젝트 11780형 강습상륙함|프로젝트 11780형]]
대형 상륙함(БДК)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프로젝트 778형
중형 상륙함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소형 상륙함(МДК)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공기부양정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LCU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기뢰함
대양 소해함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티아급, 프로젝트 923형, 고르야급
기본 소해함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연안 소해정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냐급, 프로젝트 10751형
정보수집함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추적유도함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통합보급함(ККС)
베레지나급
급유함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고속 및 특수급유함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급탄함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위그선
룬급
해양연구함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수로탐사함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건조 중 취소된 함선





파일:크리박-I급 호위함 란디.jpg
파일:Project_1135M_Pytlivyy_2009_G1.jpg
Сторожевые корабли проекта 1135 (1135М,11352,11353) «Буревестник»

1. 개요
2. 제원
3. 함생
3.1. 건조
4. 성능
5. 파생형
5.1. 크리박-I급
5.2. 크리박-II급
5.3. 크리박-III급
5.4. 프로젝트 11352형 호위함
5.5. 운용
6. 크리박급 호위함 목록
7. 기타
8. 둘러보기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프로젝트 1135형 부레베스트니크는 소련 해군이 건조하여 러시아 해군우크라이나 해군이 운용하는 호위함으로, NATO 코드명은 크리박급(Krivak-class)이다.

함명인 부레베스트니크(Буревестник)의 유래는 러시아어로 바다제비를 의미하며 대잠수함 교전을 고려한 대잠 호위함으로 설계되었다. 세부적으로 해군 운용 목적의 크리박-I/II급 및 해안경비대 운용 목적의 크리박-III급으로 나눌 수 있다.


2. 제원[편집]


크리박급의 제원

크리박-I급
크리박-II급
크리박-III급
Project 1135.2
기준 배수량
3,300 톤
만재 배수량
3,575 톤
추진
추진방식
COGAG
동력
2 x M-8k 가스터빈
(40,000마력)(부스트)
2 x M-62 가스터빈
(14,950마력)(순항용)
최대속도
32노트
작전반경
4,995 nmi (9,251 km)
승조원
200명
길이
123.5 m

14.1 m
흘수
4.6 m
전자장비
레이더
1 x MR-310A Angara-A/Head Net-C 대공/대수상 3차원 레이더
MR-755 Fregat-M/Half Plate 대공/대수상 3차원 레이더
소나
MG-332/Titan 2/2T 선저소나
MG-325 Vega 가변심도 견인소나
MGK-345 Bronza/Ox Yoke LF 선수소나
Ox Tail LF 가변심도 소나
MG-332/Titan 2T 선저소나
MG-325 Vega 가변심도 견인소나
사격통제
대잠
Purga 시스템
대함
2 Drakon/Eye Bowl SS-N-14 통제 레이더
SS-N-14제거로 제거
2 Drakon/Eye Bowl SS-N-14 통제 레이더
대공
2 MPZ-301 Baza/Pop Group SAM통제 레이더

크리박급의 무장

크리박-I급
Project 1135.2
크리박-II급
크리박-III급
대잠
1 × 4 URK-5 (SS-N-14 사이렉스) 대잠/대함 미사일
헬리콥터 탑재를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제거
2 × RBU-6000 12연장 대잠 로켓
Kh-35로 대체
2 × RBU-6000 12연장 대잠 로켓
대함
1 × 4 URK-5 (SS-N-14 사이렉스) 대잠/대함 미사일
2 × 1 Kh-35 발사관
1 × 4 URK-5 (SS-N-14 사이렉스) 대잠/대함 미사일

대공
2 × Osa-MA SAM systems SA-N-4 게코 대공미사일
함포
4 × 76 mm AK-726 함포 (2×2)
2 × 1 AK-100 100mm 함포
1 × AK-100 100mm 함포
2 × AK-630 30mm CIWS
어뢰
2 × 4 533 mm 어뢰 발사관
헬리콥터

Ka-27 Helix × 1


3. 함생[편집]



3.1. 건조[편집]


소련 해군에서 기존 리가급 호위함을 운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1950년대 후반부터 후계함급을 계발하였으며 1970년대에 이르러서는 크리박급 호위함의 초도함이 건조되었다. 기존 설계 대비 운용 목적만 동일하다고 볼 정도로 다른 함선이었으며 소련 해군의 주요 호위함으로 임무를 시작하게 되었다.

처음 크리박급이 그 모습을 드러냈을때 서방에서는 크리박급이 공세적인 수상작전을 위해 디자인 되었다고 생각하였지만 실제로는 크리박급은 당시 방어적 목적의 대잠 호위함으로 설계되었다. 이는 타국 주력 호위함 대비 더 빠르고 중무장한 모습이었기에 앞선 오해를 가져오기 충분하였던 상황이었던 것이라 볼 수 있다. 특히 크레스타급 순양함카라급 순양함과 같은 대형 함정 보다는 저강도 위협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저렴한 함정으로 설계되었으며 이로인해 크리박급은 전체적으로 기존 순양함급의 설계를 축소한 형태가 되었다.

만재 3,000톤급의 배수량의 설계는 기존 만재 1,000톤급의 호위함 대비 대형화되었으므로 여러 대책이 마련되었다. 두 개의 가스터빈엔진이 1개의 샤프트를 작동시키는 COGAG 방식의 추진방식을 채택했고 특이하게도 같은 출력의 엔진4개가 아닌 다른 출력을 가진 부스트용의 40,000축마력을 가진 M-8K 엔진 1쌍과 순항용의 14,950축마력을 가진 M-62엔진 1쌍을 탑재하였다.


4. 성능[편집]


함수에 위치한 SS-N-14 대잠/대함 미사일은 잠수함뿐만아니라 수상함도 타격할 수 있어 대잠 임무가 아닌 대수상 임무도 수행할 수 있다. 주무장인 함포는 크리박-I급에는 2연장의 AK-726 76 mm 함포, 크리박-II/III급에는 AK-100 100mm 함포로 무장하였다.

파일:INS Tabar firing an RBU rocket.jpg
파일:Krivak_II_class_frigate,_masts_and_antenna.jpg
대잠로켓 무장
레이더 무장

RBU-6000 12연장 대잠로켓은 능동유도 방식의 탄두부분에 19.5 kg의 성형작약을 탑재하여 수심 1000 m 위에 있는 잠수함에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어뢰나 잠수 요원을 상대로도 발사 가능하다. 레이더인 MR-310A Angara-A/Head Net-C은 약 180 km 탐지범위를 가진다.


5. 파생형[편집]



5.1. 크리박-I급[편집]


파일:Krivak_I_class_frigate_BDITELNY.jpg
해군의 크리박-I급 호위함

초기형 크리박급 호위함으로 76 mm 함포 4문과 함수 대부분을 차지한 4연장의 SS-N-14 사이렉스 발사관이 특징이다. 1970년부터 1982년까지 총 21척이 취역되었다.


5.2. 크리박-II급[편집]


파일:Krivak_II_class_frigate,_port_beam_view.jpg
해군의 크리박-II급 호위함

크리박-I급 호위함 주요 지적 사항이었던 76 mm 함포 대신 AK-100 100mm 함포 2문을 탑재하였고 소나(VDS)가 개량 되었다. 1975년 부터 1982년까지 총 11척이 취역되었다.


5.3. 크리박-III급[편집]


파일: krivakIII-FSB.jpg
해안경비대의 크리박-III급 호위함

해군의 군함이 아닌 해안경비대 운용 목적의 무장 변경 함정이다. 함수의 SS-N-14 대잠/대함 미사일 발사관을 제거하고 함미에 있던 AK-100 100mm 함포를 1문으로 줄여 함수로 이동하였다. 함미에는 헬리콥터 탑재를 위한 데크와 격납고를 설치하여 대잠전 능력은 감소했지만 헬리콥터를 탑재할 수 있었고 AK-630 30mm CIWS를 추가적으로 장착했다. 총 8척이 취역하였다.


5.4. 프로젝트 11352형 호위함[편집]


신형 함정이라기 보다는 기존 크리박-I급 호위함의 성능 개량형 함선으로 계획되었다. RBU-6000 대잠 로켓대신 Kh-35 대함 미사일을 탑재하고 개량된 레이더, 소나, ECM을 도입하였다. 1990년 ~ 1992년 동안 초도 물량 4척의 크리박-I급을 개량하였으며 이후 나머지 크리박-I급의 개량이 계획되었지만 소련 해체 여파로 개량된 크리박-I급들은 NATO에 의해 분류하기 쉬운 크리박-IV급으로도 불렸다.


5.5. 운용[편집]


소련 해군에서 총 40척이 가량이 운용 중인 상태로 소련이 붕괴되어 크리박급 호위함은 소련 해군을 이어 받은 개별적인 국가의 해군에 종속되게 되었다. 주요 전력화 당시 기준 32척은 소련 해군에, 8척은 KGB 산하의 해안경비대에 소속되었다.

함령이 노후화되며 최신 호위함이 작전하는 현대 전장에서 대부분이 퇴역한 상태에다 운용중인 숫자도 불명확하여, 현재는 초저강도 위협과 같은 상황에 대처하도록 상태 좋은 일부 함정만이 남아있다.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총 4척을 운용, 해군에서 2척, FSB 산하 해안경비대에서 2척.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나 : 총 1척을 기함으로서 운용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발발 후 노획 방지 목적으로 자침시켰다.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총 1척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나 운용 여부는 불투명하다.[1][2]

본 크리박급 호위함의 운용 경험과 설계 능력을 바탕으로 인도 해군탈와르급 호위함이 설계되었고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의 설계로 최종 발전하였다.

6. 크리박급 호위함 목록[편집]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퇴역
기타
Project 1135/크리박 I 21척
칼리닌그라드, 얀타르 조선소
1
Bditelnyy
1968.7.21
1970.3.28
1970.12.31
1996년 퇴역

2
Bodryy
1969.1.15
1971.4.28
1971.12.31
1997년 퇴역

3
Svirepyy
1970.6.15
1971.1.27
1972.12.31
1993년 퇴역

4
Silnyy
1971.3.15
1972.8.29
1973.6.30
1994년 퇴역

5
Storozhevoy
1972.7.20
1973.3.21
1973.12.30
2002년 퇴역
발레리 사블린 반란사건 발생
6
Razumnyy
1972.6.26
1973.7.20
1974.9.30
1998년 퇴역

7
Razyashchiy
1972.9.28
1974.7.22
1974.12.30
1992년 퇴역

8
Druzhnyy
1973.10.12
1975.1.22
1975.9.30
2002년 퇴역
박물관 개장계획이 있음[3]
케르치, 카미쉬 버룬(Kamysch-Burun) 조선소
9
Dostoynyy
1969.8.11
1971.5.8
1971.12.31
1993년 퇴역

10
Doblestnyy
1970.12.30
1973.2.22
1973.12.28
1993년 퇴역

11
Deyatelnyy
1972.6.21
1975.4.5
1975.12.25
1995년 퇴역

12
Bezzavetnyy
1976.5.28
1977.5.7
1977.12.30
2000년 퇴역
타이콘데로가급 USS Yorktown과 충돌
13
Bezukoriznennyy
1978.7.12
1979.6.3
1979.12.29
2000년 퇴역

14
Ladnyy
1979.5.25
1980.5.7
1980.12.29
현역

15
Poryvistyy
1980.5.21
1981.5.16
1981.12.29
1994년 퇴역

레닌그라드, 즈다노프 조선소
16
Retivyy
1974.6.12
1976.8.14
1976.12.28
1995년 퇴역

17
Zadornyy
1977.12.10
1979.3.25
1979.8.31
2005년 퇴역

Project 1135.2,1135.3(크리박 I개량) 4척
레닌그라드, 즈다노프 조선소
18
(1)
Leningradskiy Komsomolets
1974.4.22
1977.4.1
1977.9.29
2003년 퇴역

19
(2)
Letuchiy
1977.3.9
1978.3.19
1978.8.10
2005년 퇴역

20
(3)
Pylkiy
1977.5.6
1978.8.20
1978.12.28
2012년 퇴역

21
(4)
Zharkiy
1974.4.16
1975.12.3
1976.6.29
2002년 퇴역

Project 1135M/크리박 II 11척
칼리닌그라드, 얀타르 조선소
1
Rezvyy
1973.12.12
1975.5.30
1975.12.30
2001년 퇴역

2
Rezkiy
1974.7.28
1976.2.17
1976.9.30
1995년 퇴역

3
Razitelnyy
1975.2.11
1976.7.1
1976.12.31
2004년 퇴역

4
Grozyashchiy
1975.5.4
1977.2.7
1977.9.30
1995년 퇴역

5
Neukrotimyy
1976.2.22
1977.9.7
1977.12.30
2009년 퇴역
2012년 발트해에서 침몰
6
Bessmennyy
1977.2.11
1978.8.9
1978.12.26
1998년 퇴역

7
Gordelivy
1977.7.26
1979.5.3
1979.9.20
1994년 퇴역

8
Ryanyy
1978.3.1
1979.9.1
1979.12.31
1997년 퇴역

9
Revnostnyy
1978.3.1
1979.9.1
1979.12.31
2003년 퇴역

10
Pytlivyy
1979.6.27
1981.4.16
1981.11.30
현역

11
?
-
-
-
?

Project 11351/크리박 III 8척
케르치, 카미쉬 버룬(Kamysch-Burun) 조선소
1
멘진스키(Menzhinsky)[4]
1981.8.14
1982.12.31
1983.12.29
1998년 퇴역

2
제르진스키
1983.1.20
1984.3.20
1984.12.29
현역

3
Oryol
1983.9.26
1985.11.2
1986.11.1
현역

4
프스코프
1985.12.26
1987.2.18
1987.12.29
2002년 퇴역

5
Anadyr
1987.4.2
1988.3.2
1988.12.30
2002년 퇴역

6
Kedrov
1988.4.4
1989.4.30
1989.12.28
2002년 퇴역

7
Vorovskiy
1989.5.15
1990.7.28
1990.12.29
2017년 퇴역

8
Hetman Sahaydachniy
1990.10.5
1992.3.29
1993.4.2
2022년 자침
우크라이나 해군 소속
9
Krasny Vympel
1992.12.27
-
-
취소됨
북한 해군 압록급 호위함의 선체로 활용


7. 기타[편집]


1975년에는 크리박-I급 호위함 "스트로제보이(Сторожевой)"에서 열렬한 볼셰비키주의자이자 정치장교였던 발레리 사블린(Валерий Саблин)이 반란을 일으켰다. 소비에트 정부와 자본주의 세계 간의 타협적 태도와 부패를 혐오한 인물로서의 신념은 부패한 관료주의 체제를 타도하겠다는 야망으로 커졌으며 소련 공산당 관료 집단들을 10월 혁명을 배신한 자로 간주하여 제거되어야 할 자로 경멸하던 생각을 행동으로 옮긴 것이었다.

사블린은 동료 알렉산더 세인과 함께 승조원들을 설득한 뒤 선상 반란을 일으켜 함선을 장악한 후 동쪽의 레닌그라드로 가서 제2의 10월 혁명을 시도하려고 하였으나 곧 진압되었다. 동료이자 공범인 알렉산더 세인은 10년형을 선고받았고 발레리 사블린은 사형에 처해졌다. 이 인상 깊은 내부 반란 사건은 냉전 당시였던 미국에도 알려져 톰 클랜시의 소설 붉은 10월에 큰 영감을 주었다.

운용 역사가 깊은 만큼 다양한 사건도 많이 겪었던 함선이다. 1988년에는 흑해에서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인 "요크타운(USS Yorktown)"과 크리박-I급 호위함 "베자베트니(Беззаветный)"가 충돌하는 사고가 있었다. 1990년대에는 우리나라에서 크리박급을 고철로 수입하여 해체했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현대의 러시아 해군 군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
재래식(SS)
위스키급R, 줄루급R, 로미오급R, 줄리엣급R, 폭스트로트급R, 골프급R, 탱고급R, 킬로급, 라다급, (칼리나급)
SSN
노벰버급R, 빅터급, 알파급R, 마이크급R, 시에라급, 아쿨라급, (하바로프스크급)
SSGN
에코급R, 찰리급R, 파파급R, 오스카급, 야센급, 머큐리급, (허스키급)
SSBN
호텔급R, 양키급R, 델타급, 타이푼급R, 보레이급
SSA
팔투스급, 로샤릭급, 사로프급
경비정
쥬크급CG/R, 스베틀야크급CG, 그라초노크급, 랩터급, 스텐카급, 몽구스급, 독스타바벳급, BK-16급, BK-18급, 쉬멜급
경비함
바실리 비코프급, (이반 파파닌급)
초계함
무하급R, 무라베이급R, 그리샤급, 나누추카급, 파르킴급, 타란툴급, 파우크급CG, 보라급, 부얀급, 부얀-M급, 카라쿠르트급, 게파르트급, 스테레구시급, 소브라지텔니급, 그리먀시급, (데르즈키급)
호위함
페트야급, 크리박급CG, 네우스트라시미급,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프로젝트 22350M형)
구축함
카신급R, 우달로이급, 소브레멘니급, 프로젝트 21956형, (리데르급)
순양함
카라급R, 슬라바급, 키로프급
항공순양함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러시아 연방의 항공모함 계획)
상륙정
무레나급R, 아이스트급R, 주브르급, 세르나급, 듀공급, 온다트라급
상륙함
LPH
미스트랄급, (이반 로고프급)
LSD
이반 그렌급
LST
이반 로고프급R, 앨리게이터급, 로푸카급
소해함
나티아급, 소냐급, 고르야급, 리다급, 알렉산드리트급
위그선
룬급R
정보수집함
프로젝트 394B형R,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프로젝트 864형,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R, 우랄급R, 유리 이바노프급, 비시냐급
군수지원함
벨랸카급, 삿코급, 루자급, 발라급, 다우가바급, 비테그랄레스급, 무나급, 유니 파티잔급, 암게마급, 프로젝트 323A/323B형
구난함/잠수함구조함
프로젝트 23040형, 프로젝트 05360형, 엘브루스급, 카쉬탄급, 콤무나
잠수함지원함
프로젝트 1886형R
해양연구함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프로젝트 22010형, (프로젝트 22011형)
수로탐사함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훈련함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R
※ 윗첨자R: 퇴역 함선※ 윗첨자CG: 해안경비대도 운용 중인 함선※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취소된 함선
※ (괄호): 도입 예정 함선





파일:러시아 해안경비대 함선기.svg 현대 러시아 해안경비대 함선

[ 펼치기 · 접기 ]
호위함
크리박-III (네레이)급
초계함
소콜
경비함
루빈급, 오케안급
고속정
스베틀야크급, 소볼급, 망구스트급, 쥬크급, 미라주급, 소크조이급, 머스탱-2급, 보쉬급, 피야브카급, 오그네크급, 야즈급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도입 취소 기종



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현대의 우크라이나 해군 군함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경비정
스카도브스크, PB-40, Po-2급, {마크 VI급}, 슬라뱐스크급
고속정
켄타우로스급, 그리쟈-M급
미사일 고속정
루한스크급, 프릴루키, {P-50U}
초계함
볼로디미르 벨리키급, {헤트만 이반 마제파급}
호위함
오타만 빌리R, 드니프로페트롭스크급 (크리박 I급)R, 세바스토폴 (크리박 II급)R, 헤트만 사하이다크니 (크리박 III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순양함
우크라이나
소해함
헤니체스크R, 체르니히우급CP, 체르카시급, {트라이파타이트급}
상륙정
도네츠크급R, 스바토보급
상륙함
LST
코스티안틴 올샨스키급CP, 폴노시니급
항공모함
바랴그
지휘함
아무르급R
잠수함
자포리자CP
USV/UUV
시 베이비, 마구라-5, 마리치카, TLK-150, 소노봇-5
※ 윗첨자R: 퇴역/자침/격침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 윗첨자C: 노획된 함선
※ 윗첨자CP: 나포된 함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현대의 조선인민군 해군 함선 파일:인민군 해군 선수기.pn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정
P-4급, 상어급, 연어급, 유고급, 033형급, 위스키급U, 8.24 영웅함(신포급), 김군옥영웅함(신포C급)
어뢰정
셰르셴급U, P-6급, 신남급, 신흥급, 구성급
경비정
T급, 마양급, 대청-(I · II)급, 하이난급, 초도급, 청주급, S·O-1급 초계정, 상하이-II급, 신포급, K-48급, 청진/차호급, P-6급, 샨토우급
미사일 고속정
소흥급, 오사-I급, 소주급, 황봉급, 해삼급, 신형 미사일 고속정
초계함
사리원급, 트랄급U, 농어급, 신형 대잠 고속정
호위함
서호급R, 크리박급U, 압록급, 두만급
구축함
나진급
상륙정
LCM/LCU
흥남급 LCU, 한태급 LCM, 한촌급 LCM
LCVP
남포급 LCVP
LCPA
공방-(I · II · III)급, 남포급(A/B)
소해함
프로젝트 53급U, 육도급
구조함
고원급
기타
대동-B급 반잠수정, 용도급 연안 고속정, 청진급 공습 어뢰정, 신형 VSV 스텔스 고속정
※ 윗첨자U: 상태 불명
※ 윗첨자R: 퇴역 함정








9.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2:47:38에 나무위키 크리박급 호위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북한의 크리박급 호위함 보유는 상당히 복잡하고 현재 진행형 문제이다. 최초 2004년 조선인민군 해군이 고철 용도로서 해군 전투함 설계의 크리박-I/II급도 아닌 해안경비대 함정이었던 크리박-III급을 들였으며, 굴릴만큼 굴려 잔존가치가 없어진 녹슨 고철 상태의 매물을 업자 상대로 국가가 나서 매입했다. 당연히 수십년을 묵은 고철로 들어온거라 함포, 레이더, 미사일, 엔진들이 전부 철거된 빈 깡통이니 경제난열악한 현실을 이기고 성공할 수 있을까 큰 관심을 받았다. 만약 실전에 배치된다면 북한 해군의 최대 함선인 나진급 구축함의 3배가 넘는 크기인 전투함이나, 현재는 이를 복구하기 위한 20년 가량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력화는 커녕 압록급 호위함이 대신 공개되었다.2022년 남포항에 계류되어있는걸 확인할수 있으며 무장이 전혀 없는 상태인걸로 보아 여전히 전력화는 여려운것으로 보인다.[2] 이후 2023년 9월 15일자 VOA 코리아는 북한 해군의 압록급 호위함이 지난 1992년부터 크리박급의 마지막 함선으로 건조되다가 중단된 '크라스니 빔펠'함의 선체를 입수, 제작된 것이라고 보도했다.[3] https://en.wikipedia.org/wiki/Krivak-class_frigate[4] 뱌체슬라프 멘진스키(Vyacheslav Menzhinsky)(1874년 8월~ 1934년 5월 10일) 러시아 제국공산주의 혁명가이자,소련 공산당 지도자로 스탈린대숙청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