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저스/시스템
덤프버전 : r20230302

<^|1><height=30>
[ 펼치기 · 접기 ]
}}}
온라인 게임 클로저스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
1. 캐릭터 정보
3. 기본 능력치
4. 몬스터
5.1. 일반 던전
5.2. 프로그램 던전
5.3. 파티 모집
5.4. 조사대(레이드)
5.5. 작전구역 참가 HUD
5.6. 유니온 워치
5.7. 특수 작전 구역
5.11. 훈련장
5.12. 피로도 & 던전 입장 제한/횟수
6. 스킬
7. 아이템
11. 채널
12. 캐릭터 대기실
13. 지역/거점/타운
14. 팀워크 버프
15. 프리미엄 버프
17. 서클
21. 유니온 캠프
22. 랭킹
23. 자동판매기
24. 인벤토리 및 창고
25. 채팅창
26. 감정표현
27. 메신저
28. 우편
29. 셀피 모드
30. 블랙마켓
31. 유니온 스토어
31.1. 유니온 멤버십 포인트
32. 교차형 물질 변환
33. 벌처스 비밀 상점
34. 유니온 패스
1. 캐릭터 정보[편집]
캐릭터 기본 정보 화면. 단축키 (P) 또는 ESC → 캐릭터로 열람할 수 있다.
- 기본 정보: 캐릭터의 닉네임과 능력치, 착용 장비/코스튬 확인
- 상세 정보: 캐릭터의 상세 능력치 확인
- 칭호: 스킨/능력치 칭호 장착 탈착 가능
- 캐릭터 스킨 변경: 일러스트 및 거점/던전 모션 및 이펙트 등 설정 가능
- 직급: 현재 직급과 다음 승급 직급 정보 확인 가능
- PVP: 유니온 아레나 정보 확인 가능
2. 승급[편집]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ffe560><table bgcolor=#fff,#2d2f34><#ffe560><-14><:>[[파일:검은양아이콘.png|width=20]] {{{#000 {{{+1 '''검은양팀 승급 루트'''}}}[br]{{{-1 (퀘스트 시작 지역으로 표시)}}}}}} ||
||<width=22%><-2> '''훈련생 / 수습 요원''' ||<width=4%><-2><|2> {{{-5 →}}} ||<width=22%><-2> '''정식 요원''' ||<width=4%><-2><|2> {{{-5 →}}} ||<width=22%><-2> '''특수 요원''' ||<width=4%><-2><|2> {{{-5 →}}} ||<width=22%><-2> '''태스크 포스''' ||
||<-2> {{{-1 '''강남 GGV'''}}} ||<-2> {{{-1 '''G타워 옥상'''}}} ||<-2> {{{-1 '''램스키퍼 함교'''}}} ||<-2>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1 '''몽환세계: 연무극장'''}}}}}}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d93f3f><table bgcolor=#fff,#2d2f34><#d93f3f><-14><:>[[파일:늑대개아이콘.png|width=20]] {{{#eee {{{+1 '''늑대개팀 승급 루트'''}}}[br]{{{-1 (퀘스트 시작 지역으로 표시)}}}}}}||
||<width=22%><-2> '''훈련병 / 수습 대원''' ||<width=4%><-2><|2> {{{-5 →}}} ||<width=22%><-2> '''정식 대원''' ||<width=4%><-2><|2> → ||<width=22%><-2> '''특수 대원''' ||<width=4%><-2><|2> {{{-5 →}}} ||<width=22%><-2> '''태스크 포스''' ||
||<-2> {{{-1 '''강남 GGV'''}}} ||<-2> {{{-1 '''G타워 옥상'''}}} ||<-2> {{{-1 '''램스키퍼 함교'''}}} ||<-2> {{{-1 '''몽환세계: 연무극장'''}}}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0168b7><table bgcolor=#fff,#2d2f34><#0168b7><-14><:>[[파일:사냥터지기아이콘.png|width=20]] {{{#C0C0C0 {{{+1 '''사냥터지기팀 승급 루트'''}}}[br]{{{-1 (퀘스트 시작 지역으로 표시)}}}}}}||
||<width=22%><-2> '''훈련생 / 수습 요원''' ||<width=4%><-2> {{{-5 →}}} ||<width=22%><-2> '''정식 요원''' ||<width=4%><-2><|2> {{{-5 →}}} ||<width=22%><-2> '''특수 요원''' ||<width=4%><-2><|2> {{{-5 →}}} ||<width=22%><-2> '''태스크 포스''' ||
||<-6> {{{-1 '''유니온 임시본부'''}}} ||<-2> {{{-1 '''(구) 구로역'''}}} ||<-2> {{{-1 '''몽환세계: 연무극장'''}}}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9932CC><table bgcolor=#fff,#2d2f34><#9932CC><-14><:>[[파일:시궁쥐아이콘.png|width=20]] {{{#eee {{{+1 '''시궁쥐팀 승급 루트'''}}}[br]{{{-1 (퀘스트 시작 지역으로 표시)}}}}}}||
||<width=22%><-2>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1 '''심부 름꾼'''}}}}}} ||<width=4%><-2> {{{-5 →}}} ||<width=22%><-2> {{{-1 '''청부 업자'''}}} ||<width=4%><-2><|3> {{{-5 →}}} ||<width=22%><-2> '''해결사''' ||<width=4%><-2><|3> {{{-5 →}}} ||<width=22%><-2> '''검은손''' ||
||<-6> {{{-1 '''[ruby(고철 처리장,ruby=( 1 분 대 ),color=)]'''}}} ||<-2><|2> {{{-1 '''사냥꾼의 밤'''}}} ||<-2><|2> {{{-1 '''몽환세계: 연무극장'''}}} ||||||
||<-6> {{{-1 '''[ruby(갯바위 마을,ruby=( 2 분 대 ),color=)]'''}}} ||||||||||}}}
3. 기본 능력치[편집]
[물리]와 [마법]으로 능력치가 나누어져있으며, 각 캐릭터마다 주 능력치가 다르다. [물리] 능력치를 사용하는 물리 클래스, [마법] 능력치를 사용하는 마법 클래스, [물리]와 [마법] 능력치 모두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클래스가 있다.
3.1. 종합 전투력[편집]
캐릭터 정보 창을 통해 종합 전투력을 확인할 수 있다.
종합 전투력(종전)은 던전 입장과 파티 모집 등 주 컨텐츠를 플레이함에 있어 기준점이 된다.
3.2. 상세 능력치[편집]
3.2.1. 공격[편집]
캐릭터의 전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능력치
1. 물리/마법 공격력
대부분 RPG 게임에 있는 기본 능력치. 클로저스에선 보통 '깡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보통 공격력 10,000을 기준단위로 '1.0' 이렇게 줄여서 부른다. 2.5이면 기본 공격력이 25000대라는 말
2. 물리/마법 치명타 발생률
[치명타]를 발동시키기 위한 확률이다. [공격] 카테고리 치명타 발생률에는 [물리 치명타 발생률], [마법 치명타 발생률]이 있다. 보통 '깡치발'로 줄여부르며, '곱연산'으로 적용되는 능력치이다. 클로저스에서 곱연산은 수치가 증가할 수록 점점 효율이 떨어지도록 설계된 연산 방식이다. 조건부 치명타 발생률과 합산하여 계산되며, 최대 100% 까지만 적용된다.
3. 물리/마법 치명타 피해량
[치명타]가 발생했을 때 증가하는 피해량. 보통 '깡치피'로 줄여부르며, '합연산'으로 적용되는 능력치이다. 클로저스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치 중 하나로, 치명타 피해량의 수치에 따라 데미지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필수로 챙겨야 한다. 최대치가 없기에 높으면 높을 수록 좋다.
4. 물리/마법방어 관통률
적의 [방어력]을 일정 수준 무시하게 해주는 능력치. 보통 '방관'으로 줄여부르며, '합연산'으로 적용되는 능력치이다. 조건부 방어 관통률과 합산하여 계산되며, 최대 100% 까지만 적용된다.
5. 공격 속도
캐릭터의 행동 속도를 결정하는 능력치. '공속'이라고 줄여부르며, 곱연산으로 적용되는 능력치이다. 0%가 기본이며, 수치가 증가할 수록 공격속도가 빠르다.(-n%도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코어의 공격 속도를 따라가며, 튜닝등을 통해 수치를 올릴 수 있다. 일부 유저는 극 공속 세팅으로 던전을 도는데, 재미 하나는 확실하다. 종합전투력으로 모집컷을 나누는 메타에서 종합전투력을 가장 많이 올려주고, 스킬 채널링을 해소하고자 선택하는 경우가 늘었다.
3.2.2. 조건부 공격[편집]
스킬 자체적인 확정 조건부 판정을 지녔을 경우 또는 수동으로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만 발동하며 조건부 옵션으로 해당 조건부를 띄웠을 때 기본 능력치에 합산된다. 예를 들어 기본 치명타 확률이 30%이고 에어리얼시 치명타 확률이 20%일 때 그냥 공격하면 치명타 확률이 30%지만 에어리얼로 공격 시 30%+20%= 50% 확률로 치명타가 적용된다. 즉, 같은 계열의 능력치 안에서는 곱연산으로 적용돼도 다른 계열의 능력치끼리는 합연산이다.
1. 위상력 개방시 데미지 증가
[위상력 개방] 상태에 돌입했을 때 증가하는 데미지. 곱연산으로 적용된다. 일부 캐릭터가 주로 사용하는 능력치이다. 줄여서 '위개뎀', '위뎀증'이라고 부른다.
2. 에어리얼[1]
캐릭터가 공중에서 공격을 하면 발생하는 조건부이다. 현재 클로저스에서 가장 받기 쉬운 조건부이며, 대부분의 캐릭터가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조건부이다. 오브젝트 형 설치기 스킬은 공중에서 시전했다면 현재 캐릭터의 위치에 상관없이 에어리얼 판정을 받는다. 강제 착지형 스킬 역시 공중에서 시전했다면 에어리얼 판정을 받는다.
[에어리얼] 조건부가 발생했을 때 데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능력치는 다음과 같다.
- 에어리얼 시 피해량 증가
- 에어리얼 시 치명타 발생률
- 에어리얼 시 치명타 피해량
- 에어리얼 시 방어력 관통률
2. 백어택
대상의 뒤를 공격하면 발생하는 조건부이다. 클로저스의 일부 타입을 제외한 대부분의 몬스터들은 뒤를 공격받을 시 매우 빨리 뒤돌아 보기 때문에 [백어택] 조건부를 받기 까다롭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템이나 튜닝 등에 나타나는 수치 상승치가 타 조건부에 비해 높게 책정되어 있다. 오브젝트 형 설치기 스킬은 보스 뒤에 설치된다면 현재 캐릭터의 위치에 상관없이 백어택 판정을 받는다. 시전 후 타격이 지속하여 진행되는 잔상형 스킬은 현재 캐릭터의 위치에 따라서 백어택 판정을 받는다.
[백어택] 조건부가 발생했을 때 데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능력치는 다음과 같다.
- 백어택 시 피해량 증가
- 백어택 시 치명타 발생률
- 백어택 시 치명타 피해량
- 백어택 시 방어력 관통률
3. 체이스
공중에 뜬 대상을 공격하면 발생하는 조건부이다. 직접 적을 공중으로 띄우거나 혹은 날고 있는 상태의 적을 공격할 경우 적용된다. 과거에는 [체이스]란 조건부가 없었고, 대신 공중에서 공격하거나 공중에 있는 적을 공격하면 [에어리얼]이 발생하는 형식이었다. 아이템이나 튜닝 등에 나타나는 수치 상승치가 타 조건부에 비해 높게 책정되어 있다.
[체이스] 조건부가 발생했을 때 데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능력치는 다음과 같다.
- 체이스 시 피해량 증가
- 체이스 시 치명타 발생률
- 체이스 시 치명타 피해량
- 체이스 시 방어력 관통률
3.2.3. 타입 대응력[편집]
몬스터 타입에 대한 피해량 증가. PNA-돌연변이 인자를 강화하거나 타입별 피해 증가 능력치를 가진 펫을 착용하여 강화할 수 있어 몬스터 아머 타입인 [인간형], [야생형], [마룡형], [식충형], [전뇌형], [업화형], [사도형], [특이형], [해저형] 별로 입히는 피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이템 강화보다도 타입 대응력이 높을 때의 대미지 증가량이 훨씬 월등하기 때문에 최종 육성 컨텐츠로 꼽히고 있다. 타입별로 돌연변이 인자 [Lv.20 달성] 및 [Lv.20 피해증가 변이체의 최적화율 100% 달성]으로 각 타입별 피해증가 260% 이상을 달성해야 육성이 완료된다.
3.2.4. 방어[편집]
1. HP
2. 물리/마법 방어력
방어율은 방어력/((레벨+1)×100 + 방어력)×100 (%)으로 계산된다.
3.2.5. 보조[편집]
전투에 직접적인 도움보단 간접적인 도움을 주는 능력치
1. MP
2. 3초당 HP/MP 재생
3.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
스킬의 쿨타임을 줄여주는 스탯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쿨타임 감소치가 높다. 더 올릴 수는 있지만 적용 한계치는 40%이다. 곱연산으로 적용 된다.
4. 스킬 자원 절약
스킬 사용 시 필요한 자원(MP)을 감소시켜 준다. 제이의 경우 HP, 레비아의 경우 위상력을 소모하는 스킬의 소모 위상력도 줄어든다. 최대 적용 수치는 60%이다. 곱연산으로 적용 된다.
5. 위상력 응집속도
적 공격과 피격 시 얻는 위상력에만 적용되고 위상력 회복 스킬로 얻는 위상력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6. 위상력 개방 유지시간
8. 이동 속도/이동 속도(%)
기본 이동 속도는 걷기 250, 달리기 650이다. 이 능력치가 증가하면 걷기와 달리기 모두 '이동 속도(%)'를 곱한 뒤 '이동 속도'를 더한 만큼 빨라진다.
9. 추가 크레딧
크레딧 회수량을 높여주는 스텟이다. 다만, 던전 기본 크레딧 획득량이 낮은 편이라 잘 쓰지 않는다.
10. 추가 아이템 발견
속칭 추아발. 아이템 드롭률을 높여준다. 어떤 아이템의 드롭률이 10%이고 추가 아이템 발견이 30%일 경우 10%+(10%*30%)=13%가 되는 방식이다. 노가다해서 템을 캐는 사람들은 생각보다 자주 사용하는 듯 하다.
11. 추가 경험치/추가 PNA 경험치
3.2.6. 기타[편집]
스탯창에 표기되지는 않지만 스킬이나 장비, PNA, 버프 효과 등으로 얻을 수 있는 능력치
1. 고정 피해: 스킬 효과
- 대상의 방어력/대미지 감소 무시. 단, 대상의 치명타 피해 저항 수치로는 감소된다.
2. 주는 물리/마법 피해량 증가
- 조건부 피해 증가 및 타입별 피해 증가와 별도로 적용된다.
3. 슈퍼 아머 / 피해 감소
- 스킬 사용 중에는 기본적인 슈퍼 아머를 획득하며, 특정 스킬에는 피해 감소 60~80% 효과가 있다.
- 펫 스킬을 통해 슈퍼 아머(Lv.2)와 피해 감소 60%를 획득한다.
4. 물리/마법 피해 감소
- 피격당한 대미지를 감소 수치만큼 상쇄한다.
5. 치명타 피해 감소 / 치명타 피해 저항
6. 물리/마법 피해 반사
- 최대 15%
7. 치명타 피해 저항 감소
- 적에게 거는 디버프. 치명타 피해 저항 감소 효과끼리 기본적으로는 중복 적용[2] 되나, 일부 스킬은 중복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파티 플레이 시 치저감 디버프는 최대 4개까지 중복 적용되며, 같은 캐릭터 끼리는 중복되지 않는다.[3]
8. 받는 피해량 증가
- 적에게 거는 디버프.
4. 몬스터[편집]
1. 일반 몬스터
문자 그대로 일반 몬스터들. 설정상으로는 대부분 C급 차원종이라고 한다. 검은양/늑대개 스토리에서는 시즌 1에서는 거의 대부분 차원종이, 시즌 2에서는 주로 인간형 적들이 등장한다. 적의 머리 위에 레벨과 이름, 체력 바가 표시되어 있는 게 특징.
2. 엘리트 몬스터
일반 몬스터의 강화형태. 극초반부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냥 일반 몬스터의 피통에 몇몇 능력치를 강화해서 짜깁기한 듯한 몬스터부터 준보스급의 피통을 가진 몬스터까지 다양하다. 엘리트 몬스터부터는 화면 상단에 몬스터의 이름과 체력 바가 뜨며, 체력 바가 *n으로 표기된 것이 특징.[4]
3.보스 몬스터
각 던전에서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보스 몬스터들. 등장 시 '고위상력 반응 감지'라는 문구가 뜬다.[5] 일반 몬스터보다 몇 배~수십 배에 달하는 체력을 가지고 있으며
4.1. 아머 타입[편집]

2021년 4월 8일, 기존의 7종의 아머 타입에서 9종의 아머 타입으로 확장 개편되었다. 그리고 PNA-돌연변이 시스템과 연계되어 각 아머타입별 데미지를 증폭시킬 수가 있다.
4.2. 오버로드 모드[편집]
20/05/14 업데이트로 추가된 시스템. 몬스터의 체력이 일정 수치에 도달할 경우 몬스터 주변에 특정 위치에서 공격해야 깨트릴 수 있는 반응 보호막이 펼쳐진다. 반응 보호막은 에어리얼, 백어택, 에이리얼 + 백어택 3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1
||<tablebgcolor=#191919><table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600>{{{#!wiki style="margin: -3px -9px"
[[파일:클로저스_오버로드모드.png|width=100%]]}}}||
|| '''오버로드 모드 (위부터 에어 / 백 / 에어+백)''' ||
||<tablebgcolor=#191919><tablecolor=#eee><tablealign=center><tablewidth=600>{{{#!wiki style="margin: -3px -9px"
[[파일:클로저스_오버로드연출.png|width=100%]]}}}||
|| '''오버로드 모드 연출 이미지''' ||
일정 시간 내에 반응 보호막을 깨뜨리지 못하면 특정 패턴을 시전한다. 반대로 반응 보호막을 깨뜨리면, 몬스터가 그로기 상태에 빠지면 프리딜을 넣을 수 있다. 반응 보호막에 알맞은 공격을 적중시키면 전용 이펙트가 발생하며, 파괴 시에도 특정 연출이 표시된다.
오버로드 모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반응 보호막을 공격할 때 스킬의 확정 조건부는 적용되지 않는다.
- 파티로 던전에 입장하면 파티원 수에 비례해 반응 보호막의 내구도가 늘어난다.
- 설치기 스킬은 스킬 위치가 아닌 '캐릭터의 위치'에 따라 실시간으로 판정된다.
- '시전 시간이 긴 스킬' 과 '결전기 스킬'은 오버로드 모드를 더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고룡 유적지와 대양/색욕왕 던전에만 적용되어 있는 시스템이며, 신규 레이드인 기계왕 던전부터는 배제되었다. 오버로드를 깰 동안 거의 느껴지지 않는 타격감, 확정 조건부 미적용 및 설치기 스킬의 다른 판정[6] 으로 인한 비직관성 등 오버로드 모드로 인해 게임의 새로운 재미를 느끼게 해주기 보다는 무의미한 피로도를 유발하여 유저들의 강한 비판을 받았다. 이에 신규 레이드부터는 오버로드를 완전히 배제하고 패턴의 다양화로 노선을 변경하였는데 사실상 개발진 측에서도 실패한 시스템이라고 인정한 듯하다.
4.3. 몬스터 경고 연출[편집]
던전 내에서 바닥에 나타나는 표식의 색상으로 경고를 구분할 수 있다. 빨강/주황색은 공격/디버프를 나타내며, 파랑색은 공격 회피 안내, 초록색은 버프를 표시한다.
특히 몬스터의 공격은 총 4가지 속성으로 나뉘며 각 공격마다 다른 회피 판정을 갖는다. 자세한 것은 아래 표를 참고.
-1
{{{#!wiki style="word-break:keep-all"
||<-4><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91919><bgcolor=#191919><color=#eee> '''몬스터 공격 속성''' ||
||<|2><rowbgcolor=#555><rowcolor=#eee> 공격 ||<-3> 판정 ||
||<width=20%><rowbgcolor=#555><rowcolor=#eee> 슈퍼 아머 ||<width=20%> 무적 ||<width=20%> 저스트 회피[* 공용 스킬의 긴급 회피를 적의 공격 타이밍에 맞게 시전하면 무적 파괴 공격도 회피할 수 있다. 타이밍에 실패하면 대미지 감소기(슈퍼 아머)로 판정된다.] ||
||[일반 공격]|| O || O || O ||
||[슈퍼 아머 크래시]|| X || O || O ||
||[무적 파괴]|| X || X || O ||
||[회피 불가]|| X || X || X ||
}}}
||<-2><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91919><tablebgcolor=#191919><tablecolor=#eee> '''몬스터 공격 연출''' ||
||{{{#!wiki style="margin:-6px -9px"
[[파일:클로저스_일반공격연출.png|width=100%]]}}} ||{{{#!wiki style="margin:-6px -9px"
[[파일:클로저스_슈퍼아머크래시연출.png|width=100%]]}}} ||
||<rowbgcolor=#555> '''일반 공격''' || '''슈퍼 아머 크래시''' ||
||{{{#!wiki style="margin:-6px -9px"
[[파일:클로저스_무적파괴연출.png|width=100%]]}}} ||{{{#!wiki style="margin:-6px -9px"
[[파일:클로저스_회피불가연출.png|width=100%]]}}} ||
||<rowbgcolor=#555> '''무적 파괴''' || '''회피 불가''' ||
5. 던전[편집]

5.1. 일반 던전[편집]
각 거점마다 존재하는 '입장기 / 이너포탈 생성장치 / 조사 지원기' NPC를 통해 던전에 입장할 수 있다.
입장 화면에서는 다양한 던전 입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던전 챕터
- 왼쪽의 챕터별로 입장 가능한 던전이 다르다.
- 던전 맵
- 입장 가능한 던전이 화면 가운데 표시된다.
- 던전 이름
- 오른쪽의 상세 상태창에서 현재 선택한 던전 이름이 출력된다.
- 소모 피로도
- 피로도 부족 시 입장 불가
- 입장 레벨
- 미달 시 입장 불가
- 기어 레벨
- 미달 시 파티 찾기 불가
- 트리거 발동 유무
- 좌클릭 시 트리거 관리(연료 충전/프리셋 설정) 화면이 팝업되고, 우클릭 시 트리거 on/off 설정이 가능하다.
- 버프 적용 유무
- 입장 횟수 증가 버프의 적용 유무
- 체크 된 경우 버프가 적용되어 입장 횟수가 증가한다.
- 체크 된 경우 버프가 적용되어 입장 횟수가 증가한다.
- 계정/캐릭터 단위 입장 여부
- 체크 된 경우 계정 단위 입장 던전이다.
- 일일 입장 가능 횟수
- 부족 시 입장 불가
- 난이도 선택
- 기본적으로 3단계로 나뉜다. 2단계인 경우 또는 단일 난이도인 경우도 있다.
- 현재 위상 기어 레벨
- 자신의 기어 레벨이 던전 기어 레벨 보다 높을 경우 <위상 증폭> 버프를, 낮을 경우 <위상 붕괴> 디버프를 받는다.
- 권장 종합 전투력
- 빨간색으로 표시된다면 자신의 종합 전투력이 권장 종합 전투력보다 낮다는 의미이다.
- 제작/획득 가능 아이템 List
- 제작/획득 가능한 주요 아이템을 보여준다.
- 정복도
- 특정 던전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메뉴로 던전 클리어 횟수에 따라 추가 보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초기화> 버튼으로 클리어 횟수를 초기화할 수 있고 초기화 보상을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 작전 개시(F5)
- 파티 찾기(F6)
5.2. 프로그램 던전[편집]
NPC 이빛나가 제작한 가상 현실 공간에서 펼쳐지는 전투이다. 종류로는 훈련 프로그램/토벌 프로그램/결전 프로그램으로 나뉜다.

5.3. 파티 모집[편집]
채널 상관없이 단축키(F3)을 눌러 생성된 파티에 참가하거나 직접 파티를 만들어 파티원을 모집할 수 있다.
파티장인 경우, <파티 신청 현황>을 클릭하여 가입 신청한 사람들의 리스트와 종합 전투력을 확인할 수 있다.
파티원인 경우, <내 파티>를 누른 후 파티원을 좌클릭하여 캐릭터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5.4. 조사대(레이드)[편집]
클로저스의 레이드 컨텐츠인 조사대 던전. 연무극장 <<이면>> 지역에서 조사대를 결성하여 레이드 던전으로 입장할 수 있다.
- 조사대 자동 매칭
- 채널에 상관없이 생성되어 있는 조사대 방에 자동으로 참여하는 시스템. 조사대 마다 종전(종합전투력)컷이 다르기 때문에 자동 매칭 이용률은 떨어진다.
- 조사대 찾기
- 채널에 상관없이 생성되어 있는 조사대를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
- 조사대 제목으로 종전이나 피증(아머 타입별 피해 증가) 제한을 두고 있으므로 자신의 상태에 따라 참여하면 된다. 예를 들어 기계왕 조사대의 방 제목이 <1800/160/162> 라면 <종전 1800/전뇌형 피증 160/기어 레벨 162> 를 뜻한다.
- 조사대 제목으로 종전이나 피증(아머 타입별 피해 증가) 제한을 두고 있으므로 자신의 상태에 따라 참여하면 된다. 예를 들어 기계왕 조사대의 방 제목이 <1800/160/162> 라면 <종전 1800/전뇌형 피증 160/기어 레벨 162> 를 뜻한다.
- 보상 받기
- 참여한 조사대에서 획득한 조사대 포인트 등급(F~SSS)에 따라 차등 지급된다. 보상 목록은 클로저스/레이드 문서의 각 레이드 문서에서 확인 가능하다.
- 여러 이유(주로 튕김 오류)로 조사대 포인트가 SSS 급에 이르지 않았다면 <보상 포기> 버튼을 눌러 조사대 포인트를 초기화하고 새로 조사대에 참여하여 다시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
- 여러 이유(주로 튕김 오류)로 조사대 포인트가 SSS 급에 이르지 않았다면 <보상 포기> 버튼을 눌러 조사대 포인트를 초기화하고 새로 조사대에 참여하여 다시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다.
- 조사대 만들기
- 직접 조사대를 만들 수 있는 시스템. 조사할 레이드 보스를 선택하고 방제목을 지정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조사대는 조사대 찾기를 통해 모든 유저들에게 검색된다.
- 조사대 편성
- 조사대에 참여하거나 직접 조사대를 만들면 진입하는 화면. 위에서부터 1분대 4인 / 2분대 4인 / 3분대 4인 으로 구성된다.
- 조사대를 만든 유저는 자동으로 조사대장이 되어, 캐릭터를 초대하거나 방 잠금 설정이 가능하고 분대간 유저 이동 및 조사대장 넘기기도 가능하다. 또한 각 분대의 첫번째 자리의 유저는 분대장이 되어 분대별로 던전 진입과 퇴장을 담당한다.
- 조사대를 만든 유저는 자동으로 조사대장이 되어, 캐릭터를 초대하거나 방 잠금 설정이 가능하고 분대간 유저 이동 및 조사대장 넘기기도 가능하다. 또한 각 분대의 첫번째 자리의 유저는 분대장이 되어 분대별로 던전 진입과 퇴장을 담당한다.
5.5. 작전구역 참가 HUD[편집]
화면 상단에서 작전 구역 지역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HUD.
5.6. 유니온 워치[편집]
기본적으로 [일일 / 주간 / 던전] 3가지 미션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진행도에 따라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일 미션 클리어시 '행운의 위상 토큰'을, 던전 미션 클리어 시 '공헌도'를 추가로 획득 할 수 있으며 이 재화는 '자동판매기'를 통해 다양한 아이템으로 교환이 가능하다.
신규/복귀 보상이 리뉴얼되면서 기존의 이벤트 창이 아닌 유니온 워치의 [신규 / 복귀] 미션을 통해 미션을 수행하고 보상을 획득 할 수 있다.
5.7. 특수 작전 구역[편집]
- Special Mission Area

5.8. 모의전[편집]

5.9. 바벨 프로그램[편집]

5.10. 군단 프로그램[편집]

5.11. 훈련장[편집]
훈련장은 모든 타운에서 <훈련장 통제기 – 에드거 Jr.>를 통해 입장할 수 있다.
'HP/MP 회복', '위상력 회복', '쿨타임 초기화', '대미지 초기화' 기능을 제공하며, 총 딜링 시간과 누적 대미지를 알려주어 대략적인 DPS를 산출할 수 있다.
5.12. 피로도 & 던전 입장 제한/횟수[편집]
-1
||<-2><tablewidth=600><rowbgcolor=#191919><rowcolor=#eee> '''던전 요구 피로도''' ||
||<rowbgcolor=#555><rowcolor=#eee> '''피로도''' || '''던전 종류''' ||
|| 기본 10 || 퀘스트/결전 프로그램/군단 프로그램 등 ||
|| 5 || 재료 던전/하위 던전 등 ||
|| 50 || 시즌3 이후 훈련 프로그램 ||
|| 피로도 소모 없음 || 레이드 던전 / 서클 던전 / 특수 작전 구역 / 바벨 프로그램 / 모의전 등 ||
-1
||<-2><tablewidth=600><rowbgcolor=#191919><rowcolor=#eee> '''입장 제한''' ||
||<-2><rowbgcolor=#555><rowcolor=#eee> '''입장 초기화''' ||
|| 기본 일일 || 매일 새벽 4시 ||
|| 주간 || 토요일 새벽 4시 ||
|| 월간 || 매월 1일 새벽 4시 ||
|| 무제한 || - ||
|| 시즌제 던전 || 시작/종료일 별도 공지 ||
||<-2><rowbgcolor=#555><rowcolor=#eee> ''' 입장 횟수''' ||
||<-2> 입장 제한 던전 별로 1회~7회/무제한 등 던전/컨텐츠 별로 상이 ||
던전 입장에는 피로도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던전들은 입장 1회마다 계정 피로도와 캐릭터 피로도를 각각 10씩 소모하며 특정 던전은 각각 (피로도 소모 없음 / 5 / 50) 필요한 던전도 존재한다. 캐릭터 피로도가 1이라도 남아있을시 던전에 입장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라도 계정 피로도는 던전 요구 피로도 이상이 꼭 있어야한다. 계정 피로도나 캐릭터 피로도 중 하나라도 피로도가 모자르다면 던전 입장이 불가능하다.
던전 입장 횟수는 캐릭터 단위와 계정 단위로 나뉘며, 계정 단위인 경우에는 계정 내 모든 캐릭터가 입장할 수 있지만 입장 횟수를 공유한다. 입장 횟수는 던전별로 달리 적용되어 있으며, 무제한 / 일일 / 주간 / 월간 등 컨텐츠 별로 상이하다.
피로도는 매일 새벽 4시에 초기화되며 일일 입장 제한 던전 역시 매일 새벽 4시, 주간 입장 제한 던전은 토요일 새벽 4시, 월간 입장 제한 던전은 매월 1일 새벽 4시에 초기화된다.
-1
||<-2><tablewidth=600><rowbgcolor=#191919><rowcolor=#eee> '''기본 제공 피로도''' ||
||<rowbgcolor=#555><rowcolor=#eee> '''캐릭터 피로도''' || '''계정 피로도''' ||
|| 200 || 780 ||
-1
||<-4><tablewidth=600><rowbgcolor=#191919><rowcolor=#eee> '''추가 제공 피로도''' ||
||<rowbgcolor=#555><rowcolor=#eee> '''유형''' || '''캐릭터 피로도''' || '''계정 피로도''' || '''비고''' ||
|| 유니온 특별 근무[br]{{{-3 (주말)}}} || +60 || +60 || 일일 던전 입장 횟수 +1[br]{{{-3 입장 횟수 버프 미적용 던전 제외}}} ||
|| 파밍 지원 특별 버프[br]{{{-3 (이벤트)}}} || +60 || +60 || 일일 던전 입장 횟수 +1[br]{{{-3 입장 횟수 버프 미적용 던전 제외}}} ||
|| 엘리트 육성 코스 || +30[br]{{{-3 <'''유니온''' 엘리트 육성 코스>}}} || +170[br]{{{-3 <'''클로저''' 엘리트 육성 코스>}}} || 일일 던전 입장 횟수 +1[br]{{{-3 입장 횟수 버프 미적용 던전 제외}}} ||
|| 캐릭터 슬롯 확장 || - || +40 || 슬롯 하나당 ||
|| 유니온 캠프 레벨 || - || +490 || Lv.19 달성 시 ||
기본 제공 캐릭터 피로도는 200, 계정 피로도는 780이며, 각종 버프와 인게임 컨텐츠를 진행하여 피로도를 늘릴 수 있다. 프리미엄 버프인 엘리트 육성 코스의 캐릭터 피로도와 계정 피로도는 중복 적용되는 버프이며, 입장 횟수 +1은 입장 횟수 버프 미적용 던전을 제외하고 적용된다. 주말이나 이벤트로 입장 횟수 증가 버프가 적용될 경우 엘리트 육성 코스와 중복 적용이 가능하여 입장 횟수가 +2, 주말+이벤트+프리미엄 버프가 적용되면 +3으로 적용된다. 주말/이벤트 특별 버프와 프리미엄 버프는 버프 기간 중에만 적용되는 기간제 효과이다.
캐릭터 슬롯 확장은 추가 과금(9900원)을 하고 슬롯을 오픈해야하여, 유니온 캠프의 경우 레벨 19 달성 시에 최대 490의 계정 피로도를 얻는다. 캐릭터 슬롯 확장과 유니온 캠프 레벨 보상의 경우 영구적으로 적용되는 효과이다.
예를 들어 추가 슬롯 확장 없이 유니온 캠프 19레벨에 프리미엄 버프를 적용 중이라면, 계정 피로도는 780+170+490=1440 이 된다.
-1
||<-3><tablewidth=600><rowbgcolor=#191919><rowcolor=#eee> '''피로도 회복 아이템''' ||
||<rowbgcolor=#555><rowcolor=#eee> 종류 || 캐릭터 피로도 || 계정 피로도 ||
|| 핫 1 포션 || +1 || - ||
|| 핫 11 포션 || +11 || - ||
|| 계보링 드링크 100ml ||<-2> +30 ||
|| 계보링 미니 드링크 ||<-2> +40 ||
|| 작은 매실 과즙 ||<-2> +150 ||
|| 매실 과즙 ||<-2> +200 ||
-1
||<-3><tablewidth=600><rowbgcolor=#191919><rowcolor=#eee> '''입장 횟수 회복 아이템''' ||
|| PC방 프리패스 제작 / 이벤트 및 스토리 보상 지급 ||
피로도를 회복시켜주는 소모품엔 캐릭터 피로도를 회복시켜주는 핫 1 / 핫 11 포션과 캐릭터와 계정 피로도를 모두 회복시켜주는 계보링 드링크, 매실 과즙 등이 있다.
던전 입장 횟수를 회복시켜주는 아이템은 스토리 보상으로 1회씩 받을 수 있으며, 이벤트를 통해 지급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PC방에서 플레이 후 얻은 프리패스 교환권으로 제작할 수 있다.
6. 스킬[편집]
공식적으로 스킬은 크게 패시브와 액티브로 나뉘며, 액티브 스킬은 다시 일반기와 결전기로 나뉘는데, 일반기는 3레벨, 6레벨, 10레벨마다 스킬 큐브가 해방되고 결전기는 2레벨, 4레벨, 6레벨마다 스킬 큐브가 개방되어 스킬의 능력치가 강화된다.
또한 조건부 공격을 하면 더 강력한 대미지를 줄 수 있는데, 이를 조건부 보정이라 부른다. 스킬 자체에서 확정적으로 조건부 판정을 받는 경우도 있고 직접 컨트롤로 조건부를 띄워야 하는 경우도 있다.
클로저스는 기본적으로 스킬을 위주로 사용해 적들을 해치우며 진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의 갯수가 많고 효과 및 용도도 모두 다르다. 보통 용도에 따라 〈 단타기 / 연타기(채널링) / 설치기 / 무적기 / 대미지 감소기 / 이동기 / 회복기 / 버프기 〉로 구분하며 각 상황에 맞는 스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스킬을 사용하다가 다른 스킬을 사용하면 기존 스킬은 캔슬되고 후속 스킬로 즉시 전환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스킬을 끊임없이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대미지 딜링을 하는 것이 클로저스의 특징이자 포인트이다.[7]
6.1. 공용 스킬[편집]

6.2. 캐릭터 스킬[편집]

-1
{{{#!wiki style="word-break:keep-all"
||<-5><tablewidth=600><tablecolor=#191919,#fff><tablebordercolor=#191919><gold> '''검은양''' ||
||<width=20%> [[이세하/스킬|이세하]] ||<width=20%> [[이슬비(클로저스)/스킬|이슬비]] ||<width=20%> [[서유리(클로저스)/스킬|서유리]] ||<width=20%> [[제이(클로저스)/스킬|제이]] ||<width=20%>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미스틸테인(클로저스)/스킬|미스틸테인]]}}} ||
||<-5><firebrick> '''늑대개''' ||
||<width=20%> [[나타(클로저스)/스킬|나타]] ||<width=20%> [[레비아(클로저스)/스킬|레비아]] ||<width=20%> [[하피(클로저스)/스킬|하피]] ||<width=20%> [[티나(클로저스)/스킬|티나]] ||<width=20%>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바이올렛(클로저스)/스킬|바이올렛]]}}} ||
||<-5><steelblue> '''사냥터지기''' ||
||<width=20%> [[볼프강 슈나이더/스킬|볼프강]] ||<width=20%> [[루나 아이기스/스킬|루나]] ||<width=20%> [[소마(클로저스)/스킬|소마]] ||<width=20%> [[파이 윈체스터/스킬|파이]] ||<width=20%> [[세트(클로저스)/스킬|세트]] ||
||<-5><mediumpurple> '''시궁쥐''' ||
||<width=20%> [[김철수(클로저스)/스킬|김철수]] ||<width=20%> [[미래(클로저스)/스킬|미래]] ||<width=20%> [[은하(클로저스)/스킬|은하]] ||<width=20%> [[루시 플라티니/스킬|루시]] || [[애리(클로저스)/스킬|애리]] ||
}}}
6.3. 스킬 레벨 조절[편집]
스킬창 우측 상단에 있는 스킬 레벨 조절을 통해 일정량의 크레딧을 지불해 원하는 스킬의 레벨을 낮출 수 있다.
스킬 레벨을 낮추는데에 지불해야 하는 크레딧은 저렴한 편이어서[8] 어떤 스킬이든 시험 삼아 찍어 본 뒤, 스킬 레벨을 조절해 자신만의 스킬트리를 구성할 때 편리한 시스템이다. 다만, 튜닝 횟수를 초기화하거나 장비 등급을 변경하는 아이템은 죄다 캐시로만 가능하게 만들어 놓았으면서, 타 게임에선 유료인 것이 흔하디 흔한 스킬 레벨 조절을 크레딧으로 가능하게 해놓은 것에 대해 이상하게 생각하는 유저도 있지만, 유저 입장에서는 그저 대환영일 뿐이다. 물론 일정 기간동안 크레딧 소모 없이도 스킬 레벨 조절을 가능하게 해주는 캐시 아이템도 있긴 있다.[9]
초기엔 던전 내에서도 스킬 레벨을 낮출 수 있었다. 그런데 던전 내에서 스킬 레벨을 0으로 내렸다 다시 올리면 해당 스킬의 쿨타임이 초기화돼 스킬의 재사용이 즉시 가능해진다는 점이 알려졌고, 이를 악용해 던전에서 결전기를 쿨타임 없이 사용하는 유저가 속출했다. 결국 2월 13일 패치로 던전 내에선 스킬 레벨을 올릴 순 있지만 낮추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패치 노트
6.4. 스킬 큐브[편집]
캐릭터의 스킬 중 액티브 스킬은 (공용 스킬, V 스킬, 태스크포스/검은손 스킬 제외) '스킬 큐브'라는 시스템을 통해 강화된다. 스킬 큐브는 어드밴스, 익스퍼트, 마스터 단계로 나누어지며, 일반 스킬은 스킬 레벨 3/6/10, 결전기는 스킬 레벨 2/4/6에 어드밴스, 익스퍼트, 마스터 순서대로 자동으로 장착된다.[10] 특수요원 일반 스킬은 스킬 레벨 2/5/10, 특수요원 결전기는 스킬 레벨 1/3/6에 해금된다. 단, 일부 예외가 되는 스킬도 있다.
6.4.1. 옵션 큐브[편집]
마스터 스킬 큐브가 개방되면 동시에 원하는 스킬 큐브를 추가로 장착할 수 있는 '옵션' 슬롯이 열리며, 특수 스킬은 예외적으로 스킬 레벨 1부터 옵션 큐브 슬롯이 열린다. 계정 내 모든 캐릭터가 공유하는 큐브 인벤토리를 통해 큐브를 자유롭게 장착/탈착 할 수 있다. 일반 스킬과 결전기는 서로 다른 옵션 큐브를 사용한다.
옵션 큐브는 자동 판매기를 통해 하급의 큐브를 구매할 수 있고, 바벨 프로그램으로 레전더리 Lv.3 이상을 확정 제작하거나 군단 프로그램 5단계 보상과 플레인게이트 지역 제작기로 [랜덤 큐브 상자]를 제작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동일 등급의 옵션 큐브 3개를 합성하여 낮은 확률로 높은 등급의 옵션 큐브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옵션 큐브 목록은 아래를 참고.
-1
||<tablewidth=600><tablebordercolor=#191919><tablecolor=#191919,#fff><rowbgcolor=#191919><rowcolor=#eee> '''옵션 큐브 목록''' ||
||<^|1><height=32><YellowGreen> {{{#!wiki style="margin:0 -10px -5px"
[ 매직 ]
}}} ||
||<^|1><height=32><SkyBlue> {{{#!wiki style="margin:0 -10px -5px"
[ 레어 ]
}}} ||
||<^|1><height=32><Plum> {{{#!wiki style="margin:0 -10px -5px"
[ 엘리트 ]
}}} ||
||<^|1><height=32><Gold> {{{#!wiki style="margin:0 -10px -5px"
[ 레전더리 ]
}}}
}}}
6.4.2. 각성 큐브[편집]
스킬의 마스터리 큐브 효과를 보지 않는 대신 더욱 강력한 스킬을 사용할 수 있는 추가 옵션 큐브이다. 기존 옵션 큐브와 같이 장착할 수 있으며, 대정화작전 아이템을 통한 각성 스킬도 각성 큐브로 새롭게 추가되어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대정화작전 아이템과 각성 큐브를 동시에 착용한다면 각성 큐브 효과만 적용된다.
각성 큐브는 군단 프로그램 10단계 클리어 보상인 [미감정된 각성 큐브 상자] 를 통해 전체 캐릭터의 모든 각성 큐브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신규 각성 큐브>는 '각성 큐브' 3개 조합 시에도 10% 확률로 획득할 수 있으며, <구 각성 큐브>는 플레인게이트 <심층> 지역의 제작기를 통해 캐릭터당 1회 제작할 수 있고 각성 큐브/레전더리 옵션 큐브/엘리트 옵션 큐브 3개 조합 시에도 획득할 수 있다.
-1
||<-2><tablewidth=600><tablebordercolor=#191919><tablecolor=#191919,#fff><#191919><color=#eee> '''각성 큐브 획득처''' ||
||<colbgcolor=#191919><colcolor=#eee> (구) 각성 큐브 ||<(>
* [미감정된 각성 큐브 상자]
* 플레인게이트 <심층> 제작기 - 캐릭터당 1회
* 각성 큐브 3개 조합시 100%
* 레전더리 / 엘리트 큐브 3개 조합시 10%
||
|| (신규) 각성 큐브 ||<(>
* [미감정된 각성 큐브 상자]
* 각성 큐브 3개 조합시 10%
||
||<tablewidth=600><tablebordercolor=#191919><tablecolor=#191919,#fff><#191919><color=#eee> '''각성 큐브 목록''' ||
||<^|1><height=32><gold> {{{#!wiki style="margin:0 -10px -5px"
[ 검은양 ]
}}} ||
||<^|1><height=32><firebrick> {{{#!wiki style="margin:0 -10px -5px"
[ 늑대개 ]
}}} ||
||<^|1><height=32><steelblue> {{{#!wiki style="margin:0 -10px -5px"
[ 사냥터지기 ]
}}} ||
||<^|1><height=32><mediumpurple> {{{#!wiki style="margin:0 -10px -5px"
[ 시궁쥐 ]
}}}
}}}
6.4.3. 큐브 합성[편집]
큐브 인벤토리의 큐브 합성 메뉴를 선택하면 큐브를 합성할 수 있다. 동일 등급의 옵션/각성 큐브를 3개를 합성하면 낮은 확률로 더 높은 등급의 큐브를 획득한다. 엘리트/레전더리 등급의 옵션 큐브 합성 시 10% 확률로 (구) 각성 큐브를 획득 할 수 있으며, 각성 큐브 3개 합성 시 각성 큐브 중 하나를 랜덤하게 획득한다.
7. 아이템[편집]
7.1. 아이템 등급[편집]
클로저스에 등장하는 모든 아이템은 위의 아이템 등급에 따라 분류된다.
총 6단계의 등급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레전더리 아이템이 대부분의 최종 아이템 등급으로 설정되어 있다.
마지막 6번째 등급인 에픽 아이템은 오직 레이드급 콘텐츠에서만 획득 가능하며 최종 등급답게 5단계 초월까지 완료한 레전더리 아이템보다 월등히 뛰어난 수치를 가지고 있다.
7.2. 아이템 귀속[편집]
아이템은 획득 시 [캐릭터 귀속, 계정 귀속, 귀속 없음]으로 나뉘며 캐릭터 귀속 아이템을 제외한 아이템은 계정 창고에 보관이 가능하다. 보통 장비와 코스튬은 캐릭터 귀속, 소모품은 계정 귀속으로 획득하게 되나, 일부 소모품은 동일한 아이템임에도 계정 귀속과 캐릭터 귀속으로 귀속 설정이 달리 지급되기 때문에 아이템 칸을 이중으로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캐릭터 귀속 아이템 중 거래 불가 아이템을 제외한[11] 던전 드랍 장비 또는 코스튬의 경우 [품질 보증 씰]을 통해 '재포장' 할 경우 계정 창고에 보관하거나 블랙 마켓 거래가 가능하다. 재포장이 가능한 아이템의 경우 아이템 스테이터스 창에 재포장 가능 횟수가 표시되어 있으며, 기본 99회 재포장이 가능하다.
- 최상위 장비인 '에픽' 아이템은 포장된 상태로 드랍되어 바로 블랙마켓 거래가 가능하다.
- 시즌 최종 장비 및 시즌 최종 장비의 제작 재료는 거래 불가 아이템이며 [그레모리 차원 상자]도 사용할 수 없다. 이런 아이템들은 시즌이 지나 새로운 최종 장비가 업데이트되면 장비의 경우 [그레모리 차원 상자] 사용 가능 상태로 변경되고, 재료 아이템은 계정 창고에 보관할 수 있도록 개편된다.
- 유니크 코스튬/액세서리의 경우 재포장 가능 횟수가 1회이고, 횟수 만료 시 [재포장 승인서]를 사용하여 재포장 횟수를 초기화해야 재포장이 가능하다.
7.2.1. 품질 보증 씰[편집]
아이템을 재포장 하기 위한 소모 아이템. 우클릭 시 재포장 메뉴가 활성화된다. 장비/코스튬 별로 필요한 갯수가 모두 다르다.
- 강화로 인한 품질 보증 씰 필요량 증가
- 8강부터 3개씩 증가
- 참고사항
- 포장이 유지되는 경우
- 스토어/통돌이 획득 아이템
- 포장 상태로 강화, 튜닝 시
- 포장이 유지되는 경우
- 포장이 풀리는 경우
- 블랙마켓으로 구매 시 포장이 풀린 상태로 획득
- 포장 아이템으로 제작/업그레이드/합성 한 경우
7.2.2. 그레모리 차원 상자[편집]
계정 창고 이동불가 장비/재료/코스튬을 포장하여 계정창고로 이동할 수 있는 아이템. 단, 기간제 아이템은 포장이 불가하다. 차원 상자는 공헌도 상점이나 통돌이 또는 블랙마켓에서 거래가 가능하다.
- 일반 (슬롯 1) / 고급 (슬롯 2) / 특급 (슬롯 3)
- 소모/재료 아이템은 슬롯 하나당 최대 [ 일반 - 50개 / 고급 - 100개 / 특급 - 200개 ] 까지 가능.
- 장비/코스튬 아이템은 슬롯 하나당 1개 씩.
7.2.3. 재포장 승인서[편집]
유니크 코스튬/액세서리의 재포장 횟수 만료시 재포장 승인서로 횟수를 늘린 후 다시 품질 포증 씰로 재포장 해야 거래가 가능하다.
8. 장비[편집]

장비 아이템은 무기에 해당하는 웨폰코어 8종류와 모듈 3종류, 리시버 3종류, 트리거 3종류가 존재하며 방어구에 해당하는 실드 3종류가 있다. 플레이어는 자신이 원하는 웨폰코어 1개, 모듈 3개, 실드 6개, 리시버 1개, 트리거 3개를 장착할 수 있다.
장착한 장비가 캐릭터의 외형에 영향을 주진 않는다. 이펙트의 변화만 있는 정도.
8.1. 장비 품질[편집]
최하급부터 최상급까지 존재하며 기본 스테이터스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최상급으로 품질을 높여주는 것이 좋다. 같은 최상급이더라도 100%에 가까울 수록 더 높은 수치를 가진다.
장비의 품질을 연마하기 위해서는 [유니온 기어 윤활제]라는 아이템을 사용해야하며 사용 시 무작위로 등급이 결정된다.
8.2. 강화[편집]
장비 아이템은 NPC 포 또는 서클 아지트의 한휘성을 통해 강화가 가능하다. 강화 단계가 높아질수록 능력치가 상승하며, 웨폰 코어는 무기 주변에 화려한 이펙트가 생긴다.
장비별로 강화가 가능한 최고 단계가 다르다. 최고 강화 단계는 25강이다.
장비 아이템의 레벨 제한이 높을수록, 희귀도가 에픽에 가까울수록 강화 시 능력치 상승폭이 크다.
강화 시스템 확률 안내
8.3. 튜닝[편집]
노멀 등급과 일부 레전더리 아이템을 제외한 장비와 코스튬은 기본 능력치 외에 무작위로 부여받은 추가 옵션들을 재설정(튜닝)할 수 있다. 장비 아이템은 포, 코스튬은 정도연을 통해 튜닝이 가능하며, D 컴포넌트가 존재하면 해당 아이템을 우클릭하는 것으로 튜닝할 수 있다.
장비 아이템은 전체 튜닝을 하면 크레딧만 소모되지만, 일부 옵션만 튜닝할 때에는 변경하고자 하는 옵션의 수만큼 튜닝 컴포넌트가 필요하다. 장비 아이템엔 튜닝이 가능한 횟수가 존재하며[13] , 이를 모두 소진한 경우 캐시샵이나 블랙마켓에서 레벨 구간별로 맞는 이퀄라이저를 구매하여 복구할 수 있다.
코스튬은 부분 튜닝이든, 전체 튜닝이든 옵션의 갯수에 따른 컴포넌트를 요구한다. 튜닝이 가능한 횟수[14] 를 모두 소진하면 이퀄라이저를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다. 코스튬의 튜닝에 필요한 이퀄라이저와 컴포넌트는 섬유를 이용하여 각 등급에 맞게 모두 인게임에서 얻을 수 있다.[15]
포와 정도연을 이용하는 튜닝은 나오는 옵션의 종류도 랜덤, 옵션의 등급도 랜덤이다. 이로 인해 강화만큼이나 악랄하게 여겨지는 편이나, A등급의 옵션의 경우 썩 어렵지 않게 나오므로 S등급만을 노리지 않는다면 대부분 몇천 이내로 해결보는 편이다.
조건부 평준화로 에체백의 수치가 같아졌지만 코어와 모듈에는 아직 평준화 이전의 잔제가 남아서 조건부의 상승 수치가 다르다.
D 컴포넌트로 띄우고 싶은 능력치를 정해져 튜닝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 D 컴포넌트는 S~C 등급의 옵션만 획득할 수 있으며, 고급 D 컴포넌트는 SS~C 등급 옵션이 나온다. 그 외에도 SS 확정, S 확정, SS~S D 컴포넌트 등이 있다. 평범한 기어 D 컴포넌트는 S 확정 D 컴포넌트를 제외하면 스킬 튜닝은 선택할 수 없으며, 원하는 스킬을 정해 튜닝할 수 있는 스킬 D 컴포넌트가 따로 존재한다. D 컴포넌트를 사용해 튜닝하는 것도 튜닝 횟수를 소진하는 것은 일반적인 튜닝과 동일하다.
S 확정 D 컴포넌트는 이벤트로 계속 뿌리기 때문에 구하기 쉽지만, SS 확정 컴포넌트는 이벤트로도 얻기 힘들고 대부분 패키지로 판매한다.
8.4. 강화 어댑터[편집]
장비 아이템에 강화 슬롯을 추가하고, 추가된 슬롯에 따라 칩을 장착해 능력치를 추가로 부여하는 시스템으로, 2016년 3월 10일자 업데이트로 추가됐다.
고룡 유적지 지역에서 개방되며, 개방 시 칩 인벤토리(기본 단축키 ;)가 개방된다.
8.4.1. 슬롯[편집]
강화 어댑터 슬롯은 83레벨 이상 장비에만 생성할 수 있으며, 코어에 최대 3개, 모듈에 최대 2개, 실드에 최대 2개, 리시버 최대 3개를 오픈할 수 있다. 오픈을 시도할 때마다 일정 크레딧[16] 이 소모되고, 3단계 슬롯을 오픈할 때에 한해 75%의 성공 확률이 존재한다.
각 슬롯에는 레드, 블루, 옐로우, 그린, 퍼플, 블랙, 화이트, 플래티넘의 8가지 타입 중 하나가 부여되는데, 하나의 장비에는 같은 타입이 중복으로 부여되지 않는다. 부여된 타입은 칩이 장착되지 않은 슬롯에 한해 '슬롯 타입 변경툴'이라는 캐시 아이템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 때 드라이버라는 첨가제를 사용해서 원하는 타입으로 변경될 확률을 높일 수 있다.[17]
8.4.2. 칩[편집]
칩 장착은 해당되는 타입과 매칭되는 컬러 타입의 슬롯에만 가능하고, 칩 제거는 일정량의 크레딧을 필요로 하며, 이렇게 제거된 칩은 칩 인벤토리에 다시 들어온다. 칩 인벤토리는 계정 내 모든 캐릭터가 공유한다.
-1
||<-8><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91919><tablebgcolor=#555><tablecolor=#fff><bgcolor=#191919><color=#eee> '''컬러칩 체계도''' ||
||<#d7331e> T3 ||<#1238b3> T3 ||<#d8ab00> T3 ||<#25ac09> T3 ||<#4f3b8b> T3 ||<#252325> T3 ||<#c2c6c6> T3 ||
||<#ec5738> T2 ||<#2461cb> T2 ||<#f1cf34> T2 ||<#57cf37> T2 ||<#694fba> T2 ||<#2a2d32> T2 ||<#c5c4c5> T2 ||
||<#fd725a> T1 ||<#3a80dd> T1 ||<#ffe757> T1 ||<#8fea6f> T1 ||<#8463e9> T1 ||<#36393c> T1 ||<#bdb9ba> T1 ||
||<width=12.5%> {{{#!wiki style="margin: 0px -10px"
{{{#fd725a 레드}}}}}} ||<width=12.5%> {{{#!wiki style="margin: 0px -10px"
{{{#3a80dd 블루}}}}}} ||<width=12.5%> {{{#!wiki style="margin: 0px -10px"
{{{#ffe757 옐로우}}}}}} ||<width=12.5%> {{{#!wiki style="margin: 0px -10px"
{{{#8fea6f 그린}}}}}} ||<width=12.5%> {{{#!wiki style="margin: 0px -10px"
{{{#8463e9 퍼플}}}}}} ||<width=12.5%> {{{#!wiki style="margin: 0px -10px"
블랙}}} ||<width=12.5%> {{{#!wiki style="margin: 0px -10px"
화이트}}} ||
컬러칩은 <레드 / 블루 / 옐로우 / 그린 / 퍼플 / 블랙 / 화이트> 7가지 색상으로 분류되며, 색상별로 <T1 / T2 / T3> 3단계로 나뉜다.
-1
||<-5><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91919><tablebgcolor=#555><tablecolor=#fff><bgcolor=#191919><color=#eee> '''플래티넘 팁 체계도''' ||
||<width=30%><#d7dedd> T3 ||<|3><width=5%> X ||<width=30%><#fd725a> 물리 ||<|3><width=5%> X ||<width=30%><#019fff> 에어리얼 ||
||<#bababc> T2 ||<#3a80dd> 마법 ||<#e8009d> 백어택 ||
||<#a0a2a1> T1 ||<#8463e9> 하이브리드 ||<#df5007> 체이스 ||
|| 초기형 ||<-4> 물리 / 마법 / 하이브리드 ||
플래티넘 칩은 <T1 / T2 / T3> 3가지 등급과 , <물리 / 마법 / 하이브리드> 3가지 속성, <에어리얼 / 백어택 / 체이스> 3가지 조건부로 분류되고, 초기형 칩은 물리 / 마법 / 하이브리드로 분류되어 총 30 종류로 나뉜다.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91919><tablebgcolor=#555><tablecolor=#fff><bgcolor=#191919><color=#eee> '''군단장 팁 체계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벨제부브}}} ||레드 / 블루 / 옐로우 / 그린 / 퍼플 / 블랙 / 화이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티어매트}}} ||레드 / 블루 / 옐로우 / 그린 / 퍼플 / 블랙 / 화이트 + 공격 속도 ||
}}}
군단장 팁은 티어가 존재하지 않고, 색상별로 나뉜다.
8.4.2.1. 컬러 칩[편집]
장비에 칩을 장착하면 칩 색깔별로 정해진 능력치가 상승하며, 타입별 능력치는 아래와 같다.
-1
||<-2><tablewidth=600><tablebordercolor=#191919><rowbgcolor=#191919><rowcolor=#eee> '''컬러칩 능력치''' ||
||<rowbgcolor=#555><rowcolor=#eee><colbgcolor=#555><colcolor=#eee> 타입 || 효과 ||
|| 레드 || 물리 공격력 ||
|| 블루 || 마법 공격력 ||
|| 옐로우 || 물리 치명타 피해량 ||
|| 그린 || 마법 치명타 피해량 ||
|| 퍼플 || 백어택 시 치명타 피해량 ||
|| 블랙 || 에어리얼 시 치명타 피해량 ||
|| 화이트 || 체이스 시 치명타 피해량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8><tablewidth=600><tablebordercolor=#191919><rowbgcolor=#191919><rowcolor=#eee> '''착용 부위별 능력치''' ||
||<rowbgcolor=#555><rowcolor=#eee><colbgcolor=#555><colcolor=#eee> 타입 ||<colbgcolor=#555><colcolor=#eee> 티어 || 코어 || 모듈 || 실드 || 리시버 ||
||<|3> 레드/블루 || T1 || 250 || 10 || 1 || 5 ||
|| T2 || 280 || 20 || 3 || 10 ||
|| T3 || 320 || 30 || 5 || 15 ||
||<|3> 옐로우/그린[br]퍼플/블랙/화이트 || T1 || 12% || 2% || 1% || 1% ||
|| T2 || 17% || 3% || 2% || 2% ||
|| T3 || 23% || 4% || 3% || 3% ||
|| 공통 || 모든 등급 || {{{-2 치명타 발생률 20%[br]방어력 관통력 20%}}} || {{{-2 공격 속도 3%}}} || - || - ||
}}}
8.4.2.2. 플래티넘 칩[편집]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91919><rowbgcolor=#191919><rowcolor=#eee> '''플래티넘칩 능력치''' ||
||<rowbgcolor=#555><rowcolor=#eee><colbgcolor=#555><colcolor=#eee> 티어 ||<colbgcolor=#555><colcolor=#eee> 옵션 || 코어 || 모듈 || 실드 || 리시버 ||
||<|3> 초[br]기[br]형 || 치명타 피해량[br](하이브리드) || 9% (8%) || 9% (8%) || 6% (5%) || 1.7% ||
|| 방어 관통률[br](하이브리드) || 9% (8%) || 9% (8%) || 6% (5%) || 1.7% ||
|| 공격력[br](하이브리드) || 20 (18) || 20 (18) || 7 (6) || 7 (6) ||
||<|4> T1 || 조건부 치명타 피해량 || 15% || 12% || 7% || 2% ||
|| 조건부 방어력 관통률 || 15% || 12% || 7% || 2% ||
|| 공격력[br](하이브리드) || 300 (255) || 30 (26) || 10 (9) || 10 (9) ||
|| 추가 아이템 발견 || 5% || 4% || 3% || 5% ||
||<|4> T2 || 조건부 치명타 피해량 || 18% || 14% || 7.5% || 4% ||
|| 조건부 방어력 관통률 || 18% || 14% || 7.5% || 4% ||
|| 공격력[br](하이브리드) || 360 (306) || 50 (43) || 20 (17) || 20 (17) ||
|| 추가 아이템 발견 || 6% || 5% || 4% || 6% ||
||<|4> T3 || 조건부 치명타 피해량 || 22% || 17% || 9.5% || 7% ||
|| 조건부 방어력 관통률 || 22% || 17% || 9.5% || 7% ||
|| 공격력[br](하이브리드) || 430 (366) || 80 (68) || 40 (34) || 40 (34) ||
|| 추가 아이템 발견 || 7% || 6% || 5% || 7% ||
}}}
플래티넘 칩은 오버클럭/계승/이전이 불가능한 초기형 칩과 T1~3칩이 있다. 초기형 칩은 물리/마법/하이브리드 3종류이며, T1~T3 칩은 물리/마법/하이브리드 x 에이리얼/백어택/체이스의 조합에 따라 총 9 종류가 있다. 초기형 칩은 오리진 칩 2개, T1 플래티넘 칩은 오리진 칩 20개 또는 고룡 유적지/바벨 프로그램 등으로 제작할 수 있고, T2 칩은 T1 칩 5개, T3 칩은 T2 칩 5개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식이다.
8.4.2.3. 군단장 칩[편집]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6><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91919><rowbgcolor=#191919><rowcolor=#eee> '''파리왕칩 능력치''' ||
||<rowbgcolor=#555><rowcolor=#eee><colbgcolor=#555><colcolor=#eee> 타입 ||<colbgcolor=#555><colcolor=#eee> 옵션 || 코어 || 모듈 || 실드 || 리시버 ||
|| 레드[br]{{{-2 (물리)}}} ||<|2> {{{-2 공격력}}} ||<|2> 300 ||<|2> 25[br]{{{-3 치명타 발생률 10%}}} ||<|2> 4[br]{{{-3 방어력 300}}} ||<|2> 13 ||
|| 블루[br]{{{-2 (마법)}}} ||
|| 옐로우[br]{{{-2 (물리)}}} ||<|2> {{{-2 치명타 피해량}}} ||<|2> 19.5% ||<|2> 3.5%[br]{{{-3 방어 관통률 3.5%}}} ||<|2> 2.5%[br]{{{-3 자원 절약 3%}}} ||<|2> 2.5% ||
|| 그린[br]{{{-2 (마법)}}} ||
|| 퍼플[br]{{{-2 (백어택)}}} ||<|3> {{{-2 치명타 피해량}}} ||<|3> 19.5% ||<|3> 3.5%[br]{{{-3 방어 관통률 3.5%}}} || 2.5%[br]{{{-3 추가 크레딧 4%}}} ||<|3> 2.5% ||
|| 블랙[br]{{{-2 (에어리얼)}}} || 2.5%[br]{{{-3 추가 아이템 발견 5%}}} ||
|| 화이트[br]{{{-2 (체이스)}}} || 2.5%[br]{{{-3 추가 경험치 7%}}} ||
|| 공통 || {{{-2 식충형 피해량 증가}}} || 3% || - || - || - ||
}}}
군단장 칩은 컬러 칩 T2와 T3 사이의 성능을 가지고 있다. 기본 컬러 칩 옵션에 코어에는 공통적으로 식충형에 피해량 증가 3% 옵션이 추가로 부여되며, 레드/블루 칩은 모듈에 치명타 발생률 10%, 실드에 물리/마법 방어력 300, 옐로우/그린 칩은 모듈에 물리/마법 방어 관통률 3.5%, 실드에 스킬 자원 절약 3%, 블랙/퍼플/화이트 칩은 모듈에 에어리얼/백어택/체이스 방어력 관통률 3.5%, 실드에 추가 아이템 발견/크레딧/경험치 5/4/7% 옵션이 추가로 부여된다. 군단장 칩의 경우 칩 인벤토리에서 재료를 소모해 제작하거나 개인 조사의 보스 던전에서 박스 형태로 드랍된다.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tablewidth=600><tablebordercolor=#191919><rowbgcolor=#191919><rowcolor=#eee> '''티어매트칩 능력치''' ||
||<rowbgcolor=#555><rowcolor=#eee><colbgcolor=#555><colcolor=#eee> 타입 || 옵션 || 공통 ||
|| 레드 ||<|2> 공격력 [br] 100 ||<|7> 마룡형 피해량 증가 3% ||
|| 블루 ||
|| 옐로우 ||<|2> 치명타 피해량 [br] 10% ||
|| 그린 ||
|| 퍼플 ||<|3> 조건부 치명타 피해량 [br] 10% ||
|| 블랙 ||
|| 화이트 ||
|| 공격 속도 칩 || 10% || - ||
}}}
티어매트 칩은 리시버에만 장착할 수 있는 칩으로, T3 컬러 칩보다도 높은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공통적으로 마룡형에 피해량 증가 3% 옵션을 추가로 가진다. 일반적인 티어매트 컬러 칩 이외에 공격 속도 10%만을 올려주는 티어매트 공격 속도 칩이 존재한다. 공격 속도 칩은 오버클럭이 불가능하다.
8.4.2.4. 오버 클럭[편집]
다른 칩을 재료로 사용해서 장비에 장착된 칩의 오버클럭 경험치를 누적할 수 있다.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오버클럭 경험치가 누적되면 +1씩 오버클럭 단계가 올라간다. 칩의 오버클럭 수치가 높아질수록 칩의 성능이 좋아진다. 칩 오버클럭은 장착된 장비의 강화 수치까지만 할 수 있다.
오버클럭 경험치를 유지하고 장비에 장착된 기존 칩을 다른 종류의 칩으로 교체하는 칩 계승과, 장착된 칩을 다른 장비로 옮기는 칩 이전 시스템이 있다. 칩을 장비에서 제거하면 오버클럭 경험치가 초기화된다.
8.5. 아이템 업그레이드[편집]
대정화작전 컨텐츠의 장비 및 몽환세계: 이면의 군단장 컨텐츠의 장비에 적용되어 있는 시스템이다. 기본적으로 '로킹'이라는 아이템부터 시작하여 최종 5단계까지를 거친다.
대정화작전 아이템은 웨폰코어의 경우 '정화자', 틴탈로스의 '감시자' 하르파스의 '포식자' 요드의 '불멸자' 니토크리스의 '환술사' 아이템들이 초월이 가능하며, 언락-릴리즈-비욘드-코즈믹-인피니티의 5단계를 거친다. 웨폰코어의 정화자의 경우 각 캐릭터별 특정 스킬을 강화시키는 '각성'기능이 있으며 스킬의 구조가 바뀐다. 바뀌는 스킬은 각 캐릭터별 스킬 문서를 참조. 나머지 감시자-포식자-불멸자는 특정한 스킬 3개의 피해량을 증가시켜주며, 환술사는 특수요원 일반스킬 1개의 스킬레벨 및 피해량을 증가시켜준다.
파리왕 벨제부브 아이템은 '폭식의' 라는 접두어만 붙어있고 물공/마공/하이브리드로만 나뉘어져 있다. 단계는 대정화작전 아이템과는 달리 언락-비욘드-인피니티-싱귤래리티-아트로포스의 5단계를 거친다. 대정화와는 달리 스킬 각성이 붙어있지는 않지만 3단계인 인피니티 때부터 이미 대정화 아이템의 5단계 인피니티보다 스텟이 더 높다.
번외로 사냥꾼의 밤 컨텐츠의 백귀야행 실드 시리즈도 처음에는 '언락'부터 시작하는 초월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다. 현재는 최종 단계인 코즈믹 실드로 즉시 제작이 가능하지만, 코즈믹 이전 단계의 실드를 가지고 있는 유저들을 위해 초월석 및 초월시스템 자체는 가지고 있다.
2022년 7월 28일 패치로 기존의 초월 시스템이 아이템 업그레이드 시스템으로 변경되었다. 초월석을 통한 확률 초월 방식을 사용하는 유저들이 거의 없고 대부분 일정 갯수의 초월석을 모아 확정 초월석을 만들거나 초월의 비약을 통해 확정 초월하는 것이 대세가 되면서 불필요한 초월석 제작 단계가 삭제되고, 재료를 모아 한번에 업그레이드 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9. 코스튬[편집]

캐릭터의 외형을 바꾸려면 코스튬을 착용해야 한다. 코스튬은 등급에 따라 1성, 2성, 3성 코스튬이 있다. 코스튬엔 자체 능력치나 세트옵션이 있는 것도 있다.
참고로 코스튬의 경우엔 1성이 레어, 2성이 엘리트, 3성이 레전더리 등급에 해당하며, 3성 코스튬 안에서 일반, 레어, 유니크라는 별도의 세부 등급을 갖는다.
9.1. 튜닝[편집]
코스튬 담당 NPC를 통해 코스튬이 가지고 있는 옵션을 튜닝할 수 있다.
- 최대 S 등급의 옵션을 획득할 수 있으며, 동일 그룹의 옵션은 2개 이상 부여할 수 없다.
- 1성/2성/3성 코스튬 유형별로 각각 다른 종류의 컴포넌트/이퀄라이저 아이템이 소모된다.
9.2. 업그레이드[편집]
코스튬 담당 NPC를 통해 코스튬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 코스튬은 최대 3성까지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업그레이드 시 크레딧과 섬유 아이템이 소모된다.
- 재료 아이템인 [흔한 위상 섬유]는 1성 코스튬 분해 시, [고급 위상 섬유]는 2성 코스튬 분해 시, [찬란한 위상 섬유]는 3성 코스튬 분해로 획득한다.
9.2.1. 코스튬 퓨전[편집]
공헌도 상점에서 구입한 봉인된 위광은 특별한 섬유와 위광 정수를 모아 업그레이드 하는 방식이며 이를 코스튬 퓨전이라고 부른다. 매 업그레이드 시 마다 추가 능력치를 부여해준다. 코스튬 퓨전은 100% 확률로 성공한다.
- 재료인 [코스튬 퓨전 섬유]는 게임 내 재화 및 캐쉬로 구매할 수 있고, [위광 정수]는 3성 위광을 분해하거나 게임 내 재화로 제작하여 획득할 수 있다.
- 단계별 추가 능력치
9.3. 합성[편집]
코스튬을 합성하여 상위 등급의 코스튬을 얻는 시스템. 2성/3성 코스튬 합성 시 10%/75% 확률로 [레어 코스튬]을, 3성/레어 코스튬 합성 시 25%/50% 확률로 [유니크 코스튬]을 획득한다. 코스튬 합성 시에는 [각 레어/유니크 코스튬 - 싱크로 섬유]가 필요하다.
레어 코스튬 목록과 합성 방법에 대해서는 클로저스/코스튬/레어 코스튬 문서를, 유니크 코스튬 목록과 합성 방법에 대해서는 클로저스/코스튬/유니크 코스튬 문서를 참고할 것.
9.4. 코스튬 옷장[편집]
코스튬과 액세서리만 보관할 수 있는 추가 인벤토리이다. 전체 코스튬 및 착용 부위별로 목록화할 수 있고, 전체 액세서리 및 착용 부위별 액세서리로 목록화할 수 있다.
옷장 시스템으로 기본 10개의 코스튬 프리셋을 저장하고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9.5. 의상실[편집]
[의상실] 에서는 레어/유니크 코스튬 세트를 보관하고 그에 맞는 스킨팩 효과와 추가 능력치를 획득할 수 있다. 각 거점의 코스튬 담당 NPC(연무극장 지역의 경우는 창고 NPC)를 통해 열람할 수 있다.
총 [유니크 1세트 & 레어 2세트] 또는[레어 3세트] 조합으로 보관이 가능하다. 버프 효과는 아래와 같다.
9.6. 일러스트 랜덤 시스템[편집]
보유한 일러스트가 랜덤으로 노출되는 시스템.
- 캐릭터 스킨 탭에서 보유한 일러스트를 다중 선택(최대 20개) 시 그 중 하나가 랜덤으로 결정된다.
- [좌클릭 → 미리보기 / 우클릭 → 일러스트 선택] 후 [착용하기] 를 눌러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 스킨/팩 UI 하단에 [선택 초기화] 버튼 클릭 시 기존에 선택한 일러스트가 초기화된다.
- 일러스트를 ‘패키지’로 착용 시 해당 일러스트 패키지에 포함된 모션, 사운드 등이 함께 적용된다.
- [좌클릭 → 미리보기 / 우클릭 → 일러스트 선택] 후 [착용하기] 를 눌러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 스킨/팩 UI 하단에 [선택 초기화] 버튼 클릭 시 기존에 선택한 일러스트가 초기화된다.
- 일러스트를 ‘패키지’로 착용 시 해당 일러스트 패키지에 포함된 모션, 사운드 등이 함께 적용된다.
- 타운 탭에서 선택한 일러스트는 <대기실, 던전 종료, 채널 이동, 타운 이동 시> 랜덤으로 변경된다.
- 작전구역 탭에서 선택한 일러스트는 <던전 입장 시> 랜덤으로 변경된다.
- 유니온 아레나 탭에서 선택한 일러스트는 <매칭 시> 랜덤으로 변경된다.
- 작전구역, 유니온 아레나에서 <결전기 사용 시> 선택한 모든 일러스트가 랜덤한 순서로 등장한다.
- 작전구역 탭에서 선택한 일러스트는 <던전 입장 시> 랜덤으로 변경된다.
- 유니온 아레나 탭에서 선택한 일러스트는 <매칭 시> 랜덤으로 변경된다.
- 작전구역, 유니온 아레나에서 <결전기 사용 시> 선택한 모든 일러스트가 랜덤한 순서로 등장한다.
9.7. 헤어 염색 시스템[편집]
헤어 코스튬 파츠를 다른 색상으로 염색할 수 있다. 총 695가지 컬러가 제공되며, <헤어 염색 앰플> 또는 <헤어 염색 확정 앰플>을 사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참고로 원래 헤어 색상으로 복구하는 ‘탈색’은 크레딧을 소모하여 복구할 수 있다.
- 포장된 코스튬을 염색하는 경우, 밀봉이 해제됨.
- 염색 상태의 코스튬을 업그레이드 또는 합성 성공하하면 염색 정보 초기화.
- 재포장, 블랙마켓 거래, 업그레이드/합성 실패 시에는 염색 정보 보존.
10. PNA[편집]

11. 채널[편집]
- 채널 (작전 구역)
클로저스는 채널별로 운영되며, 게임 접속 후 채널을 선택한 다음 캐릭터 대기실로 진입하여 거점 지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개인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같은 채널에 위치해야한다.
- 채널 버프
현재 위치한 채널에 따라서 시즌1 지역, 시즌 2 지역, 시즌 3 지역, EX 지역에서의 퀘스트 수행 경험치가 증가하는 버프를 받는다. 또한 EX 채널에서는 레이드 던전 플레이시 추가 버프를 제공한다.
- 서클 채널
서클 채널이란 채널 1~15, 16~30, 31~45 ⋯⋯ 식으로 15개씩 채널을 묶어 각각 서클 채널 1, 서클 채널 2로 분류한다.
- 채널 변경
캐릭터 선택창으로 이동하여 채널을 변경하거나, [ESC→채널 변경]으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좀 더 쉬운 방법은 채팅창/네트워크의 다른 유저를 클릭하여 '채널 따라가기' 메뉴를 선택하여 채널을 변경할 수도 있다.
- 채널 찾기
채널 번호를 입력하여 수동으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12. 캐릭터 대기실[편집]
서버 접속 → 채널 선택(생략) → 캐릭터 대기실로 진입한다. 캐릭터 대기실에서 플레이할 캐릭터를 선택한 후, 거점 지역/서클 아지트/마이룸/농장 중 한 곳을 선택하여 접속하게 된다.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하거나, 긴급 투입, 멤버 해고도 캐릭터 대기실에서 가능하다.
캐릭터 대기실에서는 코스튬 설정을 통해 캐릭터가 착용한 액세서리 이펙트를 ON/OFF 할 수 있다. 또한 '대기실 변경'을 통해 캐릭터의 대기실 배경을 변경할 수 있고, '배치 변경'을 통해 캐릭터의 배치를 직접 변경할 수 있으며, '프리셋 모드'로 배치 프리셋을 설정하거나, '스크린샷 모드'로 UI를 제거한 스크린샷 화면으로 볼 수 도 있다.
대기실 배경으로는 검은양 팀 대기실, 늑대개 팀 대기실, 사냥터지기 팀 대기실을 기본으로 제공하고, 공헌도 상점을 통해 간이 막사, 캠핑장, 카페 대기실을 구입하여 적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