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원(북한)

덤프버전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우상화사업
배움의 천리길 · 정성사업 · 충성의 모심사업 · 충성의 편지이어달리기
노동착취
3대혁명붉은기쟁취운동 · 사회주의애국운동 · 속도전 · 정치범수용소 · 청년돌격대 (속도전청년돌격대 / 백두산영웅청년돌격대) · 탄원 · 해외파견노동자 · 아리랑
세외부담
애국미헌납운동 · 원군사업 · 좋은일하기운동 · 충성자금모으기운동 (충성의 외화벌이 / 북한식당)
역사적 사건
나의고지운동 · 녀성보잡이운동 · 공작기계새끼치기운동 · 천리마 운동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노동착취·동원제도

파일:북한 국장.svg
탄원
嘆願

Volunteers
[1]
}}} ||

▲ 탄원을 하는 여성 청년들

▲ 탄원 후 화환을 목에 걸고 떠나는 학생들
다른 이름
복대·입대 탄원 (군대)
목적
✔ 청년층 노동력 무상 착취
✔ 사회 불만 통제
1. 개요
2. 특징



1. 개요[편집]


날 생각해 아껴주는 그 마음은 고맙지만[2]

수천길 막장이라 저라고 못갈까요.

같이 가자요 같이 가자요 우리 서로 진실한 벗되여 청춘을 부르는 새 탄전으로

- 김은실의 노래 '같이 가자요'[3]


북한에서 군중의 자발적 사회 참여를 빙자하여 시행되는 노동착취동원 제도.

민주국가의 탄원과는 달리 청년층의 노동력을 착취하기 위해 선전되는 제도로, 북한 당국은 청년들의 정신상태가 훌륭하여 '자발적으로' 갔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탄원서에 이름을 내고 강제노동 및 국가 행사 동원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사회적 낙인이 찍혀 장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저렇게 끌려가는 곳이 장사 자체를 못하고 도시에서 돈 버는 것도 몰래 해야 하는 농촌, 민주적인 한국의 '막장'이라는 단어가 상징하는 것보다 더 열악한 근무 여건의 탄광이다. 비슷한 노동착취 수단으로 백두산영웅청년돌격대를 위시한 청년돌격대 제도도 있다.

군대에 입대(入隊) 및 복대(= 재입대, 復隊)하는 걸 군대를 돕는다는 개념으로 포함시키고 있는데, 입대 및 복대탄원 이외에 원군사업에 대해서는 '원군사업' 문서 참조 바람.


2. 특징[편집]


파일:남북의 창 로고.png
파일:통일전망대 MBC 로고.png




[요즘 북한은] 혹한에도 오지로!…북 청년들 ‘탄원’ 열풍 외
(2021년 12월 21일 방송분)

청년들 평양 탄원 건설현장 집중 투입
(2023년 2월 4일 방송분)


2000년대 이후로는 을지프리덤실드 연습, 자유의 방패 연습 등 한미연합훈련이 있을 때마다 북한 언론매체에서 "140만 명이나 복대 및 입대 탄원을 했다"고 방송한다. 기사(KBS) 실상은 일상적인 상황을 심각한 위기로 부풀려서 선동하고 고조된 주민들의 불만을 잠재우려는 목적이 큰데, 1990년대공산권 붕괴와 고난의 행군을 거치면서 북한의 경제 사정이 나빠져서 배급과 사회보장제도의 붕괴가 발생하고 주민들이 굶주리면서 불만이 폭발할 때 즈음해서 번번이 쓰는 수법이다. 특히 2020년대에는 대북제재에 더해서 북한 코로나 대유행까지 겹치면서 탄원을 활용하는 빈도 내지 강도가 더 강해졌다.

평시에도 이 탄원 제도가 원활하게 작동하는데, 북한 정권 입장에서는 사실상 공짜로 청년들의 노동력을 무한정 굴릴 수 있어서 좋다. 한편 북한 청년들도 사람인지라 생활 여건이 극히 열악한 험지로 떠나서 일하는 걸 꺼리지만, 그렇다고 마냥 거부할 수도 없는 게 자칫 '사상적으로 의심을 받기 때문'이다. 이는 '수령의 지시를 무시한 것'과 다름 없기 때문. 이런 이유로 북한 청년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반강제적으로 탄원을 내서 가혹한 일터로 떠난다. 기사(자유아시아방송) 그나마 기대하는 건 일부 분야에 한정하여 수년 뒤에 고향으로 돌아오면 직장이나 배급 등에서 혜택이 주어진다는 것인데, 북한 정권의 재정 상황이 날이 갈수록 나빠지는 터라 그마저도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 상술한 자유아시아방송의 기사에 따르면 뇌물을 먹이거나 갖은 핑계를 대서 곧 고향으로 돌아오기도 한다고 한다. 또한 일을 제대로 안 하는 경우까지도 있다고 한다.

가장 심각한 것은 아예 고향으로 돌아오지도 못하고 농촌에서 대대손손 일해야 하는 경우마저 있다는 것이다. “이제 농촌에 내려가면 영원히 농포(농민)가 되어야 하는데 장가를 가면 손주들도 농촌연고자 딱지가 일생 붙어 다닐 걸 생각하니 잠이 오지 않는다”면서 “사람(인력)이 모자라 농사가 안되는 게 아니라 국가가 농업에 투자하지 않으니 이 꼴인데 왜 죄없는 청년들을 볶아대는지 모르겠다”고 한탄한다는 보도도 있다. 농촌으로 끌려가면 장사도 못하고 도시에서 돈벌러 일하는 것 마저도 단속을 피해 몰래해야 한다. #

한편 탄원자들은 '청년미풍열성자(靑年美風熱誠者)\'[4]라는 칭호가 붙어서 사회주의애국청년동맹에서 열리는 회의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기도 한다. 기사(서울평양뉴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07:49:57에 나무위키 탄원(북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실 탄원이라고 하면 'petition'이나 'appeal'이라고 쓰는 게 적합하나, 북한 체제 특성상 이 '탄원'은 '자원노동 신청'이라는 의미에 가까우므로 영미권에서는 이 표현을 주로 쓴다.[2] 북한 사람도 사실 가기 싫다는 한 증거가 된다.[3] '탄광으로 탄원을 하자'는 내용이 담긴 가사이다.[4] 유사 명칭으로 '원군미풍열성자(援軍美風熱誠者)\'라고, 군대 원호를 성실히 한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는 제도도 있다. 기사(서울신문)